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Seed

검색결과 765건 처리시간 0.024초

겨자(Brassica juncea)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Methanol Extract in Mustard)

  • 최규홍;윤형식;김정숙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7권
    • /
    • pp.165-174
    • /
    • 1989
  • 탈지 겨자박으로 부터 유리페놀산, 에스터형 및 불용성페놀산을 추출하여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항산화 효과를 0.02%(w/w)의 BHA, BHT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는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각 기질과 대조구를 $45{\pm}1^{\circ}C$에서 25일간 저장하면서 매5일간 과산화물가, TBA가를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추정하였다. 1. BHA, BHT와 유리페놀산, 에스터형 및 불용성페놀산 추출물을 첨가한 시험구와 대조구의 25일 저장 후 과산화물가는 각각 31.9, 13.2, 16.6, 11.2, 35, 91이었다. 한편 같은 조건하에서 각 항산화성 물질의 TBA가는 0.24, 0.16, 0.19, 0.17, 0.35이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페놀산 추출물들은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2. 겨자의 총 페놀함량은 유리페놀산 및 불용성페놀산의 추출물이 각각 13.2mg/10ml. 340.5mg/10ml, 2.1mg/10ml였다. 3. 분리 동정된 페놀산은 catechol, methylcatechol, salicylic acid, cinnamic acid, pyrogallol, p-hydroxybenzoic acid, syringic acid, caffeic acid, sinapic acid였다.

  • PDF

화학약품과 저온처리가 작물근단세포의 Metaphase 출현빈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emicals and chilling treatments on the frequency of metaphase in root tips of some economic crops)

  • 허문회;김혜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권
    • /
    • pp.3-9
    • /
    • 1964
  • 소맥, 대두, 면화 및 대맥의 근단에 대하여 저온($0^{\circ}C$~2$^{\circ}C$에 24 또는 12시간) 8-Hydroxyquinolin (0.03과 0.1%에서 2시간 또는 10시간) 및 Colchicine(0.2%와 1.0%에서 2 또는 10시간) 처리를 하고 mitotic cell의 수와 이에 대한 meitaphase의 출현빈도를 검토하였다. 1 저온처리는 모든 작물에 대하여 mitotic cell의 수와 metaphase의 출현빈도를 현저히 증가시켰다. 저온의 정도와 처리시간은 작위에 따라 달라 본시험에서는 소맥을 제외한 타작물에서는 최적온도와 시간은 시험된 시간보다도 짧은 범위 이내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2. 8-Hydroxyquinolin의 효과도 작물에 따라 다르나 0.03% 2시간 정도의 처리에서는 대체로 metaphase의 빈도를 증가시키나 mitotic cell의 수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3. Colchicine은 mitotic cell의 증가 및 metaphase 빈도 증가에 항상 유효하였으며 이용에 있어서는 타처리에 비하여 같거나 우수하였다. 4. 본 시험에서의 각종 처리는 염색체를 수축시켰는데 그 정도가 가장 심한 것은 Colchicine이었고 그 다음이 8-Hydroxyquinolin 및 저온처리의 순이었다. 5. 재료에 따라 적당한 온도와 처리시간이 검토된다면 저온처리가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논의되었다.

  • PDF

물달개비 병원균인 Pythium myriotylum MD2를 이용한 논잡초 방제 (Use of Pythium myriotylum MD2 to Control Weeds in Rice Paddy Fields)

  • 최경자;황인택;최용호;이병회;김흥태;김진철;이선우;김진원;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3-39
    • /
    • 2001
  • 물달개비에 병을 일으키는 Pythium myriotylum 균주를 2000년 충청남도 유성 지역에서 수집한 시료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실험실과 온실에서 생물학적 방제제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이 곰팡이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잘 자랐으며 특히 생장적온은 $35^{\circ}C$ 이었다. 또한 $30{\sim}35^{\circ}C$에서 물달개비에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다. 여뀌바늘, 알방동사니, 사마귀풀, 올챙이고랭이 등의 논잡초에는 병원성이 강하였으나, 강피에는 병을 일으키지 못하였다. 벼에 대한 생육시기별 및 품종에 따른 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발아 직후의 벼는 생육에 저해를 받았으나 1엽기 이상의 벼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12 품종의 $3{\sim}4$엽기 벼도 MD2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리고 배추, 옥수수, 콩 등 12종의 작물에 대한 병원성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밀을 제외한 11종의 작물은 영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ythium myriotylum MD2는 1엽기 이상의 벼에 대하여 선택성이 있으며, 물달개비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일년생 논잡초에 대하여 강한 병원성을 보이고 또한 작물에 대한 영향도 적어서 생물적 방제제로서 가능하리라 생각되었다.

