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past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2초

저장온도에 따른 된장 샐러드 드레싱의 항산화성 및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paste Salad Dressing Stored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 심현정;손찬욱;김민희;김미연;강은영;이근종;이정희;김미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2-98
    • /
    • 2008
  • In this study, salad dressing was prepared with added soypaste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terms of nutrient composition, the soypaste dressing contained higher levels of protein, minerals, and vitamins, and fewer calories, as compared to commercial mayonnaise. In addition, sensory evaluations revealed that the soypaste dressing received higher scores for flavor, taste, viscosity, and over-all preference than the commercial mayonnaise. The viscosity and emulsion stability of the freshly made soypaste salad dressing were 2,400 cP and 80%, respectively. And during 8 weeks of storage at $5^{\circ}C$, the viscosity and emulsion stability values remained similar to those of freshly made dressing. With prolonged storage time, the Hunter's color b-value slightly increased, whereas the L- and a-values slightly decreased. In terms of antioxidant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were 2- to 3-fold higher in the soypaste salad dressing as compared to the commercial mayonnaise. And the soypaste dressing's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d according to the storage temperature and time. Total microbial numbers increased to 6.2 log CFU/mL in the soypaste dressing, but E. coli was not detected.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soypaste salad dressing could be introduced as a commercial product.

재래식, 개량식 된장과 시판된장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과 그 관련 물질 함량 (The Compents of Free Amino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Soypaste made from Native and Improved Meju and Soypaste Product)

  • 김미정;이혜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9-72
    • /
    • 1988
  • 재래식, 개량식으로 만든 된장과 시판되는 된장의 맛성분중 유리아미노산과 핵산관련물질을 분석해 본 결과 지미성분으로 알려진 glutamic acid 함량은 개량메주로 담근 된장에서 월등히 많았고 총유리아미노산 함량도 역시 개량메주로 담근된장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시료에서 핵산관련물질의 총함량은 시판된장이 가장 높았고, 지미성분으로 알려진 GMP의 양은 개량메주에서 제일 많았으며, 시판된장, 재래식메주 된장의 순서였다. 발효기간이 많이 경과된 상태의 된장에서는 ATP, ADP, AMP 의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 PDF

Aspergillus spp.에 의한 콩된장 발효 과정중의 효소활성 변화 (Changes of Enzymatic Activiti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Soybean-Soypaste by Aspergillus spp.)

  • 주현규;김남대;윤기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3호
    • /
    • pp.295-302
    • /
    • 1989
  • 발효식품인 장류의 제조 중 원료처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생대두, 수침대두, 볶은대두 및 증자대두를 제조하여 이것과 Asp. oryzae, Asp. niger, Asp. awamori 및 자연 발효균을 접종시켜 제조한 쌀고오지 및 식염을 각각 60 : 30 : 10(W/W)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대두 된장$(S_0)$, 수침대두 된장$(S_1)$, 볶은대두 된장$(S_2)$ 및 증자대두$(S_3)$을 제조하면서 발효과정 중 amylase, protease, lipase 및 lipoxygenase 활성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콩된장 제조중 접종시킨 미생물 상호간의 amylase 활성도는 자연 발효균>Asp. oryzae>Asp. awamori>Asp. niger 순이었고, 각 처리대두에 따른 활성도는 $S_0>S_1>S_2>S_3$구 순이었으며, protease 활성도는 자연 발효균>Asp. niger>Asp. oryzae>Asp. awamori순 이었으며, 각 처리구에 따른 활성도는 $S_3>S_2>S_1>S_0$ 구 순이었다. Lipase 활성도는 미생물 상호간에 별 차이가 없었고, 처리구에 따른 그 활성도 크기는 $S_0>S_1>S_3>S_2$ 구 순이었으며 lipoxygenase 활성도는 콩된장 제조 중 접종시킨 미생물 상호간에 있어서는 자연 발효균>Asp. oryzae>Asp. awamori>Asp. niger순 이었고, 각 시험구간에는 $S_0>S_1>S_3>S_2$구 순이었다.

