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search on Coherence of Legal System for Systematic Development of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의 체계적 발전을 위한 법제도적 정합성에 관한 연구

  • 김현희 (한국법제연구원) ;
  • 임형택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Received : 2015.04.17
  • Accepted : 2015.05.20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Korea's Spatial Information Policy has been institutionalized based by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ct", "Act on Land Survey, Waterway Survey and Cadastral Records", "Spatial Data Industry Promotion Act". In year 2015, These acts were modified with new names and contents. It is critical that the definition of spatial information ought to be generalized. In addition,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o review factors those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development on coherent relation between Spatial Information Act and other acts. Examples of improvement area may include: Categor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Concept, Systematization of Spatial Data Related Legislation, and Enhancement of Organization Specializing in Spatial Information. Furthermore, Legislation & Policy case of Germany,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were used as a basis for improvement.

우리나라의 공간정보정책은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 "측량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공간정보산업 진흥법" 등을 근거로 제도화 되었으며, 이들은 2015년 6월 새로운 이름과 내용으로 시행된다. 공간정보의 개념이 보편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공간정보법이 타법과의 관계에서 체계적으로 정합을 이루며 발전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사항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으로 공간정보 개념의 유형화, 공간정보 관련법제의 체계화, 공간정보 추진체계의 전문화에 대하여 현행 법률을 검토하고 일부 보완이 필요한 점에 대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개선방안의 근거로는 공간정보에 관하여 우리보다 일찍 발전을 이룬 독일, 프랑스, 미국의 입법례와 정책사례를 참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회 법제실(2011), 법제실무.
  2. 국토교통부(2013), 2013년도 국가공간정보정책에 관한 연차보고서.
  3. 국토교통부(2014), 2014년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4. 국토교통부(2014), "측량-지적 융합으로 '공간정보산업 도약' 토대 마련", 5월 26일자 보도자료.
  5. 김남철(2014), 독일의 국토이용조사와 공간정보기반 구축 법제, 한국법제연구원 워크숍자료집, 한국법제연구원.
  6. 김현희 등(2014), 국토공간의 이용현황 조사 및 정보구축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연구보고서.
  7. 박영도(2014), 입법학입문, 법령정보관리원.
  8. 박종택 등(2009), 한국형 국가공간정보인프라 모델 정립 및 글로벌화 전략연구, 국토연구원.
  9. 임형택(2014), 공간정보 법제 개선 연구, LXSIRI Report 제7호, 대한지적공사 공간정보연구원.
  10. 정동훈 등(2013), 국토공간 이용현황 정보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21권 제5호, 한국공간정보학회.
  11. 조광제(2013), 국토조사에 관한 법체계의 고찰, 지적 제43권 제1호, 대한지적공사 공간정보연구원.
  12. 최종권(2014), 우리나라의 국토공간 이용현황 조사 및 정보구축에 관한 법.제도 검토, 한국법제연구원 워크숍자료집, 한국법제연구원.
  13. 최진무(2014), Introduction to FGDC and Geospaital Data Management in the US, 한국법제연구원 워크숍자료집, 한국법제연구원.
  14. Johnson III, C.(2006), Designation of a Senior Agency Official for Geospatial Information, OMB Memorandum for Heads of Selected Executive Departments and Agencies.
  15. Kundra, V.(2010), Geospatial Line of Business OMB Circular A-16 supplemental Guidance,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
  16. National Research Council(2007), National Land Parcel Data : A Vision for the Future, Washington, DC.
  17. http://cnig.gouv.fr/?page_id=620
  18. https://www.fgdc.gov/membership
  19. http://www.geoportal.de/DE/GDI-DE/Organisation/organisation.html?lang=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