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ccessability of the Bikeway Networks in the South of the Han River Using Space Syntax

Space Syntax를 이용한 한강이남 자전거도로망의 접근성 분석

  • Received : 2012.01.06
  • Accepted : 2012.05.10
  • Published : 2012.06.15

Abstract

In case of the axial line bikeway, the residents in the riverside use it frequently but those in the city center hardly do as the axis is formed along the riverside of the Han river. This situation happens due to the inefficient connectivity between the bikeway that leads to the riverside and that in the city center, which means the administrative policies have been focused on the facilities rather than on raising connectivity of the bikeway networks in the south of the Han River. Also, this is the point of time when a reasonable improvement plan is needed to raise the accessibilities of the bikeways in Seoul, not just a utilization of those in the south of the Han River. This study intends to analyse the connectivity between Gangseo (west of the Han River) and Gangdong (East of the Han River) districts by comparing the current spatial structure in the southern areas of the Han River and that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axial line, and that after installation of the ordinary bikeway respectively with use of the Space Syntax Model, and to predict resultant changes there of. The Space Syntax Model was used as the major method of analysis in this study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the bikeways in the south of the Han River. Consequently, as the analysis shows that when the bikeways in the Gangseo and Gangdong-gu districts are connected, the accessibility of the bikeways in the south of the Han River will improve while the spatial structure intelligibility will be lowered, it can be said the prediction rate in the all areas is low compared with the current status. It is analyzed that the intelligibility of the current bikeways in the south of the Han River appeared highest when compared with those of plans for installation of the axial line and ordinary bikeway because they don't interconnect with other areas.

서울시 간선축자전거도로의 경우 한강변을 중심으로 축이 형성되어 있어 이용자가 많은 한강변 주변에 거주자들의 이용이 높은 반면, 도심지역 거주자들의 한강변자전거도로의 이용도는 낮다. 이는 한강변자전거도로를 연결하는 자전거도로와 도심지역의 자전거도로와의 연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한강이남자전거도로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보다는 시설위주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한강변자전거도로의 이용만이 아닌 서울시 자전거도로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합리적인 개선책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강이남자전거도로를 대상으로 자전거도로의 접근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강이남지역의 공간구조를 Space Syntax Model을 이용하여 현재 및 자전거간선축설치계획 후와 일반도로설치 후를 비교하여 강서 강동지역간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요 분석방법은 Space Syntax Model을 이용한 한강이남자전거도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강서 강동지역간 자전거도로 연결 시 한강이 남자전거도로의 접근성은 향상하였으나, 공간구조명료도($R^2$)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에 비해 지역 전체에 예측률이 낮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한강이남자전거도로와 간선축 설치계획안 일반도로설치안 비교 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공간구조명료도를 나타내어 자전거도로가 지역 간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인 도로형태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seoul.go.kr, 서울시 도시교통본부
  2. 김광식, "점근성의 개념과 측정치", 대한교통학회, 대한교통학회지, 제5권 제1호, 1987
  3. 김영욱, 신행우, "서울 북촌의 공간구조 분석을 위한 방법론 연구 : 가로형태의 도시매락적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0권 제9호, 2004. 9, p.204
  4. 김용진, 이경환, 안건혁, "자전거 통근율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요인 분석-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9권 제1호, 2008. 3
  5. 김종혁, 조선휘, 서울시 자전거도로 정책 및 추진현황 : 동일로 시범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교통기술과 정책, 제5권 제3호, 2008. 9
  6. 김태호, 박주원, 고영선, 박제진, "Space Syntax를 이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연결성 변화연구 : 청계천복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도로학회,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제11권 제2호, 2009. 6
  7. 박병일, "浦項市자전거도로의 問題點과 活性化方案",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
  8. 신용철, "녹색교통 자전거 시대 그러나: 자전거 출퇴근? 목숨걸고 달려볼까: 전용도로 등 인프라 구축 절실 ", 월간말, 2008
  9. 심경석, "철도에 의한 도시공간구조 단절에 따른 공간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를 대상으로",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
  10. 신희철, 강지원, "4대강 정비사업과 연계된 하천변 자전거도로 건설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09
  11. 이우형, 김영욱, "서울의 도시공간구조와 기능의 변천에 관한 연구 : Space Syntax를 이용한 공간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3권 제1호, 2001. 6
  12. 이재영, "SP자료를 이용한 자전거이용자의 행태 및 경로선택 특성 분석", 대전발전연구원, p59, 2008
  13. 정일호, 강동진, 지광식, "교통기술혁신이 국토공간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 : 고속도로 및 고속철도 건설의 지역파급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02
  14. 조현우, "역세권 특성과 지하철 이용수요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연구 : 부산광역시 지하철 역세권을 사례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
  15. 한화진, 최진석, 신희철, "환경친화적 자전거문화 정착 연구 : 환경, 건강, 행복을 위한 자전거타기 생활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p.4
  16. 황호영, "자전거 전용도로의 이용 만족 사례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제9권 제1호, 2004
  17. B Hillier & J Hanson, "The social of space", Cambridge Univ, 1984
  18. Dill,J.et. al., "Bicycle commuting and facilities in major U.S. cities; If you build them, commuters will use them", Transp. Res. Rec. 1828, pp.116-123, 2003
  19. Jones, s. R. Accessibility measures : a literature review, TRRL Laboratary Report 967. Transport and Road Reaserch Laboratory, Crowthorne, Berks, UK. 1981
  20. Hansen. W. G, How accessibility shapes land-use; joumal of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25. No.2, 1959
  21. Muraco, W.A. Intra-Urban Accessbillity. Economic Geography, No.48, 1972
  22. Wegener M. "Land-use Transport Interaction". State of the Art

Cited by

  1.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Temporary Relief Facilities: A Case Study of the Sewol Ferry Disaster Using Space Syntax Modeling vol.21, pp.6, 2015, https://doi.org/10.1080/10807039.2014.974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