  • PDF

콩 시판 브랜드 제품의 외관 품질 평가 (Evaluation of External Quality of Brand Soybeans)

  • 정승근;우선희;김홍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39-248
    • /
    • 2007
  • 현재 판매되고 있는 브랜드콩 100개(장류용 콩 32개, 검정콩 45개, 약콩 17개 및 나물용 콩 6개)를 2006년에 전국의 중대형마트에서 수집하고, 대비하기 위하여 재래시장에서 판매되는 콩 10개를 수집하여 표시의 정확성과 외관 품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브랜드콩의 명칭은 영양성, 친환경 또는 친근감을 느끼는 용어와 함께 장류용 콩은 백태와 황태, 검정콩은 검정콩, 서리태, 늦서리태, 흑태, 청태, 속청, 속태, 그리고 약콩과 나물용 콩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하였다. 2. 시판되는 콩의 판매단위는 1 kg 포장이 30%이고, 500 g 포장이 59%였으며, 최소포장단위는 200 g이었다. 표시중량과 실중량의 편차는 70%가 ${\pm}1%$였고, 약 2/3는 실중량이 표시중량 이상으로 비교적 정확하였다. 3. 상품에 무농약 농산물로 표시된 것이 6개였고, 특품 또는 상품으로 표시된 것이 9개였으나 외관 품질과는 관계가 적었다. 4. 상품화되어 판매되는 콩의 100립중 범위는 장류용 콩이 $23.7{\sim}47.8g$, 검정콩은 $21.9{\sim}44.5g$ 그리고 약콩과 나물용 콩은 $9.5{\sim}15.0g$이었다. 장류용 콩과 검정콩은 100 립중 범위가 비슷하였으나 장류용 콩은 29 g 이하가 63%인데 비하여 검정콩은 78%가 30 g이상으로 검정콩이 대체적으로 굵었다. 5. 장류용 콩과 검정콩을 크기 6.70 mm 체로 선별하였을 때 남는 콩의 비율은 평균과 최대치가 각각 87.4%와 86.5% 및 99.9%와 99.5%로 비슷하였으나 최소치는 각각 70.7%와 14.4%로 차이가 컸다. 콩의 100립중과 6.7mm 체로 선별하여 남은 콩의 비율은 유의한 정의 상관(각각 0.7488**과 0.7874**)이 있었다. 6. 종실의 100립중이 30 g 이상인 것들은 선별 비율이 90% 이상으로 차이가 작고 종실의 크기가 균일하였으나, 30 g 이하인 것들은 100립중이 낮을수록 선별되는 비율이 낮아 균일도가 떨어졌다. 7 제색(臍色)과 종실의 형태에 의하여 종실의 혼입여부를 조사한 결과 수집 브랜드콩의 76%는 10% 이상 서로 다른 종실들이 혼합되었는데, 장류용 콩은 90% 이상 혼입되어 검정콩 또는 약콩과 나물용 콩에 비하여 혼입율이 높았다. 8. 상품의 20%에 돌, 포대조각, 나무 조각, 곤충의 유충, 균사, 이종 콩 종자 등과 같은 이물질이 섞여 있어 상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9. 브랜드콩의 용적중은 762 g $L^{-1}$였고, $645{\sim}820g\;L^{-1}$의 범위로 변이가 컸으며, 장류용 콩이 $747g\;L^{-1}$로 가장 낮았고, 약콩이 $758g\;L^{-1}$로 가장 높았다. 10. 재래시장에서 구입한 콩과 브랜드콩은 100립중, 정립율, 이물질 함량, 용적중 등 품질 평가 기준에서 차이가 없었다.

Variation and stability of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in soybean landraces and cultivars

  • Seo, Min Jung;Park, Myoung Ryou;Yun, Hong Tae;Park, Chang Hwa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21-221
    • /
    • 2017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analyze variation of growth traits of soybean to determine the information of less sensitive traits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Sowing was carried out on June 2 each year and the experimental plot was laid out in three replicates by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irty soybean varieties which consisted of 19 cultivars for beancurd and soypaste, 8 cultivars for soy-sprout including 1 landrace, and 3 cultivars for cooking with rice including 1 landrace during the period 2014-2015. The weather condition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were quite different with extremely low precipitation and longer sunshine duration in 2015 than 2014. The variation of characteristics related to growth period such as days of growth, days of maturity, days of flowering and the 100-seed weight was less in spite of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While the variation of the number of pods per plant was high. Considering growth and seed characteristics like the number of pods per plant, the number of seeds per pod and 100-seed weight which are linked directly to the yield, cultivars such as Shingi, Daewonkong, Danbaegkong, and Daepung for beancurd and soypaste, Pungwon, Haepum and Shingang for soy-sprout and Seoritae for cooking with rice were more stable and could be expected to have high yield in Suwon, the south-central part of South Korea.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for the selection of breeding resources to develop cultivars with high stability under changeable weather condition.

