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Diffusion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5초

지역기반 원격근무를 통한 출근 통행거리 저감이 CO2 배출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Effects of Commuting Distance Reduction by Teleworking on Carbon Dioxide Emission: Focusing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강지한;오규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89-102
    • /
    • 2014
  • 우리나라에서 지역기반 원격근무센터의 설치와 운영은 시범적 초기단계로서, 재택근무에 대한 연구가 다소 이루어진 바 있지만, 지역기반에서 원격근무센터가 본격적으로 확대 보급되었을 때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원격근무센터의 설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출근 통행거리의 저감 효과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역기반 원격근무센터의 $CO_2$ 저감효과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지역기반 원격근무센터로 인한 총 $CO_2$ 저감량은 1일 기준 911 톤(Ton)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분석 결과에 1년 근로일수(통계청)인 258일을 적용하면 연간 235,056톤(Ton)의 $CO_2$가 원격근무센터 설치에 의해 저감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원격 근무센터 설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환경적 효용을 정량적으로 산출함으로써 향후 원격근무센터의 효과적 입지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행정구역별 비교를 통해 원격근무센터 확대 실시에 있어 우선순위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트윗 텍스트의 유사 키워드 추출을 통한 이벤트 지역 탐지 기법 (A Method for Detecting Event-Location based on Similar Keyword Extraction in Tweet Text)

  • 임준엽;하현수;황병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5호
    • /
    • pp.1-7
    • /
    • 2015
  • 트위터는 다른 SNS와 대비되는 정보의 빠른 전파력과 확산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트위터를 이용하여 현실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탐지하는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트위터 사용자 개개인을 하나의 센서로 가정하고 그들이 작성한 트윗 텍스트를 분석하여 이벤트 탐지에 이용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연구들은 이미 많은 성과를 보이며 진행되어 왔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들로 인해 새로운 한계에 직면했다. 특히 선행 연구의 대다수가 이벤트의 발생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GPS좌표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는 최근 트위터 사용자들이 위치정보 공개에 회의적인 점을 감안하면 명확한 한계점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트위터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트윗 텍스트에서 위치정보를 추적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트윗 텍스트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키워드간의 관계를 고려해 연관단어를 군집화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실험을 통해 이벤트가 발생한 지역과 실제로 발생한 이벤트의 탐지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이 기존 매체들보다 빠른 탐지를 보임으로써 제안된 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2014년 국내 발생 HPAI(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시·공간 군집 분석 (Spatio-Temporal Clustering Analysis of HPAI Outbreaks in South Korea, 2014)

  • 문운경;조성범;배선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9-101
    • /
    • 2015
  • 본 연구는 질병역학의 관점에서 2014년 발생한 HPAI(H5N8)의 시간적 분포와 공간적 분포 그리고 시 공간을 동시에 고려한 분포를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2014년 발생한 HPAI의 전파 및 확산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 2014년 HPAI는 시간적으로는 모두 3 번의 파동을 형성하였으며, 공간적으로는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가 인접하는 지역, 전라북도의 곰소만 일대, 전라남도의 영암과 나주 등 영산강과 인접한 지역에서 높은 밀도를 보였다. 시 공간적으로도 공간 밀도가 높은 충청북도 음성지역, 전라북도 부안 고창지역, 나주지역에서 군집이 형성되었다. 다만, 충청북도 음성 진천, 충청남도 천안, 경기도 안성 이천 지역과 전라남도 영암 지역에서는 공간적인 밀도는 높음에도 불구하고 시간적인 범위가 넓음으로써 시 공간 군집이 형성되지 못하였다. 이는 이들 지역의 방역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곰소만과 인접하고 있는 전라북도 부안 고창 장수 지역은 시 공간 군집이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효과적인 방역이 수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무인 항공사진측량 정보를 기반으로 한 산사태 수치해석 및 위험도 평가 (Estimation of Potential Risk and Numerical Simulations of Landslide Disaster based on UAV Photogrammetry)

