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water characteristic curve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5초

피스톤 펌프 기법을 이용한 흙-수분 특성곡선 측정방법 (Determination of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Using the Flow Pump Technique)

  • 황창수;김태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55-162
    • /
    • 2003
  • 흙-수분 특성곡선은 토질역학에서 불포화토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물성함수로 불포화토 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러한 흙-수분 특성곡선을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또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방법이 불포화토 연구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스톤 펌프 기법을 이용한 흙-수분 특성곡선 측정방법을 보완, 발전시켰다. 이 방법은 기존의 흙-수분 특성곡선 측정방법들보다 측정하기에 편리하고 빠르며 더욱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전체실험 과정을 통하여 완전한 통제가 가능하며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 및 정밀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흙-수분 특성곡선의 상세한 부분까지 연구할 수 있다. 한 점 한 점이 아닌 연속적인 건조곡선이나 습윤곡선의 측정이 가능하고 건조곡선에서의 공기침입값 위치라든지 습윤곡선에서의 공기폐색위치등도 측정 가능하다. 또한 불포화토의 특성중의 하나인 흙-수분 특성곡선의 이방성 측정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방법상의 기법을 개발했을 뿐만 아니라 실험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도 이루어졌다. 실례로 석션조절기법(suction drop measurement)이라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이 방법을 이용하면 흙-수분 특성곡선을 보다 편리하고 또 짧은 시간 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확률론적 댐 침투거동 해석 (Stochastic Seepage Analysis of Dam)

  • 조성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73-83
    • /
    • 2006
  • 댐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불포화 이론을 이용한 침투해석 기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지반의 불포화 거동에 대한 인식 부족과 실험절차의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입력 물성치에 대한 체계적인 실험과 평가가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반의 불포화 수리특성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는 침투수량 및 간극수압 분포 등 댐체 및 제방의 침투거동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댐의 심벽재료에 대한 함수특성곡선과 투수계수를 구하는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불포화수리특성이 댐체의 침투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입력물성의 확률론적 분포를 고려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Fredlund와 Xing 함수특성곡선식과 Campbell의 투수계 수식에서 변수 a와 n은 값이 클수록, n과 p는 값이 작을수록 정상상태에서의 침투수량이 많았다.

흡입응력을 고려한 불포화 사면의 안정해석법 (Stability analysis of an unsaturated slope considering the suction stress)

  • 송영석;이남우;황웅기;김태형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764-771
    • /
    • 2010
  • The stability analysis method of an unsaturated slope considering the suction stress was performed on the infinite sand slope. During drying and wetting processes, the Soil-Water Characteristics Curve (SWCC) of the sand with the relative density of 75% was measured using the automated SWCC apparatus. Also, the Suction Stress Characteristics Curve (SSCC) was estima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ability analysis of an unsaturated infinite slope was carried out considering the slope angle, the weathering zone and the relative change in friction angle as a soil dep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slope stability analysis, the safety factors of slope were less than 1 when the slope angles were more than $50^{\circ}$. The safety factors of slope te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the depth from the ground surface. Especially, the safety factors have a tendency to increase and decrease above near the ground water level due to the suction stress. The maximum safety factor of slope in this analysis was occurred at the Air Entry Value (AEV) of drying process. The influence range of suction stress above the ground water level can be found out and can be defined as the funicular zone which means the metric suction range from the air entry point to the point of residual volumetric water content.

  • PDF

풍화잔적토와 체적이 변하는 흙의 흙-수분 특성곡선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s of Residual Soils and Deformable Soils)

  • 이인모;이형주;김기섭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5-272
    • /
    • 2000
  • This study introduces the current theory of the SWCC and tries to verify the theory by performing laboratory tests for the local soils of Korea. First, the SWCCs of Poi-dong soil and Shinnae-dong soil, the most typical weathered residual soils in Korea, were experimentally obtain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mong others. Second, a SWCC model for deformable soils was proposed. For deformable soils, which show huge volume change during desaturation, the volume change behavior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SWCC should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void ratio as well as suction.

