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Han river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7초

L-모멘트법을 이용한 한강유역 일강우량자료의 지역빈도해석 (Frequency Analysis of Daily Rainfall in Han River Basin Based on Regional L-moments Algorithm)

  • 이동진;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119-13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의 1일, 2일, 3일 연최대강우자료를 대상으로 L-모멘트법을 이용한 지점 빈도해석과 지역 빈도해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지역빈도해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한강유역을 남한강, 북한강, 한강하류부 유역의 3개 소유역으로 분할하고, 각 유역에 대한 자료의 이산도 및 동질성을 검토하였으며, 각 소유역에 대하여 여러 분포형을 적용한 결과, 남한강유역과 한강하류부 유역은 lognormal 분포형, 북한강 유역은 gamma-3 분포형이 적정분포형으로 선정되었다. 지역빈도해석과 지점빈도해석을 통하여 선정된 확률분포형을 이용, Monte Carlo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재현기간에 따른 상대편의와 상대제곱근 오차를 산정하였다. 지역빈도해석과 지점빈도해석을 비교한 결과 상대제곱근오차에 있어서 지역빈도해석을 수행한 경우가 지점빈도해석에 비해 그 결과가 우수하였으며, 재현기간이 커질수록 그 차이는 현저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한강유역의 강우량에 대해서 지역빈도해석 수행함이 지점빈도해석에 비해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 PDF

확률분포를 이용한 남한강 보 건설 전·후 수질변화 분석 (Analysis of Water-Quality Constituents Variations before and after Weir Construction in South Han River using Probability Distribution)

  • 김경섭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5-63
    • /
    • 2019
  •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started in 2009 and completed in early 2013 is a large-scale inter-ministry SOC project investing ₩22.2 $10^{12}$ and one of the Project's objectives was to enhance the water-quality grade through recovering the river eco-system and environment. The average concentration and probability distribution of water-quality constituents at given and selected sampling sites are very significant elements for analyzing and controlling the water-quality of rivers or reservoirs effectively. Average concentration can be estimated by point estimator, distribution function of water-quality constituents or Bootstrap method, in which the distribution function estimated with more data in case of insufficient dataset, is applied. Ipo and Gangcheon water-quality monitoring stations in South Han River were sele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variation of concentration before and after Ipo and Gangcheon Weirs construction, using the whole 4-year's data, from 2005 to 2008 and from 2014 to 2017. Water-quality constituents such as BOD and COD relating to oxygen demanding wastes and TP and Chlorophyll-a relating to the process of nutrient enrichment called eutrophication were also selected. The guidelines for water-quality control and management after weir construction including evaluation of water-quality constituents' variations can be presented by this paper.

비강우시 한강수계 하천의 연간 난분해성 물질 유출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Refractory Organic Matters from Han River Basin during Dry Days)

  • 허상회;임지열;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3-358
    • /
    • 2017
  • 2,600만 수도권 시민들의 식수원인 한강수계의 경우 수질관리를 위해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며 특히 비점오염원이 주요 원인인 유기물질 및 난분해성 물질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강 수계의 주요 3개 하천(남한강, 북한강, 경안천)의 연간 비강우시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포함한 유기물질의 유출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유기물질 및 난분해성 물질의 경우 용존성 물질의 비율이 높았으며 전체 부하량중 여름철에 대부분의 부하량이 가장 많았다. 각 하천별 유기물질 및 난분해성 물질의 연간 부하량의 경우 유역면적에 비례하여 남한강, 북한강, 경안천 순서로 나타났다. 각 유역 면적 당 부하량 산정결과 TOC의 경우 경안천, 남한강, 북한강 순서로 나타났으며, R-TOC의 경우 비교적 일정한 유출특성을 보였다.