  • 최재희;최봉진;김남균;이창우;서준표;전병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6호
    • /
    • pp.675-686
    • /
    • 2021
  • 본 연구는 폐석적치장 하부 경사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지반변위를 조사하고 산사태에 의한 재해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무인 항공기 사진측량을 실시하여 지반변위의 크기와 범위를 조사하였다. 2019년 4월부터 2020년 7월까지 5회의 무인 항공기 측량의 평균 오차율은 0.011 - 0.034 m이었으며, 토층의 이동으로 2.97 m의 표고 변화가 발생하였다. 급경사지 중 일부 구역만 표고 변화를 보이며 이것은 상부의 폐석 하중의 영향보다는 강우 시 발생한 지하수에 의한 땅밀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LS-RAPID 시뮬레이션을 위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형자료로서 DEM과 DSM을 각각 10 m, 5 m, 4 m 격자로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공간 해상도가 높은 자료를 이용하면 DEM에서는 산사태 물질의 퇴적 범위가 지나치게 확대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지형을 세밀하게 반영한 DSM을 적용한 결과에서는 공간 해상도 변하여도 확산범위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하천형상에 따른 퇴적 거동을 정밀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DEM보다 DSM을 적용하는 것이 퇴적범위가 크게 확대되지 않으며, 현장상황을 잘 반영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Paradigm of the Transformation of Potential-Forming Space Under the Impact of Intellectual-Innovation Determinants

  • Khanin, Semen;Derhaliuk, Marta;Stavroyany, Serhii;Kudlasevych, Olga;Didkivska, Les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호
    • /
    • pp.340-346
    • /
    • 2022
  • The article examines the formation of the scientific paradigm of transformation of the potential-forming space of the regional economy under the influence of intellectual and innovative determinants. Based on the study of different scientific views on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potential-forming space through the study of approaches to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space" clarified the complexity and multifaceted nature of the phenomenon and found that its characteristics are relevant to the industrial development model. It is revealed that the leading modern trends related to the spread of globalization and regionalization,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diffusion of innovations accompany the transition from industrial to post-industrial development and its development, which leads to new development: changes production, nature and relations between business entities, etc. It is proved that under such conditions, the region as a key element of the economic system, acquires a leading role in achieving sustainable and balanced development. These processes significantly affect the potential-forming space of the regional economy under the influence of intellectual and innovative determinants, leading to the need for its transformation and change in accordance with modern realities, which is reflected in thorough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scientific paradigm based on the formation of its theoretical foundations and methodological basis. This study reveals the essence, role, functions, structur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scientific paradigm of transformation of the potential-forming space of the regional economy under the influence of intellectual and innovative determinants. It is proved that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cientific paradigm of transformation of the potential-forming space of the regional economy under the influence of intellectual and innovative determinants occurs in the context of building a post-industrial model of development, accompanied by consideration of the region as a spatial object territories from the physical plane to the spatial environment in which the development of human capital, innovation and self-development of the region. Taking into account the above, the article outlines the prerequisites and factors of formation of the scientific paradigm of transformation of the potential-forming space of the regional economy under the influence of intellectual and innovative determinants.

P2P1 유한요소를 이용한 LES (Large Eddy simulation using P2P1 finite element formulation)

  • 최형권;남영석;유정열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E
    • /
    • pp.386-391
    • /
    • 2001
  • A finite element code based on P2P1 tetra element has been developed for the large eddy simulation (LES) of turbulent flows around a complex geometry. Fractional 4-step algorithm is employed to obtain time accurate solution since it is less expensive than the integrated formulation, in which the velocity and pressure fields are solved at the same time. Crank-Nicolson method is used for second order temporal discretization and Galerkin method is adopted for spatial discretization. For very high Reynolds number flows, which would require a formidable number of nodes to resolve the flow field, SUPG (Streamline Upwind Petrov-Galerkin) method is applied to the quadratic interpolation function for velocity variables, Noting that the calculation of intrinsic time scale is very complicated when using SUPG for quadratic tetra element of velocity variables, the present study uses a unique intrinsic time scale proposed by Codina et al. since it makes the present three-dimensional unstructured code much simpler in terms of implementing SUPG. In order to see the effect of numerical diffusion caused by using an upwind scheme (SUPG), those obtained from P2P1 Galerkin method and P2P1 Petrov-Galerkin approach are compared for the flow around a sphere at some Reynolds number. Smagorinsky model is adopted as subgrid scale models in the context of P2P1 finite element method. As a benchmark problem for code validation, turbulent flows around a sphere and a MIRA model have been studied at various Reynolds numbers.

