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10

검색결과 6,163건 처리시간 0.037초

조사료 수확기의 견인력 및 소요동력 분석 (Analysis of traction and power requirement for forage harvester)

  • 홍성하;강대인;조용진;이규승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80-80
    • /
    • 2017
  • 국내에서 대부분 생산되는 사료(사일리지) 수확 작업은 베일 생산 및 비닐 래핑 작업이 독립적으로 수행되고 있어서 비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조사료 수확기는 수집, 롤링, 베일 네트 생성, 래핑, 래핑 종료 및 베일 방출작업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제작하였다. 통합형 다목적 조사료수확기의 설계는 3D 디자인 툴 (CATIA V5R18)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기구부 23 파트 어셈블리, 전기제어 어셈블리, 유압요소기술을 통합하여 통합시작기를 제작하였다. 기초 프레임, 오거장치파트, 픽업장치파트, 하부롤러파트, 상부롤러파트, 하부 프레임 및 주행부 파트, 래핑회전파트, 롤러부 구동 동력부, 유압파트, 전기제어파트, 드로우바파트, 체결 및 컨트롤러 파트 등 25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작기의 견인력 및 소요동력 분석은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Brixius (1987) 제안 모델을 체택하여 분석하였다. 이 Brixius 제안 모델은 견인력 예측에서 토양변수 및 토양강도 특성을 나타내는 원추지수 (Cone Index, CI)를 이용하여 트랙터의 견인력 예측에 사용하였다. 또한 트랙터-조사료수확기 시스템의 소요 견인력을 예측하는데 있어, 트랙터-조사료수확기 시스템이 운용되는 토양조건과 트랙터의 마력에 따른 소요 견인력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3수준의 토양조건 (CI: 356 kPa, 543 kPa, 1,429 kPa)을 적용하였으며, 베일의 개당 최대무게는 최고 수준인 옥수수 기준으로 800 kgf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3수준의 CI 조건은 연구팀에서 선행연구과정 (토양특성에 따른 최적 경운작업 시스템 개발, 2006)에서 분석한 전국 10개 지역의 33개 지점의 경반층 CI지수의 측정범위인 1,050-3,170 kPa에 대해 견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열악한 조건 수준을 적용하였다. 각 작업에 사용된 소요동력은 베일 작업시 (ASABE D497.7, 2011) 그리고 래핑작업시 (Zhortuylov et al., 2013)를 사용하였으며 두 소요마력을 트랙터-조사료 수확기 시스템의 필요 소요마력의 합계로 계산하였다. 트랙터-조사료수확기 시스템의 최소 소요 동력, 차축 소요 동력과 PTO 소요 동력을 Zoz and Grisso (2003)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ASAE의 작업속도 및 작업효율을 적용하였는데, 적용된 조사료수확기의 현장 작업효율은 60-86%의 범위이고 일반적으로 70%를 적용하고 이때 작업속도는 2.5-8.0 km/h이며 전형적으로 5.0 km/h를 기준하고 있다. 자주식 (SP; sief-propelled machine) 조사료수확기의 경우 작업속도가 2.5-10.0 km/h의 범위에서 작업효율은 60-85% 범위이다. 적용되는 조사료 수확기의 작업효율인 60-85%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작업효율인 70%를 적용하면 트랙터의 소요동력은 95hp를 적정 작업환경으로 하였다.

  • PDF

광양만 조간대의 퇴적토 및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내 중금속 분포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Sediment and Ruditapes philippinarum Inhabited in the Intertidal Zone of Kwangyang Bay)

  • 곽영세;황보준권;이충일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5호
    • /
    • pp.297-301
    • /
    • 2001
  • 광양만 조간대 주요 10지점과 청정해역으로 알려진 남해와 고흥 2곳의 대조구를 선정하여 퇴적토의 중금속(As, Pb, Cd, Hg)과 바지락(R. Philippinarum) 근육조직내 중금속(As, Pb, Cd Hg) 농도분포를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여천공단 연안지역(SY-지점 G, H, 1, J)의 퇴적토내 중금속함량은 광양제철소 인접 연안지역(SP-지점 A, B, C)의 값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는 여천공단 지역의 장기적이고도 활발한 연안 산업활동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광양제철소 인접 연안지역의 중금속 함량은 대조구 지역(CS)의 그것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광양만 연안과 대조구 지역에서 채취한 바지락 생체조직 내 중금속 함량은 전 지점에서 검출되지 않은 Hg를 제외하고, As가 1.32±0.92∼3.65±0.10, Pb이 0.69 ±0.52∼2.49±0.57, Cd이 0.07±0.07∼0.31±0.05(㎎/㎏, FW)이었다. 바지락 생체조직 내 중금속 함량을 4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 여천공단 지역(지점 G, H, I, J)과 대조구 지역(지점 K L)의 값이 다른 두 지역(광양제철소 인접 연안지역과 광양시 호안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조간대 퇴적토과 그곳에 서식하는 바지락 근육조직간의 중금속(As, Pb, Cd) 분포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 PDF

