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 Travel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2초

The Storage Space Versus Expected Travel Time of Storage Assignment Rules in Automated Warehousing System

  • Ko, Chang-S.;Hwang, Hark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29
    • /
    • 1992
  • To compute the expected travel time of storage and retrieval (S/R) machine in automated warehousing system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assumed that equal number of rack openings are required regardless of the nature of storage assignment rules. It is known that randomized storage assignment rule usually needs less storage to space than needed for full turnover-based assignment rul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compute the expected travel time of each assignment rule more equitably by taking into account the storage space required for each rule. First, the rack storage space is determined which satisfies a given service level. Then based on the standard Economic Ordering Quantity model, trade-off analysis is carried out which relates the storage space to the expected travel time of the S/R machine. Finally, example problems are solv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each assignment rule under varying conditions of demand pattern and service level.

  • PDF

Kalman Filter와 Space Syntax를 이용한 GIS 기반 다중경로제공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Multi-Path Finding Model Using Kalman Filter and Space Syntax based on GIS)

  • 류승규;이승재;안우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49-158
    • /
    • 2005
  • 기존의 최적경로 알고리즘은 통행거리 통행시간, 통행량 등의 통행값을 통하여 최적경로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제시된 최적경로는 사용자의 도로에 대한 인지도를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자신이 인지하거나 다수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경로를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행거리와 통행시간을 고려하면서 사용자의 인지도를 고려한 최적경로를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기존의 통행시간 예측방법에는 ARIMA모형, Kalman Filter모형, 확률과정모형, 신경망모형, 회귀모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단기 통행시간 예측에 적합한 Kalman Filter 모형을 적용하였다. 인지도를 고려한 최적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은 회전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적경로 탐색시 최소한의 회전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회전에 대한 가중치를 주는 방법은 경험적인 방법으로서 만약 신설된 길에 대한 경로 제공, 또는 개량된 길에 대한 경로를 제공할 때 문제점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간구조의 속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기법인 Space Syntax 이론을 적용하였다.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본 연구에 의한 알고리즘이 기존의 최적 경로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기본계획 단계에서 활용가능한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공간배치 시뮬레이터 개발 : 토지이용계획도와 교통계획도를 이용한 이동거리 발생량 추정을 중심으로 (Space Allocation Simulator in Early Urban Design Stage to Reduce Carbon Emissions : Focused on the Prediction of the Travel Distance Using Land Use and Transportation Plan)

  • 이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321-5329
    • /
    • 2011
  • 공간배치는 총 에너지 사용량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교통 부분에서의 탄산가스 배출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이슈이다. 교통 부분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 방법으로서 고효율의 교통수단 개발과 함께 도시에서의 이동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수 있는 공간배치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계획 초기 단계에서 토지이용계획 및 교통계획을 기반으로 해당 도시에서의 이동 발생량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계획 및 교통계획에서 획득할 수 있는 정보, 즉 단위 기능 용도 지역의 위치, 면적, 연면적, 도로체계와 같은 정보만을 이용하여 이동량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공간 구문론을 이용한 존내 자동차 배출량 추정 모형 (Mobile Source Emissions Estimates for Intra-zonal Travel Using Space Syntax Analysis)

  • 이규진;최기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7-122
    • /
    • 2016
  • 이 연구는 교통수요모형에 기반한 자동차 배출량 산정 시 존내 배출량이 누락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교통수요모형과 결합하여 활용될 수 있는 존내 배출량 산정 모형을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도시-교통의 상호작용에 기안하여, 도시공간구조는 접근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사람들의 통행행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도시 도로의 구조적인 특성을 정량화할 수 있는 공간 구문론(Space Syntax) 이론 등을 활용하여 존내 통행거리, 존내 통행량, 존내 평균 통행속도, 그리고 이들을 조합한 존내 배출량 추정 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 결과, 도시 공간 구조는 존내 배출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압축도시이고, 대지 면적이 좁고, 난개발 지수가 낮고, 격자형 도시일수록, 존내 자동차 배출량은 적게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반영하여 구축된 본 연구 모형은 기존 모형에 비해 약 44-46%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이를 수원시 자전거 도로 개선사업에 적용하여 배출 저감량을 산정한 결과, 존간 배출 저감량만 고려한 기존 결과와 비교해 약 2배 높은 배출 저감량이 산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국가 배출량 산정에의 활용 및 다양한 교통-환경 정책의 효과 평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간과 장소의 문화적 기능: 여행 프로그램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Function of Space and Place: Its Focus on Travel Program)

  • 함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68-175
    • /
    • 2019
  • 본 논문은 인간의 다양한 활동이 펼쳐지고 있는 공간과 장소의 특징에 따른 유기적 관계의 현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갖고 있다. 그에 따른 인간의 다양한 경험의 확산과 상호구축망을 형성하는 공간과 장소의 상호작용은 개인 또는 집단적 경험의 확장성을 마련하는 계기를 조성한다. 인간 활동의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는 공간과 장소는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다. 특히, 국내 여행프로그램을 통해서 공간과 장소의 표현방식은 다양한 '경험의 장'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에 따른 여행프로그램의 구성과 표현방식은 기존의 기행적 스타일을 벗어나 생각하고, 사고할 수 있는 '체험의 장' 문화의 형성을 통해 공간과 장소가 단순한 경험이 아닌 사유의 대상으로 변모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MBC 플러스 채널의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여행 프로그램을 통해서 표출되고 있는 공간과 장소성이 갖고 있는 체험을 통해서 표출되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스토리 전개구성 분석결과는 공간과 장소의 체험은 음식과 커뮤니케이션의 삼중적 관계에 따른 다양한 문화적 할인의 경계가 최소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이어 소통 구조의 분석결과는 주체와 대상간의 공감상황, 공감주체, 공감도구, 공감내용을 통해서 리얼리티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문화적 차이와 경계의 간극을 최소화하는 과정을 통해서 수용자의 감성코드를 전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Space Syntax를 이용한 교통수요예측의 중력모형 저항함수의 개선방안 (A Study on Improvement of Gravity model Decay Function of Transporting Demand Forecasting Considering Space Syntax)