  • PDF

GIS를 이용한 학군 설정의 시론적 연구 -종로구 국민학교 학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chool district of elementary schools at Chongro-gu, Seoul)

  • 최운식;윤성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11-323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종로구 국민학교의 입지와 대안적 학구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 구 방법은 GIS Network의 입지-배분 모델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입지에 각 변인의 가중치를 고려하지 못하고 분석 단위를 동단위로 했다는 점과 학구 조정에 있어서 학생들의 분포를 도로상에 균등하게 분포시킴으로써 현실과의 차이점이 다소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을 밝혀 둔다. 기존의 학군에서 평균 통학거리 8,568m, 최대 통학거리 16,804m 인데 반하여 수정된 최소 통학거리 학군에서는 평균 통학거리가 8,328m, 최대 통학거리가 16,182m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학안정성 중심의 조정 학군에서는 평균 통학거리가 8,517m, 최대 통학거리가 16,768m이었다.

  • PDF

국내 소매.소비지리학의 연구 동향과 과제 (Korean Geographies of Retailing and Consumption)

  • 정수열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94-406
    • /
    • 2011
  • 국내 소매업은 슈퍼마켓, 편의점, 할인점, 기업형 슈퍼마켓과 같은 신규 업태의 등장과 함께 성장했으며 최근에는 업태들 간의 경쟁과 갈등이 있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제지리학의 한 분야인 소매 소비지리학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매 소비지리학에서 대다수 연구가 새로운 업태가 등장할 때마다 그들의 입지, 확산, 상권을 분석하는데 주력하고 있음을 보였다. 연구 다변화를 위해 본 논문은 새로운 소매 소비공간이 창출되고 있는 점을 주목하고 그를 개념화하여 다양한 연구 주제를 제시하였다. 새로운 소매 소비공간은 여가, 복지, 환경, 혹은 기부와 결합되기도 하고 전통적인 사적 공간인 집에 전자매장을 개설하여 침투하고 있으며 전지구적 생산과 분배 시스템에 편입되고 있다. 이러한 소매 소비공간의 변화와 더불어 다양한 지리적 스케일에서 소매의 공간구조도 향후 소매 소비지리학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 PDF

저압 MOCVD 방법으로 성장된 InGaAsP 에피층에서의 ordering 현상 (Ordering in InGaAsP Epitaxial Layers Grown by low Pressure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 김대연;문영부;이태완;윤의준;이정용;정현식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87-194
    • /
    • 1998
  • 저압 유기금속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600^{\circ}C$$620^{\circ}C$에서 InP 기판 위에 격자 일치된 InGaAsP 에피층을 성장하였다. InGaAsP 에피층의 기상에서의 조성에 따른 고상에 서의 조성의 변화를 분석하여, 3족 원소의 경우에는 기상에서 반응이 일어나는 표면으로의 3족 원료의 확산에 의해 조성이 결정되었으며, 5족의 경우에는 As과 P의 증기압의 차이와 $AsH_3$, $PH_3$의 열분해 효율의 차이에 의해 조성이 결정되었다. 측정 온도에 따른 PL스펙트 럼의 변화를 분석하여 75K 이하의 저온에서 비정상적인 PL스펙트럼 피크의 거동을 관찰하 였다. 이러한 PL피크의 비정상적인 거동은 투과 전자현미경 분석과 투과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국부적인 ordering의 차이에 의한 에너지 갭의 공간적인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 PDF

도시효과를 고려한 일 최저기온의 월별 평년값 분포 추정 (Implementing the Urban Effect in an Interpolation Scheme for Monthly Normals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 최재연;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03-212
    • /
    • 2002
  • 주로 도시에 소재하는 표준기상관측소 자료의 공간 내삽에 의해 일 최저기온의 평년값을 추정할 때, 도시 열섬효과의 전이에 의해 전원지역에서 과다추정 되는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도시열섬효과의 공간적인 확산을 모의하기 위해 먼저 불연속적인 변량인 시군 행정구역단위 인구를 지표피복도 상의 시가지 픽셀에만 할당하여 규칙적인 격자점 단위의 평균인구로 변환함으로써 연속적인 변량인 수치인구모형(DPM)으로 표현하였다. 다섯 가지 평활화 DPM 가운데 최적으로 판명된 사방 2.5 km DPM과 기온추정 오차간 회귀식을 기존의 거리-고도 보정 내삽과정에 결합하였다. 이 방법을 적용하여 추정된 평년(1971-2000) 월별 일 최저기온의 추정오차는 기존방법에 비해 최소 50%가 개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