살충성 Imidacloprid의 가수분해 반응 메카니즘 (Kinetics and Mechanism of Hydrolysis of Insecticidal Imidacloprid)

  • 유성재;강문성;성낙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1호
    • /
    • pp.53-57
    • /
    • 1997
  • 중성과 알카리성의 $45^{\circ}C$, 15%(v/v) dioxane 수용액중에서 살충성 imidacloprid (lUPAC:1-(6-chloro-3-pyridylmethyl)-3-N-nitro-iminoimidazolidine-2-ylideneamine)의 가수분해 반응속도 상수를 측정하고 pH-효과, 용매효과(m=0.04, n=0.30 및 m${\ll}$l), 열역학적 활성화 파라미터(${\Delta}S^{\neq}$=-0.03e.u. 및 ${\Delta}S^{\neq}=16.14\;kcal{\cdot}mol^-$), 반응 생성물 분석등의 결과로부터 반응 속도식($K_{obs}=4.56{\times}10^{-3}[OH^-]$)을 유도하여 특정 염기촉매 반응($K_{OH^-}$)으로 사면체($sp^3$) 중간체인 1-(6-chloro-3-pyridylmethyl)-2-hydroxy-2-imidazolidinylisonitraminate(I)을 거쳐 imidazolidine 고리 열림반응으로 $\beta$-3-(6-chloro-3-pyridylmethyl)aminoethyl-1-nitrourea(III)를 경유한 다음에 1-(6-chloro-3-pyridylmethyl)aminoethyl-1-nitrourea(III)으로 분해되는 일련의 친핵성 첨가-제거($Ad_N-E$) 반응메카니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45^{\circ}C$의 중성(pH 8.0)에서 반감기(t1/2)는 약 4.5개월로 잔류성이 큰 화합물임을 알았다.

  • PDF

월경통에 사암침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연구 (Effect of Sa-am Acupuncture Treatment on the Dysmenorrhea(Pillot Study, Single Blind, Randomized, Sham Acupuncture, Controlled Clinical Trial))

  • 이인선;윤현민;정경근;김수민;민영광;김철홍;박성환;박지은;최선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63-79
    • /
    • 2007
  • Objectives : Korean traditional acupuncture Theory, Sa-am's 5 phases acupuncture method was originated in 1644-1742, in the middle of the Cho Sun dynasty.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Sa-am Acupuncture Treatment on dysmenorrhea of Women. Methods : The subjects were 49 volunteers who were suffering for dysmenorrhea, employed using Measure of Menstrual Pain (MMP) questionnair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cluding Sa-am acupuncture treatment group(n=23) and minimal acupuncture treatment group(n=26). They had agreed to take part in tIris experiment, with didn't take any anodyne drugs. In the acupuncture group, subjects were stimulated at $GB_{41}$, $SI_3$, $GL_{66}$, $SI_2$(Small intestine jung-guk) and $SP_6$. In the control group, subjects were needled at $L_{10}$, $S_{40}$, $P_5$, $G_{40}$ points have any effect on dysmenorrhea. A total of 5 acupuncture sessions were performed for each patient depending on the individual menstruation cycle. The MMP score by using 7 questions and the Menstrual Symptom Severity List(MSSL-D)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menstruation cyc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frequency, percentage,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10.0 WIN Program. Results : Acupuncture treatment produc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dysmenorrhea in two groups, b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shown in the acupuncture group compare to control group. Conclusions :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Acupuncture Treatment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symptom of Dysmenorrhea.

  • PDF

Production of Vanillin from Ferulic Acid Using Recombinant Strains of Escherichia coli

