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 evaluation

검색결과 3,018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생 선호도 분석 기반 대학 공용공간 리노베이션의 사후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 Evaluation for University Public Space Renovation based on Analysis of Students' preference)

  • 최호순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5-23
    • /
    • 2020
  • Nowadays, many educational facilities are being renovated.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a system for post renovation of educational spaces, users are less satisfied with the spaces after the renovation and there is a limit in establishing future directions for improving educational space renov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users' satisfaction in renovation space planning of educational spaces and to establish a system for management after renovation. As a specific research method, the space preference of students was used to evaluate the space after renovation. By researching the opinions of the students who use the most educational space, not only the direction of the renovation plan of the future educational space can be given but also the user's opinion can be reflected in the spatial plan in detail. In terms of management of future educational space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study for developing post evaluation indicators for renov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Digital Library를 위한 텍스타일 프린트 디자인의 이미지 유사성 평가 (Similarity Evaluation on Images of Textile Print Design for Digital Library)

  • 이채정;김주용
    • 감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631-637
    • /
    • 2007
  • 이미지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톤(tone), 즉 명도와 채도로 결정하여 정보 엔트로피를 계산하여 상관 계수를 계산하였다. 이미지의 톤을 알아보기 위해 영상정보의 색 공간을 RGB color space에서 HSI color space로 전환하였다. 이후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해 이미지의 전체 픽셀수가 아닌 엔트로피 값의 범위에 따라 전체 70%의 픽셀 또는 이미지를 가장 많이 구성하는 세 가지 톤의 픽셀 수에 의해 결정되었다. 'Romantic'이라는 인간의 감성으로 판단된 18개의 영상정보를 선정하여 위의 모델을 적용, 이미지 유사성을 판단하였다.

  • PDF

병원건축의 BIM적용을 위한 공간프로그램유효성평가의 전제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conditions of Space Program Validation of Healthcare Architecture for Application of BIM Technology)

  • 성준호;김길채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9-30
    • /
    • 2013
  • Purpose: The planning and design of hospital generally requires the participation and consultation of skilled experts since it has more complex space program than any other buildings. Therefore, the BIM systems for the planning of hospital have been tried continuous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econdition for space Program validation of healthcare architecture based on BIM, which is recently receiving wide attention. Method: For this study, United States, Australia and Finland's guidelines were analyzed among the description space program validation system in 14 overseas BIM Guidelines. And the propose precondition that can be applied to healthcare architecture from among these description of space program validation items, target, process etc for General building. Result: 1) spatial program validation is the following four evaluation phase. Step 1: Standard setting phase Step 2: BIM model accuracy assessment phase Step 3: space validation phase Step 4: Performance evaluation phase 2) The standards for the building elements at Standards Setting stage is considered to the standards for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General building. 3) Healthcare Architecture Area calculation method is considered to be reasonable that borrowing the area calculation standard of general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 UIA of international standards. However, Be proposed of measuring method that reflect the efficiency of the design process step-by-step area calculation method.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dicators of reflect the Hospital uniqueness have to developed. And the research needs to be carried out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purpose for healthcare architecture of feature-oriented. Implications: In this paper like to understanding that precondition of space program validation considering the BIM. As a result, understanding to condition about step of the evaluation, the evaluation standards. Is expected to keep the focus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that reflect the uniqueness of the hospital for the efficient evaluation of the Hospital building.

학교 공간 디자인을 주제로 한 과정중심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중학교 가정교과 주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Process-Based Evaluation Program on School Space Design: Focusing on the Housing Life Area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Middle School)

  • 강은영;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81-101
    • /
    • 2020
  • 이 연구는 중학교 가정교과 주생활 영역에서 학교 공간 디자인을 주제로 하여 과정중심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ADDIE 교수설계 모형에 따라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학교 공간 디자인을 주제로 한 과정중심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총 9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행한 후 학생들에게 프로그램 실행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학교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 과제를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채점기준을 마련하고 학생용 평가 자료 8개, 교사용 평가 자료 2개, 총 9차시의 수업·평가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문항이 평균 3.6점~4점(4점 만점)으로 내용타당도와 내용구성이 적절하다고 검증받았다. 둘째, 학교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교 공간 디자인 수업, 과정중심평가, 관심 및 흥미 3가지 영역 모두 평균 4.12~4.27점(5점 만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설문 조사와 심층면접 결과를 종합해볼 때 프로그램이 학교 공간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학생들은 제시한 성취기준에 도달할 수 있었으며 자기평가, 동료평가 및 교사의 피드백은 학습 과정 중에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학습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이 일부 중학생들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후속 연구로 연구 대상 및 평가의 영역, 학교 공간 디자인 수업의 확대를 제언하였다. 이 연구는 가정 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과정중심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론과 실천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가정과 교육의 주생활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교사와 학생이 학교 공간 디자인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중요도평가를 통한 공공도서관 디지털공간 계획요소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Space planning Elements through the Evaluation of Importance)

  • 임은영;황연숙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33-149
    • /
    • 2016
  • 2000년 공공도서관에 대한 정보화 사업의 일환으로 디지털자료 전용공간이 대다수의 도서관에 마련되었지만 획일적인 디자인으로 인해 이용자의 다양한 행위를 수용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디지털공간의 공간계획요소에 대한 문헌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디지털 세대 이용자의 새로운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공공도서관 이용자가 정보활동 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공간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평가를 실시하였다. 중요도 평가를 위하여 1차적으로 각 기관의 도서관 기준 및 평가지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50개의 요소가 도출되었고 이를 이용자 150명에게 설문조사 하였다. 중요도의 평균값 이상 도출된 요소를 중심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비슷한 성격의 요소들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요인별 공간계획요소를 분류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계획적요인, 디자인적요인, 심리적요인, 기술적요인 총 4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요인별 디지털공간계획요소들을 평가도구로 하여 차후 공공도서관 공간평가와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서 구체적인 공간계획방안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가상현실 주거공간을 위한 사용자경험 평가 방법 (The Method of User Experience Evaluation for Virtual Living Space)