Measurements of $^{224}Ra\;and\;^{223}R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the South Sea of Korea

  • Hwang, Dong-Woon;Kim, Gue-Buem;Yang, Han-Soe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8권2호
    • /
    • pp.80-86
    • /
    • 2003
  • The horizontal distributions of $^{224}Ra$ (half life=3.4 days) and $^{223}Ra$ (half life=11.3 days) were measured in surface seawater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the South Sea of Korea in April and October 2002. In order to determine these short-lived Ra isotopes, we used a delayed coincidence counter which is much more rapid and accurate than traditional methods. In an estuarine mixing zone (salinity, ~l6 ppt), the activities of $^{224}Ra\;and\;^{223}Ra$ were much greater than what would be expected from a mixture of freshwater and seawater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This excess Ra may be a result of Ra desorption from fresh sediments originating from the river upstream. However, in the more open area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salinity>30 ppt) and the South Sea of Korea, $^{224}Ra\;and\;^{^{223}Ra$ activities decreased exponentially as a function of distance offshore. Using the decrease of $^{223}Ra$ with distance offshore in the South Sea of Korea, we estimated the apparent horizontal eddy diffusivities. The apparent eddy diffusion coefficients in South Sea of Korea are calculated to be approximately $3500-8000\;\textrm{m}^2/sec$.

충적하천의 유로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hannel Migration in Alluvial River)

  • 노섭;정용태;송재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173-181
    • /
    • 1993
  • 자연하천에 대한 합리적인 하천개수계획수립 및 유로의 유지관리면에서 반드시 규명되어야 할 유로만곡부에서의 정량적인 해석은 여러가지 접근방법이 있으며, 사행하천의 유로이동에 대한 예측은 도로, 교량 등의 위치선정과 기존하천구조물의 방재에 필수적이다. 하상계수가 큰 우리나라의 하천에 유로이동 예측모형을 적용할 때 유량은 기간별-지배유량을 고려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대상 유역에 대한 침식계수, 유로이동에 대한 평균오차량, 하상세굴계수 등을 비교검토한 결과 유로이동을 지배하는 유량이 존재함을 알 수 있으며, 연구대상유역에서 유로이동에 대한 지배유량은 재현기간 4년에 해당하는 6,000CMS 이상으로 사료된다. 유로이동모형을 실측값이 있는 남한강의 연구대상유로에 적용하여 침식계수를 구하였으며, 계산된 침식계수를 이용하여 그 유로에서의 2000년에 대한 유로이동을 예측하였다.

  • PDF

부영양화된 하천형 호소(팔당호) 전이대의 수질모델링 (Water Quality Modeling of the Eutrophic Transition Zone in a River-Type Reservoir Paldang)

  • 공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29-440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in cause of water quality deterioration during the spring season in the transition zone between the South Han River and the river-reservoir Paldang. A water quality model modified from QUAL2E (U.S.EPA) was used, and the model showed that eutrophication and algal production in the low flow season affected about 60% of the organic pollution at the downstream of the South Han River. This result means that phosphorus control is prior to external organic material management to ameliorate the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water body.

Space Syntax를 이용한 한강이남 자전거도로망의 접근성 분석 (A Study on the Accessability of the Bikeway Networks in the South of the Han River Using Space Syntax)

  • 오충원;임동욱;김현진;박준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97-110
    • /
    • 2012
  • 서울시 간선축자전거도로의 경우 한강변을 중심으로 축이 형성되어 있어 이용자가 많은 한강변 주변에 거주자들의 이용이 높은 반면, 도심지역 거주자들의 한강변자전거도로의 이용도는 낮다. 이는 한강변자전거도로를 연결하는 자전거도로와 도심지역의 자전거도로와의 연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한강이남자전거도로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보다는 시설위주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한강변자전거도로의 이용만이 아닌 서울시 자전거도로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합리적인 개선책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강이남자전거도로를 대상으로 자전거도로의 접근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강이남지역의 공간구조를 Space Syntax Model을 이용하여 현재 및 자전거간선축설치계획 후와 일반도로설치 후를 비교하여 강서 강동지역간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요 분석방법은 Space Syntax Model을 이용한 한강이남자전거도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강서 강동지역간 자전거도로 연결 시 한강이 남자전거도로의 접근성은 향상하였으나, 공간구조명료도($R^2$)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에 비해 지역 전체에 예측률이 낮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한강이남자전거도로와 간선축 설치계획안 일반도로설치안 비교 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공간구조명료도를 나타내어 자전거도로가 지역 간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인 도로형태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남한강 지역의 건기 시, 강우 시, 난분해성 유기물질 유출 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Refractory Organic Matters from South-Han River Watershed during Rainfall Event and Dry Season)