  • Yoon Sang-Hwal;Li Cui;Lee Young-Mi;Lee Sook-Hee;Kim Sung-Hee;Choi Myung-Suk;Seo Weon-Taek;Yang Jae-Kyung;Kim Jae-Yeon;Kim Seon-Wo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4호
    • /
    • pp.378-384
    • /
    • 2005
  • Vanillin is one of the world's principal flavoring compounds, and is used extensively in the food industry. The potential vanillin production of the bacteria was compared to select and clone genes which were appropriate for highly productive vanillin production by E. coli. The fcs (feruloyl-CoA synthetase) and ech (enoyl-CoA hydratase/aldolase) genes cloned from Amycolatopsis sp. strain HR104 and Delftia acidovorans were introduced to pBAD24 vector with $P_{BAD}$ promoter and were named pDAHEF and pDDAEF, respectively. We observed 160 mg/L vanillin production with E. coli harboring pDAHEF, whereas 10 mg/L of vanillin was observed with pDAHEF. Vanillin production was optimized with E. coli harboring pDAHEF. Induction of the fcs and ech genes from pDAHEF was optimized with the addition of 13.3 mM arabinose at 18 h of culture, from which 450 mg/L of vanillin was produced. The feeding time and concentration of ferulic acid were also optimized by the supplementation of $0.2\%$ ferulic acid at 18 h of culture, from which 500 mg/L of vanillin was obtained. Under the above optimized condition of arabinose induction and ferulic acid supplementation, vanillin production was carried out with four different types of media, M9, LB, 2YT, and TB. The highest vanillin production, 580 mg/L, was obtained with LB medium, a 3.6 fold increase in comparison to the 160 mg/L obtained before the optimization of vanillin production.

Paenibacillus jamilae BRC15-1의 Cellulase 생산 최적화 (Optimization of Cellulase Production from Paenibacillus jamilae BRC 15-1)

  • 차영록;윤영미;윤하얀;김중곤;양지영;나한별;안종웅;문윤호;최인후;유경단;이지은;안기홍;이경보
    • KSBB Journal
    • /
    • 제30권6호
    • /
    • pp.283-290
    • /
    • 2015
  • In this study was selected the cellulolytic microorganism and investigated optimum condition of cellulase production for the cellulosic bioethanol production. A bacterial strain Paenibacillus jamilae BRC15-1, was isolated from soil of domestic reclaimed land. For optimizing cellulase production from the selected strain, various culture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such as culture medium, pH (pH 4~10), temperature ($25{\sim}50^{\circ}C$) and culture time (2~72 h). As a result, P. jamilae BRC15-1 efficiently produced cellulase from cellulosic biomass under following conditions: 24 h of culture time (pH 7, $40^{\circ}C$) in manufactured media of CMC (carboxymethyl cellulose) with peptone. Optimum saccharifying condition of crude enzyme produced from P. jamilae BRC15-1 was identified on pH 6 and $40^{\circ}C$ of reaction temperature, respectively. This crude enzyme from P. jamilae BRC15-1 was used for saccharification of pretreated sweet sorghum (Sorghum bicolor var. dulciusculum Ohwi) bagasse under the optimal condition. Finally, pretreated sweet sorghum bagasse including 0.1 g of glucan was saccharified by crude enzyme of P. jamilae BRC15-1 into 2.75 mg glucose, 0.79 mg xylose and 1.12 mg arabinose.

아시안하이웨이 6번 노선의 국제여객 교통수단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port Mode Choice for Asian Highway No.6 Route)

  • 이백진;이세홍;이윤석;이덕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875-886
    • /
    • 2015
  • 본 연구는 남북한간 교류협력 증진과 국제협력사업 활성화에 따라 향후 동북아 차원에서 연계가 예상되는 아시안하이웨이 6번노선(간성-선봉)의 이용을 가정하고, 현존하지 않는 북한 육로망 연계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국제여객수송 행태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SP(Stated Preference), RP(Revealed Preference) 자료를 기반으로 다항로짓(ML)과 네스티드로짓(NL) 모형을 구축하였다. NL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현재 한중(동북부), 한러(극동러시아)간 국제여객수송 대부분이 육상로 단절로 인해 항공을 통해 이루어지나, AH6노선이 구축될 경우에는 약 90%이상이 육상운송으로 전환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여객수송거리가 길어질수록(903~1,631km) 국제철도의 수단분담률은 62.8%에서 66.1%로 증가하고, 이 때 도로수송은 29.6%에서 21.9%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항공수송은 육상수송과는 달리 수송 거리대별 증감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약 10% 수준의 수단분담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뱀장어 Pleistophora 증(症)의 감염실험(感染實驗)과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연구(硏究) (The Infection Experiment of Pleistophora sp. to eel, Anguilla japonica and the Histopath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Infection Development)