  • 김미선;백희원;서혜란;고일주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795-806
    • /
    • 2017
  • 본 논문은 가상현실 주거공간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경험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한 시뮬레이션에 제안한 사용자경험 평가 요인을 적용하여 사용자경험을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사용자평가 방법론은 기존 사용자평가 방법론에 기반하되, 가상현실 주거공간의 특성에 맞도록 사용 경험과 평가 요인을 변경하여 수립하였다.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한 가상현실 주거공간 시뮬레이션은 실제 사용자가 현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실제 공간과 유사하게 구성하였고, 사용자들이 현실에서 사용하는 오브젝트들을 각 공간에 배치하였다. 실험 대상자들은 주어진 시나리오대로 작업을 수행한 뒤, 시뮬레이션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시뮬레이션의 주요 목표인 사용자에게 현실감을 느끼게 하는 항목이 예상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추후 시뮬레이션은 현실감을 높이는 요소의 추가하거나 확장하는 방식으로 수정 방향을 설정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렇게 본 논문에서 제안한 UX평가 방법은 콘텐츠 개발자 또는 디자이너에게 가상현실 주거공간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보다 객관적인 지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감성유형에 따른 주거 실내디자인요소 적용방안 (A Study on Applications of Housing Interior Design Elements according to the Sensibility Type)

  • 박지민;박은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65-17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application elements of housing interior design according to user-oriented sensibility types. The sensibility evalu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arget the general user 118 people using the sensibility evaluation tool for housing interior spa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To produce the 'cozy' space, the colors and materials giving soft and natural feeling should be used. For the 'practical' space, type of ceiling and window that give the visually open feeling, the user-oriented furniture arrangement that allows using the space efficiently. For the 'cheerful' space, the simple and natural effects should be produced by using closed space that stable. For the 'traditional' space, the natural fishing material having rough texture should be used. For the 'unique' space, the space contained the dynamic feeling by the diagonal or vertical line and the graphic expression in the wall. For the 'congenial' emotional space, basic is the symmetric, stable and simple space. On the other hand, for the material, small size, natural texture or typical and soft materials should be used. For the 'sensuous' space, the dynamic and vertical sense of space should be expressed by the type of ceiling. The most important elements for the space of 'gorgeous' sensibility, is the color.

리모델링 공동주택단지의 외부공간 성능평가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Outdoor Space for Remodeling Apartment)

  • 김호윤;이상석;유주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7
    • /
    • 2016
  • In this study, remodeling projects are perceived as a sustainable urban management policy to boost the value of old apartments and stimulate urban regeneration and development. To evaluate the physical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external spaces of remodeled apartments, an evaluation model was developed. After applying it to the target plac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nalysis of the external space change index of the target apartments revealed that institutional standards are necessary in line with the building arrangement type, parking lot expansion method, and changes in the building-to-land ratio. Second, the score ratio as to the external space change index performance is as follows: safety (48.30); pleasantness (25.90); convenience (18.90); eco-friendliness (14.90). In other words, "safety" had the biggest score ratio. Third, to boost the external space performance of remodeled apartments, the needs of residents and neighboring environmental plans should be considered from a communality standpoint.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실내공개공지 공공성 평가지표 개발 연구 - 뉴욕시 실내공개공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Publicness Evaluation Index of Indoor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Using Space Syntax - Focused on New York City Indoor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

  • 김정우;최재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4호
    • /
    • pp.83-9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ublicness evaluation index for indoor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POPS). In order to develop the index, 10 cases of indoor POPS in New York City were analyzed using Visibility Graph Analysis by evaluating its accessibility and visual openn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ccessibility and openness of indoor POPS were higher compared to other public spaces on the first floor. (2) Cases with high accessibility index installed a higher number of entrances. (3) Cases with high openness index were mostly composed of a glass wall. (4) The publicness index was high when the lobby and the indoor POPS are shared. (5) Atrium types were highly utilized and the evaluation index was also high whereas, linear types were less utilized and the evaluation index was lower.

종합병원 외래 진료부의 실내공간특성에 대한 사용자 평가 - H 종합병원의 6개 진료과에 대한 환자평가를 중심으로 - (User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in Outpatient Department of General Hospital - Focused on Outpatients' Evaluation of 6 Departments -)

  • 오찬옥;김석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20-28
    • /
    • 2013
  • This study attempts to grasp outpatients' demands for interior space of outpatients departments through evaluating them. Six departments in H general hospital such as surgery, orthopedics, neurosurgery, plastic surgery, obstetrics, and urology, were evaluated. Evaluating items were consisted of ones related to spatial layout, furniture, interior climate, color and finishes, and dressing room of each waiting area, doctor's room and treatment room in six departments. The subjects were 210 outpatients who were using one of six departments. The results were ; 1) The outpatients evaluated very high interior space of waiting areas in six departments. 2) They evaluated doctor's rooms to be relatively high. However, visual privacy in there was not enough met. 3) The treatment room was also evaluated relatively high. However, furniture and equipment arrangement, consideration for patients and a dressing room were evaluated relatively low. 4) The outpatients' evalu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ir gender and age. The male evaluated them higher than the female. Also, the older patients evaluated them higher than the younger. 5) The outpatients responded that ventilation, comfort interior, and space arrangement were very important elements in healthcare facility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