  • 길경익;김태원;정명숙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6-313
    • /
    • 2011
  • In this paper, runoff characteristics of South-Han river watershed in terms of refractory organic matters were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s of DOC, POC, R-DOC, R-POC in runoff and flow rates were determined by monitoring 27 times in dry season and 4 times in rainy season. The concentrations of the dissolved refractory organic matter, R-DOC was the lowest in fall and similar in the other dry seasons. The particulate refractory organic matter, R-POC showed less fluctuation than R-DOC. In summer, mass loading was the highest than other dry seasons. The concentrations of R-DOC, R-POC were showed to be affected by runoff volume. The mass loading grows higher as runoff volume gets higher.

한강 수계 분지내 하천수의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Oxygen and Hydrogen Isotopic Compositions of Stream Waters in the Han River Basin)

  • 김규한;이세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2호
    • /
    • pp.113-120
    • /
    • 2002
  • 한강 수계분지내의 하천수의 산소 및 수소 동위원소 조성은 $\delta$D=6.6delta$$^{18}$ O-7.4,로 순환수선($\delta$D=8$\delta$$^{18}$ O+10)과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한강수계 분지내의 지역적 기상조건과 증발 영향 때문으로 해석된다. 한강 하천수의 5150과 5D 값은 각각 -8.2~-10p77(평균 -9.17f7)과 -60~-96%e(평균 -69f77)이다. 그리고 남한강 하턴수치 평균$\delta$$^{18}$ O 와$^{18}$ O값은 -9.3$\textperthousand$과 -69$\textperthousand$로 북한강 하천수의 -9.2$\textperthousand$와 -69$\textperthousand$값보다 무거운 산소와 수소 동위원소비가 결핍되어 있다. 이는 남한강 하천수에 탄산염 기원과 황화광물 기원의 황산염의 무거운 산소의 유입과 위도 효과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집수지의 고도 효과의 영향을 더 많이 받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등위원소 자료에서 계산된 한강본류에서의 남한강과 북한강 하천수의 혼합비율은 약 6 : 4로 남한강 하천수의 영향이 한강 본류 하천수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

Distribution of Inorganic Phosphorus Fractions in Sediments of the South Han River over a Rainy Season

  • Vo, Nguyen Xuan Que;Ji, Yoonhwan;Doan, Tuan Van;Kang, Hojeo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29-240
    • /
    • 2014
  • Rain events are extremely important for phosphorus (P) dynamics in rivers since large portions of annual river P loads can be transported in particulate forms during only a few major events. Despite their importance, a precise estimation of P contribution in river sediments after rainy seasons has rarely been reported. This study estimated the longitudinal variation in the concentrations of different inorganic P fractions in bed sediments of the South Han River over a rainy season, through using the sequential extraction method. Non-apatite P was the dominant form, representing more than 60% of total inorganic P (TIP) content in sediments. Although no significant variation of TIP contents was observed, the proportion of bioavailable P in TIP pools decreased after the rainy season. The concentrations of individual inorganic P fractions ($NH_4Cl-P$, $NH_4F-P$, NaOH-P, and $H_2SO_4-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sites and after the rainy season (p < 0.05, two-way ANOVA). $NH_4F-P$ and NaOH-P concentrations in sediments increased in a downstream direction. After the rainy season, $NH_4Cl-P$ concentrations in sediments decreased whereas $NH_4F-P$ and $H_2SO_4-P$ concentrations increased. The redistribution of individual P fractions in sediments observed after rainy seasons were possibly due to the changing contribution of various sources of runoff and the variation in flow related particle size. Current estimation of P in bed sediments of the South Han River suggests a lower potential of internal P loading from sediments after the rainy sea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