  • 서장우;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1-57
    • /
    • 1988
  • 전국양만장(全國養鰻場)에 pleistophora포자충(胞子蟲)이 기생(奇生)하여 상당한 피해(被害)를 입고 있는 실정(實情)이다. Pleistophora증(症)에 관(關)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감염방법(感染方法)과 감염량(感染量), 감염율(感染率)의 관계(關係) 및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관찰(觀察)을 검토(檢討)한 것으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leistophora anguillarum 포자(胞子)를 경구감염(經口感染)시키거나 침지감염(沈漬感染)시킨 결과(結果), 모두 감염(感染)이 성립(成立)되었다. 경구감염(經口感染)의 경우 포자수(胞子數) $2.5{\sim}10^3$/어체중(魚體重) 1~2%의 사료(飼料)(g) 이상(以上)에서, 침지감염(沈漬感染)의 경우 포자수(胞子數) $1{\times}10^210/m{\ell}$이상(以上)에서 감염(感染)시킨 개체(個體)는 100% 감염(感染)되었다. 2.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실험결과(實驗結果), 포자감염후(胞子感染後) 21일경(日頃)부터 근육(筋肉)속에서 cyst를 관찰(觀察)할 수 있었다. 근육조직내(筋肉組織內)에서 포자(胞子)가 근육(筋肉)을 융해(融解)시켜 cyst를 형성(形成)하고 cyst는 성숙(成熟)하여 붕괴(崩壞)되었고, cyst내(內)의 포자(胞子)는 분산(分散)되었다. 그리고, 건강(健康)한 근육조직(筋肉組織)에 침입(侵入)하여 조직(組織)을 붕괴(崩壞)하는 과정(課程)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병어(病魚)는 서서(徐徐)히 죽게 되었다. 3. Pleistophora anguillarum 포자(胞子)를 실험적(實驗的)으로 감염(感染)시킨 뱀장어는 시간적(時間的)인 차이(差異)는 있으나 모두 폐사(斃死)되었다.

  • PDF

합천 박실늪의 퇴적에 따른 버들류 (Salix sp.)의 군집 동태 (Community dynamics of Salix species during the sedimentation in Paksil-nup Wetland, Hapcheon)

  • 김철수;이팔홍;손성곤;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9-29
    • /
    • 2000
  • 자연늪의 육상화가 천이 과정에서 자연늪의 환경과 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경상남도 합천군 황강변에 위치한 박실늪에서 1990년부터 1997년까지 퇴적에 따른 저토 환경과 버들류의 군집 동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연적인 퇴적에 따른 환경 요인을 알아본 결과, 깊이별 퇴적에 따른 저토 환경의 변화는 표층부에서 하층부로 갈수록 pH는 증가하였고, 전기전도도, 유기물량, 총질소량, 치환성 칼륨과 칼슘 등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순차적인 퇴적에 따른 저토 환경의 변화는 최근에 퇴적된 곳에서 유기물량, 총질소량, 치환성 칼륨 등은 증가하였고, 유효인량, 치환성 칼슘, 치환성 나트륨 등은 감소하였다. 본 지역에서 조산된 10종류의 버들류 중 선버들이 우점종이었고, 왕버들이 아우점하였다. 박실늪에서 조사된 버들류는 천이의 관목 및 교목 단계에서 개척자로 나타났고, 늪의 육상화를 촉진하였다. 수령은 2년-11년으로 5단계의 연령 군집으로 구분되었는데, 수심이 깊은 늪의 중심부로 갈수록 수령이 낮아졌다. 수령이 높은 지역일수록 흉고직경, 수고, 분지된 가지수, 임상식생의 종 수, 조도값 등이 높았고, 밀도는 낮았다. 버들류 간의 경쟁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선버들이 키버들과 갯버들 및 기타 버들류보다 우세하였다.

  • PDF

작약 지상부 고사가 뿌리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af and Stem Blight on Growth and Root Yield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 박소득;김세종;김재철;김기재;신종희;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06-210
    • /
    • 1997
  • 6월 하순부터 1개월 간격으로 작약의 잎과 줄기에 인위적 고사를 유도하여 지상부 고사가 뿌리의 발달, 수량,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작약의 잎과 줄기를 고사시키는 주 병원균은 점무늬병균, 녹병균, 흰가루병균, 검은무늬병균, 탄저병균, 갈색점무늬병원균이었다. 2. 점무늬병과 흰가루병은 4월 하순에서 5월 중순경에 발병되었고, 녹병은 6월 상 순부터 발생되어 시일이 경과할수록 발생율이 증가하였다. 3. 작약 지상부의 고사는 5월 하순부터 시작되어 8월 하순경에는 50% 이상의 고사율을 보였다. 4. 수량은 정상주에 비해 6월 하순 및 7월 하순 고사가 $31{\sim}35%$ 감수되었고, 8월 하순과 9월 하순 고사가 $7{\sim}12%$의 감수를 보였다. 5. 직경 10mm이상 상품성이 있는 뿌리수는 6월과 7월 고사가 8월이후 고사에 비해 적었고 주성분 Paeoniflorin 함량은 조기에 고사된 작약 뿌리 가 오히려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