  • PDF

된장의 in vitro Sulforhodamine B (SRB) Assay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Anticancer Effect of Doenjang in in vitro Sulforhodamine B (SRB) Assay)

  • 이숙희;임선영;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40-245
    • /
    • 1999
  • Growth inhibitory effect of doenjang(Korean soypaste) methanol extracts in SRB assay using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 Hep 3B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and HT 29 human colon cancer cell was studied. The treatment of doenjang methanol extracts(2mg/assay) to the AGS, Hep 3B and HT 29 cancer cells inhibited the growth of the cancer cells by 55%, 60%, and 71%, respectively. Doenjang methanol extracts exhibit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among other soybean fermented foods and original materials in the SRB assay. In addition, to separate active compounds of doenjang methanol extracts, we fractionated the doenjang with hexane, methanol,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and butanol. Growth inhibitory effect on the AGS, Hep 3B, HT 29 and MG 63 cancer cells was the highest in the fractions of dichloromethane and ethylacetate among other solvent fractions of the doenjang. These results showed that some compounds contained in the fractions of dichloromethane and ethylacetate might play a role on the anticanceric effect of doenjang.

  • PDF

대추 물추출 농축물의교미(嬌味)효과 (Effect on Taste Correction of Jujube Water Extract Concentrate)

  • 김소연;김미경;장경숙;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7-94
    • /
    • 1994
  • The conditions of water extraction form the dried jujube (Zizyphus jujuba) were examined. The general components, taste, and effect of taste correction of jujube water extract concentrate (JWEC) were investigated. desirable condition for extraction was that 100g of dried jujube was added to 750$m\ell$ of water and heated for 80 minutes at 100$^{\circ}C$. The yield of JWEC was 50% and the manin component of it was sugar (90%). The major taste of JWEC was sweetness, and it had astringent, bitter, sour and salty tastes as incidental taste. The taste was changed to desirable taste when 15% of JWEC was added to coffee, 10% of JWEC was added to fermented soy sauce, thick soypaste mixed with red pepper, and vinegar, respectively.

  • PDF

재래식 간장 및 된장 제조가 대두 단백질의 영양가에 미치는 영향 제2보 메주장의 숙성중에 일어나는 성분 변화 (The Effect of Korean Soysauce and Soypaste Making on Soybean Protein Quality Part II. Chemical Changes During Meju-brine Ripening)

  • 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32
    • /
    • 1976
  • 실험실에서 제조된 메주와 한국에서 보내온 재래식가정 메주와 개량메주를 사용하여 장을 담그고 8개월동안의 숙성(장담금)기간중 일어나는 화학성분변화를 검토하였고 메주 종류에 의한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분석된 아미노산 조성에 의거하여 과정에 일어나는 대두단백질의 영양가 변화를 추정하였다. 8개월간의 숙성기간중 일반 화학조성의 변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수용성 질소율은 메주의 $13{\sim}29%$에서 $66{\sim}78%$로 증가되었다. 유리아미노태 질소율은 메주의 $4{\sim}7%$에서 8개월 숙성후 $29{\sim}35%$로 증가되었으며 암모니아태 질소율은 $1{\sim}4%$에서 $5{\sim}14%$로 증가되었다. 메주장 숙성중에 일어나는 이들 질소화합물의 성분변화는 사용된 메주의 종류에 크게 의존하였다. 숙성중 메주의 아미노산 조성도 크게 변화되었으며, 특히 methionine은 숙성 1개월동안 급격히 감소하여 원래 농도의 거의 1/2에 달하게되며 그후 숙성 7개월동안 농도의 변화가 없었다. Arginine 과 histidine 은 숙성 1개월이 지난 후부터 나머지 7개월 동안 급격히 파괴되었다. 한편 메주제조 과정까지는 거의 존재가 없던 ornithine 이 숙성과정중에 상당량이 합성되었다. 대체적으로 숙성 3개월동안은 아미노산 조성의 전반적인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이들 변화는 사용된 메주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3개월된 실험실 메주로 8개월 장담금을 하였을 경우 대두중의 영양가 수율은 탄수화물이 99%, 조지방이 107%, 조단백질이 93%, 총 아미노산이 74%였다. Histidine, arginine 및 methionine은 과정중 가장 심한 손상을 보였으며 회수율은 각각 25, 27, 및 49%였다. 한편 lysine회수율은 79%였다. 장 걸름 과정 즉, 간장과 된장의 분리과정에 의하여 메주장중에 함유된 약 60%의 조단백질, 거의 모든 조지방 및 80%의 탄수화물이 된장에 남아 있었다. 또한 된장은 lysine을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의 농도(16g 중)가 간장보다 높았다. 대두 및 메주를 포함한 모든 시험장류의 제한 아미노산은 methionine 과 cystine 등 유황을 함유하는 아미노산이었으며 제2제한 아미노산은 원류대두에서 valine, 메주와 대부분의 메주장에서 threonine, 된장에서 lysine 그리고 대부분의 간장에서는 tryptophan 으로 나타났다. FAO 표준 아미노산 조성을 기준으로 한 원료 대두 단백질의 단백가(chemical score)는 82 였으며 이것은 대두의 삶음과정에서 77로 저하되었으며 메주발효과정에서 $71{\sim}74$로 다시 저하되었다. 재래식 가정메주의 단백가는 실험실 메주의 그것보다 낮았으며 개량메주는 실험실 메주보다 높은 단백가를 나타내었다. 메주장의 8개월 숙성후 단백가는 $51{\sim}66$으로 상당히 떨어졌으며 분리에 의하여 된장의 단백가는 $60{\sim}71$로, 간장은$45{\sim}57$의 단백가를 갖게되었다. 일반적으로 개량메주로 만든 장들이 높은 단백가를 가졌으며 가정 메주로 만든 장들은 가장 낮은 단백가를 나타내었다. 계란 단백질 조성을 기준으로한 필수 아미노산지수(EAAI)는 단백가(chemical score)와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 필수 아미노산지수는 검체단백질중의 아미노산조성의 전반적인 변화를 단백가보다 더 근사하게 나타내었다.