  • PDF

The Effect of Protein Source and Formaldehyde Treatment on Growth and Carcass Composition of Awassi Lambs

  • Abdullah, A.Y.;Awawdeh, F.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8호
    • /
    • pp.1080-1087
    • /
    • 2004
  • A trial with twenty-four newly weaned Awassi lambs (initial body weight=21.5$\pm$0.8 kg) was conducted using a 3$\times$2 factorial design to study the effect of feeding three sources of protein supplements (soybean meal (SBM), sunflower seed meal (SSM), and cottonseed meal (CSM)), either untreated or formaldehyde-treated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of Awassi lambs. Lamb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six diets (4 lambs/treatment diet) and were individually fed for a period of 107 days. Experimental diets were isonitrogenous and isocaloric. Final live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ADG) were affected by both source of protein and formaldehyde treatment (undegradable protein). Lambs fed untreated diets had better (p<0.01) daily gain compared to those fed formaldehyde-treated diets. Similarly total feed intake per animal was significantly (p<0.05) affected by protein source and formaldehyde treatment. Formaldehyde treatment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p<0.01) in feed intake compared to lambs fed untreated diets. Feed requirement per unit of gain was not affected by formaldehyde treatment during all periods of the experiment except for the second period (the second 28 day period), whereby untreated SBM, SSM and CSM had better feed conversion ratio (FCR) than the treated groups. Source of protein had a moderate effect (p<0.10) on FCR but had a significant effect (p<0.05) on hot and cold carcass weight, digestive tract empty weight and liver weight, with lambs fed SBM having higher values than lambs fed SSM and CSM diets. Supplementation with undegradable protein had a significant effect (p<0.05) on dressing-out percentage (p<0.05), final live weight, and hot and cold carcass weight (p<0.01). The lower values pertain to lambs fed treated diets compared to lambs fed untreated diets. In genera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carcass linear dimensions, carcass cut weights and dissected loin tissue weights for both treatments (protein source and formaldehyde treatment). Supplementation with undegradable protein but not the source of protein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dissected leg total bone weight (p<0.05), tibia and femur weight (p<0.05), and femur length (p<0.01) at the same carcass weight. Results suggest that the treatment of SBM, SSM and CSM with formaldehyde did not improve efficiency of feed utilization, lamb performance or carcass traits and that the SBM diet resulted in an increase in lamb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experimental diets.

참전복 사료의 탄수화물원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Carbohydrate Sources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이상민;윤성종;유성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3-140
    • /
    • 1998
  • 참전복 사료의 적정 탄수화물 종류 및 첨가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카제인, 북양어분 및 대두박을 단백질원으로하나 실험사료에 소맥분, dextrin,참전복 사료의 적정 탄수화물 종류 및 첨가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카제인, 북양어분 및 대두박을 단백질원으로하나 실험사료에 소맥분, dextrin, $^{\alpha}$-potato starch, sucrose를 각각 2-~24%씩 첨가하여 그 이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alpha}$-potato starch를 15%, 20% 및 25% 첨가하여 적정함량을 조사하였으며, 북양어분, 대두박, 콘글루텐밀, 면실박, 소맥분의 첨가 비율을 조절하여 탄수화물 함량이 다른 배합사료와 비슷하게 유지한 배합사료구도 설정하였으며, 천연먹이로 건조 다시마와 건조 미역 공급구를 두어 실험배합사료와 비교하였다. 실험용으로 중간 크기의 건강한 치패(평균체중;125 mg)를 사료마다 4반복으로 20주간 사육 실험하였다. 사육한 후의 생존률은 건조 다시마와 건조 미역구가 타 실험구보다 낮았다(P<0.05). 실험종료시의 평균체중과 증체율은 사료의 탄수화물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건조 다시마와 미역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alpha}$-potato starch 20%와 25% 첨가구와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alpha}$-potato starch 15%첨가구의 성장효과는 다소 낮아져 $^{\alpha}$+$^{\beta}$-potato starch 20%와 sucrose 20%와 25% 첨가구와 유의차를 보였다(P>0.05). 실험 종료시 지질 함량은 소맥분, dextrin, $^{\alpha}$-potato starch 첨가구들이 서로 유의차없이 타 실험구보다 높았고, 천연먹이구와 상($\alpha$)-potato starch 25% 첨가구들이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이상으로부터 본 실험에 사용된 탄수화물원들은 모두 참전복 사료에 적합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참전복 사료의 단백질원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Protein Sources for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이상민;윤성종;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29
    • /
    • 1998
  • 참전복 사료에 적합한 단백질원을 조사하기 위하여 카제인, 어분, 육분, 우모분, 혈분, 대두박, 콘글루텐 밀, 면실박, 미역분을 첨가한 배합사료와 천연 먹이인 생미역과 건조 다시마를 선정하여 그 이용성을 비교하였다. 평균체중 0.11 g인 치패를 실험수조마다 70마리씩 수용하여 18주간 사육한 결과, 생존률은 카제인, 북양어분, 육분, 우모분, 미역분과 소맥분을 첨가한 실험구들이 서로 유의차없이(P>0.05) 타 실험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구들의 최종평균체중은 0.27~0.74 g으로 북양어분을 첨가한 실험구가 0.74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두박 및 미역분말을 첨가한 실험구들이 북양어분 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없이(P>0.05)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카제인 첨가구는 0.64 g으로 북양어분 첨가구와는 유의차를 보였으나(P<0.05). 다음으로 면실박과 소백분 첨가구가 0.55~0.57 g으로 양호한 성적을 보였으며, 육분 첨가구는 0.44 g, 천연 먹이인 생미역과 건조 다시마 공급구는 0.29~0.34 g, 우모분과 콘글루텐 밀 첨가구는 0.26~0.27 g으로 나타났으며, 혈분 첨가구가 0.19 g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증체율과 각장 및 각폭도 평균체중 변화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실험 종료시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각각 78.5~79.6% 및 13.2~14.2%로 사료의 단백질원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어분, 대두박, 면실박, 미역분말 또는 소백분은 참전복 사료의 훌륭한 단백질원이 될 것으로 기대되어 참전복 사료의 단가를 절감시키고, 사료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목향(Saussurea lappa) 유래 Dehydrocostus lactone의 경엽 접촉 살초 활성 (Foliage Contact Herbicidal Activity of Dehydrocostus lactone Derived from Saussurea lappa)