  • 장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17-631
    • /
    • 2019
  • 본 4단계 교통수요예측모형의 통행분포단계에서 중력모형이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력모형변수(통행시간, 통행비용 등)의 가변적인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접근성 속성을 단일 마찰인자로서 표현할 수 있는 보다 현실적이고 장래 활용이 용이한 신규 마찰인자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신규 마찰인자 도출을 위해 도시공간구조의 특성을 정량화할 수 있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활용하여 Link 단위 통합도를 도출 후 통행시간, 통행거리 관계를 이용해 일종의 대리변수로서의 신규 마찰인자를 도출하였다. 대수전환을 통한 마찰인자별 정산결과, 기존 마찰인자(최단거리, 통행시간) 대비 유사하거나 더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양한, 검증지표를 활용하여 기존 마찰인자와의 비교시, 전체적으로는 기존 마찰인자와 유사하지만, 단거리 구간 및 장거리 구간에서 설명력이 뛰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기존 최단거리의 한계에서 벗어나 접근성을 보완할 수 있는 통합도 지표를 이용하여 신규마찰인자 도출 및 적용이 가능하고, 장래 활용성에서 좀 더 장점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고려한 통합보행네트워크 통행배정모형 (A Pedestrian Network Assignment Model Considering Space Syntax)

  • 이미영;김종형;김은정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7-49
    • /
    • 2015
  • Space Syntax에서 개별링크의 통합도가 크면 네트워크에서 접근이 편리함을 나타낸다. 보행자가 통합도가 높은 링크들의 연결성을 경험하도록 보행로를 설계하거나 집적도가 높은 토지이용을 유도하는 것이 타당하다. 보행자 통행배정모형은 보행수요(보행자)의 불편도(통행거리 및 시간) 등을 최소화하는 경로선택을 반영한다. 이는 보행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실제 통행패턴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Space Syntax와 보행자 통행배정모형을 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천시 부평역을 대상으로 통합모형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부평역 주변은 통합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나 보행전용구역인 역 북부지역은 상대적으로 통합도가 낮게 나타났다. 모형의 구조는 통합도가 높은 지역에 실제 이동수요를 반영하여 통합도가 적합하게 유지되는지 설명이 가능하다. 통합모형은 Space Syntax의 네트워크에 대한 가시거리를 나타내는 축선도와 건물과 도로로 구획된 링크를 결합하는 방식과 보행자 통행배정모형의 기종점의 유사경로를 파악하여 균일 배정하는 방안을 도입한다. 제안된 모형은 보행개선지역 및 사업의 사전/사후평가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추공 탄성파 주시 토모그래피의 신뢰도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Evaluation of the Cross-well Seismic Travel-time Tomography)

  • 이두성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3권4호
    • /
    • pp.330-335
    • /
    • 2010
  • 시추공 주시 토모그래피에 의하여 도출된 속도 영상의 신뢰도 평가를 위하여 파선-속도격자의 결합도와 시스템 행렬의 역산 특성 분석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은 SIRT법에 의하여 도출된 속도 모델과 이를 도출한 초동 주시와 파선 정보이다. 파선-속도격자 결합도는 파선 밀도 즉 격자 당 투사 파선 수와 파선 선분들의 합으로 산출하였고, 도출된 속도모델의 분해능 및 불확실성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공간(초동주시)과 모델 공간(속도모델)을 관련짓는 시스템 행렬의 특이 값 분해로부터 도출하였다.

백화점 직영 여행사를 위한 인테리어 디자인 (Interior design for the travel agency in Karstadt department store in Dusseldorf)

  • 이란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3-216
    • /
    • 2005
  • This work aims on the one hand at the sublation of the typical image of the existing travel agencies and on the other at the making of new image that meets the clients' wishes. Looking in the face that in the existing travel agencies most clients are straying with the overflowing and selling-oriented informations, this design work pursue the image making of a new atmosphere of travel agency, in which the clients can make a rational choice. In complying with the policies of the travel agency in the Karstadt department store I have arrived at the basic design theme: the desire for travel depends on how organically and reciprocally the interest on the travel and the presentation of the travel information are combined with and permeated into each other, and furthermore how multifariously and plentifully these reciprocal combining and permeating are put on the stage. So it follows that the travel agency must let the clients indirectly experience the wished travel through staging various kinds of experience spaces. Consequentially the basic concept of the design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overlapping-transmitting and permeating-suspending.

  • PDF

루이스 칸의 회화에 나타난 건축적 공간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ation of Architectural Space in Painting of Louis I. Kahn)

  • 최영아;김주성;이강업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65-7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development process of space concept by studying on the Louis I. Kahn's painting as pre-architectural thinking. Generally the idea of an architect is represented with lots of mediums, and the architectural thinking i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In his early days, he, as an architect, made many travel sketches of Europe. In these clays, painting was the most significant medium to him. Since 1950's, he also left lots of sketches affected by abstract painting in addition to travel sketch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He found the image of antiquity from his painting and he made this image into abstraction in the facade. And the image of ruins was translated the layered space which was the transitional space. And he presented 'marche' through the series of painting of various view point. The Concept of 'marche' was translated into the connections of repetitive mass in the architectural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