  • PDF

된장 숙성중 정미성분의 변화에 관한 연구 (II) -유리당과 휘발성, 비휘발성 유기산 (Studies on the Changes of Taste Compounds during Soy Paste Fermentation(II))

  • 김미정;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57-260
    • /
    • 1993
  • 조미료로서 된장의 수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황곡균으로 개량식 된장을 제조하고 이것을 180일 간 숙성시키면서 맛성분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리당, 휘발성 유기산, 비휘발성 유기산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된장의 감미원인 유리당은 glucose>xylose> arabinose순서로 많이 존재하였다. 휘발성 유기산은 ace-tic, formic, butyric, propionic acid가 검출되었고 총량은 숙성 60일가지 증가하였다. 180일 숙성 후, 휘발성유기 산의 함량은 acetic>propioniclbutyric>formic acid순서 로 많이 존재하였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담금 직후부터 succinic>glutaric>lactir acid순서로 많았으며 숙성 45일부터 tartaric>citric>malic이 뒤를 이은 순서로 생성되었다.

  • PDF

여대생의 대두제품을 이용한 이소플라본섭취 및 혈중 Osteocalcin과의 상관성 (he Correlation of Usual Dietary Isoflavone Intake and Serum Osteocalcin)

  • 안홍석;박윤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8-46
    • /
    • 2004
  • Few studies have conducted the bone health benefits of usual dietary isoflavone intake in Korean college-student women. To elucidate this benefitial effects and correlations between dietary isoflavone and nutrients intake and bone formation marker (ALPase, osteocalcin), questionnaire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erum mineral (Ca, P, Mg)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Fifty three subject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average age, height, body weight, BMI, body fat content and triceps skinfold thickness were 21.43 year, 161.07 cm, 52.81 kg, 20.48 kg/$m^2$, 20.72% and 17.59 mm respectively. Soy food intake frequencies were soybean > soybean curd > soypaste stew > soybean milk. The average calorie, protein and Ca intake were 1766.21 $\pm62.54 kcal\;66.45\pm2.00 g\;and\; 549.62 \pm 27.55 mg$ respectively. Serum ALPase activity and osteocalcin concentration were 115.74$\pm3.6u/L$ and 7.15 ng/$m\\ell$ respectively. Usual dietary isoflavone intake was positively related to calory, protein, Ca, P intake and serum Ca, Mg concentration. Serum osteocalcin concent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soflavone intake ($r^2$=0.28, p < 0.05). In these results, usual dietary isoflavone can support an additive effect to bone health and Ca nutr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