  • 조광민;안설화;전재관;김효선;전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21-428
    • /
    • 2010
  • 목향(Saussurea lappa) 뿌리 n-hexane 추출물의 ethyl ether 분획물로부터 경엽 살초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dehydrocostus lactone (3aS,6aR,9aR,9bS)-3,6,9-trimethylidene-3a,4,5,6a,7,8,9a,9b-octahydroazuleno[5,4-d]furan-2-one)(DHCL)을 분리 동정하였다. DHCL 4,000ppm의 경엽처리 결과, 바랭이, 옥수수 및 콩에 대하여 85% 이상의 엽신 고사율을 보인 반면에 까마중에서는 약 40%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화본과 및 광엽식물 간 선택성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검정식물 초종 간 반응성 차이를 나타내었다. 까마중에서의 반응성 차이는 다른 검정식물과 비교하여 까마중 잎의 비교적 높은 cuticle 함량에 의한 흡수량 감소 때문이었다. 광은 DHCL의 살초활성 발현과 관련이 없었으며, 종자 발아 및 세포 생장 억제 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DHCL 처리에 의한 엽절편의 전도도 증가 및 acetyl-CoA carboxylase의 활성 저해효과로부터 DHCL의 살초 활성 발현은 일정 부분 지방산 생합성 저해에 따른 세포막 약화에 의해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urther Modifications to the Mobile Nylon Bag Technique to Determine Nutrient Digestibility for Swine

  • Thacker, P.A.;Qiao,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8호
    • /
    • pp.1149-1156
    • /
    • 2001
  • Previous studies conducted with swine have reported that the mobile nylon bag technique (MNBT) does not always accurately predict in vivo nutrient digestibil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NBT was modified so that nutrient digestibilities would more closely resemble those from conventional (Con) digestibility studies obtained using the indicator method. A total of 19 feeds were tested including five cereal grains, five legumes, three high protein sources and six mixed diets. The principle changes to the MNBT included the use of a fecal collection harness which minimized the number of bags lost. In addition, previous protocols involved pooling of bags within pig while in the present experiment all bags were analyzed separately to increase the precision of the test. Finally, chemical analyses were done using the entire nylon bag plus residue rather than opening.the bags and scraping out the contents. With the exception of the barley sample (p=0.01),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coefficients obtained with the MNB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btained with the indicator method.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relating the MNBT to the indicator method was Con DMD=-O.77+1.02 MNBT DMD ($r^2=0.93$: p<0.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 in gross energy digestibility (GED) coefficients determined using the MNBT or the indicator method for any of the 19 feeds. The regression line equation relating the MNBT to the indicator method was Con GED=-5.68+1.06 MNBT GED ($r^2=0.94$: p<0.0001). The MNBT was less effective in predicting in vivo crude protein digestibility (CPD) than it was in predicting dry matter and energy digestibility. Differences greater than five percentage units were observed for two of the legumes, Kabuli chickpeas (p=0.02) and the extruded pea-canola seed mixture (p=0.01) as well as for three of the mixed diets including the unheated hulled barley-based diet (p=0.01), the unheated hulless-barley based diet (p=0.08) and the barley-soybean meal based diet (p=0.008). The regression equation relating the MNBT to the indicator method was Con CPD=5.75 + 0.90 MNBT CPO ($r^2=0.76$; p<0.0001).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modified MNBT can be used for the rapid determination of dry matter and energy digestibility in a wide variety of ingredients. For the measurement of crude protein digestibility, the technique produces results similar to conventional digestibility studies for cereal grains and high protein feeds but tends to overestimate protein digestibility for legumes and mixed diets.