  • PDF

다짐 화강풍화토의 균등계수 변화에 따른 함수특성곡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il Water Characteristic Curve with Change of Coefficient of Uniform in Compacted Granitic Soils)

  • 유건선;김덕경;유남재
    • 산업기술연구
    • /
    • 제29권A호
    • /
    • pp.145-153
    • /
    • 2009
  • In this study, to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compaction and the soil water characteristic curve(SWCC) in decomposed granitic soils, compaction tests and SWCC tests were carried out for samples having various contents of coefficient of uniform($c_u$), By compacting their samples with standard Proctor density test, the effects of binder contents on maximum dry density and optimum moisture content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Samples compacted with the maximum dry density and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were tested by means of the SWCC, to determine their SWCC parameters, such as Brooks & Corey(${\lambda}$, ${\Psi}_b$), Van Genuchten (${\alpha}$, n, m), Fredlund & Xing(a, n, m).

  • PDF

체적압력판추출기의 측정법 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Measuring Procedures of Volumetric Pressure Plate Extractor)

  • 유건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4C호
    • /
    • pp.185-191
    • /
    • 2010
  • 축전이기법을 사용하는 체적압력판추출기(이하 체적압력판)로 실내시험실에서 함수특성곡선을 구할 수 있다. 체적압력판을 사용하면, 매 단계마다 공기압을 차단하지 않고 시험하는 동안 흙시료로부터 추출되는 간극수의 부피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시료내 간극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에어 트랩, 발라스트 튜브, 저장뷰렛, 진공펌프 등을 사용하는 체적압력판의 추출수 부피측정은 매우 복잡하고 지루한 작업을 수반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수정체적압력판을 개발하여 풍화잔류토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수정 시험기는 매트릭석션의 범위에 따라 ASTM D 6836-02의 Method A와 Method B 두 방법 모두 사용하여 추출수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정 시험기의 측정원리, 개선점, 시험결과 및 토의를 서술하였다.

접속부 궤도 성토재료의 함수특성곡선을 이용한 포화도 분포 산정 (Assessing Distribution of Degree of Saturation for Track Transition Zone Using Soil Water Characteristic Curve)

  • 최찬용;이정민;권혁민;오정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515-524
    • /
    • 2015
  • 최근 궤도 접속부에서의 부등침하 및 궤도틀림으로 잦은 유지보수 및 열차운영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는 주로 궤도 접속부 시공에 사용되는 다양한 성토재료의 강우나 동결융해 같은 환경적 인자에 의한 역학적 물성들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궤도 접속부 성토재료에 대한 함수특성곡선을 산정하고 강우 시 포화도 변화 추이를 알아보고자 침투해석을 수행 하였다. 필터페이퍼를 이용하여 다짐 성토의 함수특성곡선을 성공적으로 산정할 수 있었고, 함수특성곡선 데이터를 이용한 강우 시 침투해석을 수행한 결과 궤도 접속부 성토재료의 포화도 분포는 강우강도, 뒤채움재 경사, 성토 및 절토 여부, 그리고 함수특성곡선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 하였다.

불포화 수리특성에 대한 댐체 침투 거동의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of Seepage Behavior of Dam to Unsaturated Soil Properties)

  • 조성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119-131
    • /
    • 2005
  • 댐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불포화 이론을 이용한 침투해석 기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지반의 불포화 거동에 대한 인식 부족과 실험절차의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입력 물성치에 대한 체계적인 실험과 평가가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불포화 수리특성에 따라 침투수량 및 간극수압 분포 등 댐체 및 제방의 침투거동이 달라지나 국내 지반에 대한 실험자료 부족으로 대부분 단순 추정에 의한 값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 수리특성이 댐체의 침투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함수특성곡선과 투수계수곡선에 대하여 고찰하고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변수 a와 n은 값이 클수록, m은 값이 작을수록 중력에 의한 침윤선의 하강이 빨리 발생하였다. 유한차분 형식에 의해 개략적으로 계산한 민감도는 침윤선 부근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고 시간에 따른 민감도의 변화에는 함수특성곡선의 기울기와 관련된 n값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