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Environmental Information

검색결과 1,250건 처리시간 0.031초

공간적 자기상관성의 정도에 따른 MAUP에서의 스케일 효과 연구 - LBSNS 데이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cale Effects of the MAUP According to the Degree of Spatial Autocorrelation - Focused on LBSNS Data -)

  • 이영민;권필;유기윤;허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33
    • /
    • 2016
  • 포인트 속성의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Location-Based Social Network Services, LBSNS) 데이터를 멀티스 케일의 타일맵상에 효과적으로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격자 기반으로 군집화하여 표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격자의 크기 및 개수를 결정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기준은 정해진 것이 없으며 데이터의 종류와 분석 목적에 따라 달라지므로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밖에 없다. 이때 연구 결과에 영향을 끼치는 공간단위 임의성의 문제(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MAUP)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LBSNS 중 지오태깅(geotagging)된 트위터(Twitter)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이러한 MAUP의 영향을 스케일 효과(scale effect)의 측면에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오차모델(spatial error model)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공간적 자기상관성(spatial autocorrelation)의 정도를 조절하였으며, 이에 대해 격자의 크기를 달리함에 따른 공간적 자기상관성의 변화를 Moran's I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원 데이터에는 양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공간오차모델의 공간자기회귀계수(spatial autoregressive coefficient)의 값이 증가할수록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트위터 데이터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의 강도를 5단계로 조절하였으며, 각 단계에 대하여 격자의 크기를 9단계로 나누어 각각에서의 Moran's I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합역 수준이 높아질수록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증가하다가 격자의 크기가 600m에서 1,000m 사이일 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강할수록 MAUP에서의 스케일 효과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Potential Application Topics of KOMPSAT-3 Image in the Field of Precision Agriculture

  • Kim, Seong-Joon;Lee, Mi-Seon;Kim, Sang-Ho;Park, Genn-Ae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7호
    • /
    • pp.17-22
    • /
    • 2006
  • Potential application topics of KOMPSAT-3 image in the field of precision agriculture are suggested. The topics can be categorized as fundamental and applied ones that have contents of st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As fundamental topics, precision information of agriculture that is related to farmland and its crop attributes, precision information of rural infrastructure that is related to rural village and its facilities, precision information of stream environment that is related to rural water resources and its facilities, and precision information of eco-environment that is especially related to riparian ecology and environmental status are included. As applied topics, precision rural water resources that has thematic contents of continuous and event-based runoff, spatial and temporal soil moisture and evapotranspiration, precision agricultural watershed environment that has the contents of spatial and temporal soil loss, sediment and pollutants transport, and precision temporal and spatial crop growth that has the contents of temporal crop texture, spectral reflectance, leaf area index, spatial crop protein information.

한국어 장소 리뷰를 이용한 공간 감성어 사전 구축 방법 (Method for Spatial Sentiment Lexicon Construction using Korean Place Reviews)

  • 이영민;권필;유기윤;김지영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12
    • /
    • 2017
  •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이 방문한 장소에 대한 긍정 혹은 부정적 의견을 리뷰로 남기는 것이 일상화되고 있다. 실제 방문자가 작성한 장소 리뷰에 대한 감성분석 결과는 잠재적 소비자뿐 아니라 기업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장소에 대한 감성분석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감성분석의 기준이 되는 어휘에 대한 사전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장소를 표현하는 공간 감성어에 대한 사전이 구축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방문자가 한국어로 작성한 장소 리뷰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간 감성어 사전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여러 장소 카테고리 중 테마공원을 대상으로 공간 감성어 사전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자연어 처리 기법과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사전에 포함되는 공간 감성어는 감성의 극성에 대한 정보와 극성의 정도에 대한 확률점수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공간 감성어 사전은 3개의 테이블(SSLex_SS, SSLex_single, SSLex_combi)로 구성되며, 총 219개의 어휘를 포함한다. 이를 바탕으로 트위터에서 테마공원에 대해 작성된 글을 대상으로 감성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감성의 극성 분류에 대한 전체 정확도가 0.714로 산출됨에 따라 사전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GSIS와 AHP법을 이용한 쓰레기 매립지 예비 평가 방법 (Preliminary Estimation of Waste Landfill Sites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양인태;김연준;최광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9-66
    • /
    • 1998
  •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환경의 질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쓰레기 매립지와 같은 환경 혐오시설의 부지 선정 문제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량의 환경학적 정보를 저장, 관리, 분석, 표시할 수 있는 GSIS와 의사 결정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AHP를 이용하여 쓰레기 매립지를 평가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AHP는 관계 집단들의 의견을 적절히 반영시킬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GSIS와 연관시켜 사용하면 환경 혐오시설의 부지 선정 문제에 매우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 PDF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매트릭스 작성을 위한 공간정보 특성 고찰 (Analysis of Spatial Information Characteristics for Establishing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Matrix)