유기농 고추 추비용 유기자원 선발 및 시용효과 (Selection of Useful Organic Materials as an Additional Fertilizer for Organic Red-pepper Production and the Application Effect)

  • 최두회;성좌경;이상민;이용환;김종문;정정아;송범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53-157
    • /
    • 2008
  • 본 연구는 유기농 시설재배지 고추의 후기양분공급을 위한 유기자원을 선발하고 시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기자원의 양분특성과 선발유기자원의 액비화 과정 중 질소용출양상 및 작물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주요 유기자원 중 글루텐을 제외한 대두박, 유채박, 면실박 및 해바라기박 등 박류에서 높은 질소함량을 나타냈다. 활용성이 높고 구입이 용이한 유기자원(쌀겨, 유채박, 피마자박, 대두박)을 액비화하기 위하여 당밀액과 요쿠르트(Lactobacillus bifidus)를 혼합하여 총 질소함량을 분석한 결과 유채박과 요쿠르트를 혼합 액비화 하였을 때 약 $3,000mg\;L^{-1}$로 나타났다. 선발된 액비의 시용효과를 알아보고자 고추 정식 후 30일부터 토양관주 또는 엽면시비를 하였다. 정식 후 150일에 조사한 엽중 총 질소함량은 엽면시비(4.4%)에서 가장 높았으나, 지상부 건물중과 총 생과중은 토양관주에서 가장 높아 화학비료 또는 유기농가 관행보다 우수하였다.

담자균(擔子菌)이 생산(生産)하는 효소(酵素)에 관한 연구(硏究) - 제1보(第一報). 조효소(粗酵素)의 생산(生産)에 관하여 - (Studies on the Enzymes Produced by Basidiomycetes - Part 1. The Production of Crude Enzymes -)

  • 홍재식;김동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1호
    • /
    • pp.7-14
    • /
    • 1981
  • 몇개의 담자균류(擔子菌類)중 볏짚배지(培地)에서 효소생산(酵素生産)이 양호(良好)하고 균사생육(菌絲生育)이 빠른 균주(菌株)로 P. ostreatus 301과 L. edodes 3-1을 선정(選定)하여 이들 균주(菌株)의 효소생산(酵素生産)에 대한 최적배양조건(最適培養條件) 및 배지(培地)에 부원료(副原料)와 무기염류(無機鹽類)를 첨가(添加)했을때 효소생산(酵素生産)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Cellulase와 xylanase의 생산(生産)은 L. edodes 3-1이 protease는 P. ostreatus 301이 우수하였다. 2) 효소생산(酵素生産)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배양온도(培養溫度)가 cellulase는 $30^{\circ}C$, xylanase와 protease는 $25^{\circ}C$, 수분함량(水分含量)은 75%, $pH\;5.0{\sim}6.0$이었다. 3) 배양기간(培養期間)은 P. ostreatus 301이 30일(30日) L. edodes 3-1은 35일(35日) 배양(培養)했을때가 효소생산(酵素生産)이 양호(良好)하였다. 4) 부원료(副原料)중에서는 대두박(大豆粕), 유채박(油菜粕), 참깻묵을 첨가(添加)했을때가 효소생산(酵素生産)은 양호(良好)하였으나 균사생육(菌絲生育)은 오히려 불량(不良)하였으며 미강첨가량(米糠添加量)은 30%첨가(添加)에서 좋았다. 5) 무기염류(無機鹽類)의 첨가(添加)는 대체적으로 효소생산(酵素生産)에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CaCO_3$는 5%, $CaSO_4$는 2% 첨가구(添加區)에서 좋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