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curd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김치로부터 GABA를 생산하는 커드 형성 젖산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oycurd-forming Lactic Acid Bacteria that Produce Gammaaminobutyric Acid (GABA) from Kimchi)

  • 김은아;맹소연;김수인;이가영;이병원;김동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6-53
    • /
    • 2014
  • 발효된 soycurd에서 가장 높은 GABA 함량을 나타낸 Lactobacillus sakei 383은 인공위액(pH 3.0)에서 3시간 경과 후에도 99%가 넘는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0.3% oxgall이 함유된 MRS 배지에서는 88%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Lactobacillus sakei 383은 6% NaCl 이하로 함유된 배지에서 생육저해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sakei 383은 저해환의 생성 유무를 통해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을 포함한 다양한 병원균에 대항하는 항균물질을 생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Lactobacillus sakei 383에 의해 발효된 soycurd의 발효 과정 중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생균수는 발효 36시간 후에 최대치($10^{11}CFU/ml$)를 나타낸 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Lactobacillus sakei 383에 의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soycurd의 산도는 증가하고 pH는 감소하였으며 12시간 이후에는 일정하였다. 수분, 조회분, 조단백, 조지방 및 조섬유의 함량은 각각 $94.88{\pm}0.02$, $0.22{\pm}0.05$, $2.38{\pm}0.07$, $1.16{\pm}0.15$$0.03{\pm}0.01%$을 나타내었으며 총당과 환원당의 함량은 비발효 두부 보다 Lactobacillus sakei 383에 의해 발효된 soycurd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10.45{\pm}1.04mg/100g$$36.86{\pm}2.59mg/100g$을 나타내었다.

콩 종실 단백질 분획(7S, 11S)과 두부특성 (11S and 7S Globulin Fractions in Soybean Seed and Soycurd Characteristics)

  • 김용호;김석동;홍은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48-352
    • /
    • 1994
  • 콩 저장 단백질의 대부분은 globulin이며, 이중 7S와 11S가 70% 이상을 차지한다. 따라서 콩 단백질의 조성개량을 위해서는 11S/7S 비율 조정이 우선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몇가지 콩 품종을 사용하여 7S와 11S를 분리 확인하고, 이들 분획 단백질을 이용한 두부제조시험을 실시하였다. 7S와11S는 콩 분말을 탈지한 후 pH를 조정하고 원심분리를 이용함으로써 분획할 수 있었고, 전기영동상(SDS-PAGE)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공시계통들의 11S/7S 비율은 1.29∼1.38을 나타내어 계통간 차이가 없었다. 한편 콩 종실 단백질을 7S와 11S로 분획한 후 7S와 11S를 비율별로 혼합하여 두부를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한 결과 11S량이 많아질수록 두부의 경도, 탄력성, 응집성 등이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11S와 7S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여러가지 용도에 알맞는 식품개발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 PDF

김치로부터 GABA를 생산하는 커드 형성 젖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oycurd forming lactic acid bacteria which produce GABA from kimchi)

  • 김은아;맹소연;김수인;이가영;황대연;손홍주;이충렬;김동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05-711
    • /
    • 2013
  • 비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인 gamma amino butyric acid(GABA)는 뇌에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며 혈압 저하, 신경 안정, 이뇨 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치로부터 두유에서 커드를 형성하는 40개 균주를 분리하였다. GABA 생산력이 높은 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분리된 균주들을 두유에 접종하여 $37^{\circ}C$에서 48시간동안 발효하였다. 분리된 균주들 가운데 발효두부에서 가장 높은 GABA 를 생산하는 383 균주는 API 분석과 16S rDNA sequence를 통하여L. sakei로 동정되었으며 L. sakei 383으로 명명하였다. L. sakei 383은 MRS 배지에서 $35^{\circ}C$, 24시간 배양할 때 가장 높은 생육을 나타내었으며 두유에 균을 접종하여 $35^{\circ}C$에서 18시간 발효 했을 때를 GABA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 조건으로 정하였으며 최대 GABA 함량은 8.65 mg/100 g이었다.