  • 황진후;장래익;전성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4-55
    • /
    • 2018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수립과 이행을 위해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토지이용 항목과 변화들에 대해 공간 명시적으로 나타낸 Approach 3 수준의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LULUCF) 매트릭스 구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ULUCF 매트릭스의 산림 항목을 중심으로 연속지적도,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임상도, 도시생태현황지도를 활용하여 LULUCF 매트릭스 구축에 적합한 공간정보를 검토하였다. 각 공간정보에 대한 분류 속성 비교를 실시하였고 충청남도 보령시를 대상으로 양적(면적) 비교, 질적(특성) 비교를 실시하였다. 양적 비교 결과 산림의 면적이 임상도에서 최고 50.42%($303.79km^2$), 지적도에서 최저 46.09%($276.65km^2$)의 차이를 보였다. 질적 비교 결과 자료 구축 범위 차이, 자료 구축 목적 차이, 분류 항목 차이, 일필일목의 원칙 적용 여부의 차이, 자료구축 시기 차이 등 5가지 질적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도시생태현황지도가 LULUCF 매트릭스 구축에 가장 적합한 공간 정보로 판단되었으나 전국구축이 되어있지 않은 한계로 토지피복지도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또한, 도시생태현황지도, 임상도, 토지피복지도 등을 서로 종합하여 LULUCF 매트릭스를 구축하게 될 경우 각 공간정보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전국토를 대상으로 하는 1:5,000 수준의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및 도시생태현황지도가 완료될 경우 LULUCF 매트릭스 작성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통계모형을 이용한 도로 소음과 도시 구성 요소의 관계 연구 (The Spatial Statistical Relationships between Road-traffic Noise and Urban Components Including Population, Building, Road-traffic and Land-use)

  • 류훈재;박인권;장서일;전범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348-356
    • /
    • 2014
  •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traffic noise and urban components such as population, building, road-traffic and land-use, the city of Cheongju that already has road-traffic noise maps of daytime and nighttime was selected for this study. The whole area of the city is divided into square cells of a uniform size and for each cell, the urban components are estimated. A spatial representative noise level for each cell is determined by averaging out population-weighted facade noise levels for noise exposure population within the cell during night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ative noise level and the urban components is statistically modeled at the cell level. Specially, we introduce a spatial auto regressive model and a spatial error model that turns out to explain above 85 % of the noise level. These findings and modeling methods can be used as a preliminary tool for environmental planning and urban design in modern cities in consideration of noise exposure.

환경영향평가 개선을 위한 무인항공기 기반의 산림공간정보 활용 방안 연구 (Study on Application Plan of Forest Spatial Informaion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to Improv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성현찬;주용언;전성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3-76
    • /
    • 2019
  • UAVs are unmanned, autonomous or remotely piloted aircraft. As UAVs become smaller, lighter and more economical, their applications continue to expand. Researches on UAVs in the field of remote sensing show development methods and purposes similar to those on satellite images, and they are widely used in studies such as 3D image composition and monitoring.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satellite information and data are mainly used. However, only low-resolution images covering long distances and large-scale data allowing for rough examination are being provided, so their uses are seriously limit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construct spatial information of forest area by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eek efficient utilization and policy improvement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s a result, high-resolution images and data from UAVs can be used to identify the location status of SEIA, EIA, and small scale EIA project plans and to evaluate detailed environmental impact analysis. In addition, when provided together with infographics about Post-environmental impact investig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periodic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and evaluation can be used throughout the entire project contents and project post-process.In order to provide sophisticated infographics for the EIA, drone photography and GCP surveying methods were derived.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improving high-resolution monitoring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the forest sector.

서울시 환경정보시스템 구축방안 (Development of Seoul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 김윤종;조용현;원종석;김경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13-27
    • /
    • 1999
  • 본 연구는 서울시의 도시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전산정보화 함으로써 효율적인 서울시 환경관리 체계 수립과 환경정책 지원을 위한 의사결정시스템으로서 환경정보시스템의 구축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의 성격을 가진다. 연구결과로서 서울시 환경정보화 현황이 분석되었고, 두 차례에 걸친 업무분석을 통해 분야별로 서울시 환경정보화 대상업무가 도출되었다. 서울시 환경정보시스템의 모형 개발과 관련하여, 업무분석 결과와 상위 계획의 검토를 거쳐 서울시 환경정보화의 목표가 설정되었으며, 서울시 환경정보시스템 구성의 기본방향 하위시스템 기능 둥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실행방안 및 연차별 추진방안 등 추진전략과, 운영조직 및 사업추진조직 둥의 추진체계를 포함하는 서울시 환경정보시스템 구축추진방안이 제시되었다.

  • PDF

Sentinel-1 레이더 식생지수와 AutoML을 이용한 Sentinel-2 NDVI 결측화소 복원 (Gap-Filling of Sentinel-2 NDVI Using Sentinel-1 Radar Vegetation Indices and AutoML)

  • 윤유정;강종구;김서연;정예민;최소연;임윤교;서영민;원명수;천정화;김경민;장근창;임중빈;이양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1호
    • /
    • pp.1341-1352
    • /
    • 2023
  • 위성영상 기반의 정규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는 넓은 영역에서 주기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산림 및 농업 모니터링에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광학센서 기반 식생지수는 구름 등의 영향으로 일부 지역에서 결측을 가지기 때문에, 본 연구는 전천후 및 주야에 관계없이 관측 가능한 Sentinel-1의 합성 개구 레이더(synthetic aperture radar, SAR) 영상을 활용하여 Sentinel-2 NDVI 결측값을 복원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는 광학적으로 관측이 어려운 구름 조건이나 야간에도 NDVI를 추정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 Automated machine learning (AutoML)을 활용한 비선형 결측복원모델의 5폴드(fold) 교차검증 결과, 절대오차 7.214E-05, 상관계수 0.878의 NDVI 복원 성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시공간 연속적인 NDVI 생산 방법론을 발전시켜, 전천후 식생 모니터링에 필요한 정보 생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