콩 Saponin의 생리활성 기능과 함량변이 (Biological Activities of Soyasaponins and Their Genetic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in Soybean)

  • 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
    • /
    • pp.49-57
    • /
    • 2003
  • There is much evidence suggesting that compounds present in soybean can prevent cancer in many different organ systems. Especially, soybea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dietary saponins, which have been considered as possible anticarcinogens to inhibit tumor development and major active components contributing to the cholesterol-towering effect. Also they were reported to inhibit of the infectivity of the AIDS virus (HIV) and the Epstein-Barr virus. The biological activity of saponins depend on their specific chemical structures. Various types of triterpenoid saponins are present in soy-bean seeds. Among them, group B soyasaponis were found as the primary soyasaponins present in soybean, and th e 2, 3-dihydro-2, 5-dihydroxy-6- methyl-4H-pyran-4-one(DDMP)-conjugated soyasaponin $\alpha\textrm{g}$, $\beta\textrm{g}$, and $\beta$ a were the genuine group B saponins, which have health benefits. On the other hand, group A saponins are responsible for the undesirable bitter and astringent taste in soybean. The variation of saponin composition in soybean seeds is explained by different combinations of 9 alleles of 4 gene loci that control the utilization of soyasapogenol glycosides as substrates. The mode of inheritance of saponin types is explained by a combination of co-dominant, dominant and recessive acting genes. The funtion of theses genes is variety-specific and organ specific. Therefore distribution of various saponins typ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seed tissues. Soyasaponin $\beta\textrm{g}$ was detected in both parts whereas $\alpha\textrm{g}$ and $\beta$ a was detected only in hypocotyls and cotyledons, respectively. Soyasaponins ${\gamma}$g and $\gamma\textrm{g}$ were minor saponin constituents in soybean. In case group A saponins were mostly detected in hypocotyls. Also, the total soyasaponin contents varied among different soy-bean varieties and concentrations in the cultivated soy-beans were 2-fold lower than in the wild soybeans. But the contents of soyasaponin were not so influenced by environmental effects. The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soyasaponins were different among the soy products (soybean flour, soycurd, tempeh, soymilk, etc.) depending on the processing conditions.

대두부산물의 지방세포분화 유도유전자의 발현저해 및 전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By-Product Extracts from Soybea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s in 3T3-L1 Adipocytes)

  • 최미선;김지인;정진부;이수복;정재남;정형진;서을원;김택윤;권오준;임재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8-367
    • /
    • 2011
  • 대두는 여러 종류의 파이토케미컬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에 의한 항산화, 항염증, 항비만 효능 등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대두 부산물 성분의 비만억제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Oil-Red O 염색법과 정량 PCR을 통하여 지방세포분화억제 및 지방생성억제 효능을 분석하였다. 분화유도물질인 isobutylmethylanthine (IBMX), dexamathasone 및 insulin 처리에 따른 지방세포 분화유도와 함께 대두부산물-침지수, 순물, 두유-의 처리는 세포손상 없이 지방세포분화 연관 유전자-PPAR${\gamma}$, Fabp4, Scd1, adipsin, apolipoprotein (APOE), adiponectin (ADIPOQ)-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였다. 또한 대두에서 잘 알려진 isoflavone -daidzein과 genistein- 분석을 통하여 대두 부산물에 포함된 두 종류의 isoflavone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대두부산물에는 지방세포분화유도 유전자의 발현억제를 통한 전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두부생산 시 발생하는 대두부산물은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능을 바탕으로 이를 이용하는 건강기능 식품제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항알레르기에 대한 Pediococcus inopinatus Y2 유산균 발효 두유 커드의 치료 효과 (Therapeutic Antiallergy Effect of Fermented Soy Curd by Pediococcus inopinatus Y2)

  • 강문선;이영근;김한수;정헌식;황대연;김동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78-483
    • /
    • 2019
  • 본 실험에서는 Pediococcus inopinatus Y2 (P. inopinatus Y2)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 두유커드가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치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알레르기 유발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4주간 경구투여한 이후, 마우스의 체중, 귀 두께, IgE 농도, 면역 기관 중량 및 혈청 IgE 농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동물실험 군은 적당한 체중 증가를 보였다. 귀 두께에서, 아무처리를 하지 않은 그룹(No group)이 가장 낮은 두께를 나타냈고, PA 처리 그룹이 알레르기가 유발되어 두꺼워졌다. PA로 유도된 AD 마우스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발효 두유커드 투여그룹(FSC group)의 피부 상태는 더욱 개선되었다. 이에 따라 유산균에 의한 발효 두유커드가 피부염을 회복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우스의 비장과 림프절의 무게와 IgE 농도를 비교 한 결과, 두유를 투여한 그룹(SM group)도 치료 효과를 보였으나 발효 두유커드의 알레르기 치료 효과가 더 우수 하였다. 결과적으로 발효 된 두유커드가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을 개선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