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microbial fertilizer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31초

산업폐기물의 잔디용 유기질 비료화에 관한 연구 (Utilization of Industrial Waste to Organic Fertilizer for Lawn)

  • 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1-86
    • /
    • 1991
  • The sludge, a waste of brewery industries, was examined for potentials as a natural organic fertilizer (or soil conditioner) for lawn. Trial products were measured for changes of physical, chemical properties in laboratory and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green house were also tested.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1The sludge from distilled liquor brewery contained high quantity of organic matter which had prope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for lawn fertilizer (natural organic fertilizer, soil conditioner, top-dressing mix) . It showed good characteristics in handling and capabilities to be developed as commercial products for golf courses. 2.Sludge from beer company needs proper treatment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for futher degradiation. It is because aggregation of the sludge particles prevented microbial activities and changing to soluble form. 3.Green carbon can be used as carbon source for organic fertilizer production using brewery sludge, but it should not contain wood extract which inhibit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 PDF

Impacts of Cropping Systems on the Distribution of Soil Microorganisms in Mid-mountainous Paddy

  • Kang, Ui-Gum;Shin, Woon-Chul;Choi, Jong-Seo;Lee, Yong-Bok;Lee, Young-H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480-488
    • /
    • 2016
  • Soil microbes are widely well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n terms of crop healthy cultivation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this context,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soil microbes according to cropping systems were investigated under rice (R)-rice (R), rice (R)-barley (B)-rice (R), and soybean (S)-barley (B)-soybean (S) cropping condition to get basic information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where barley was grown for winter, in mid-mountainous loam paddy located at the altitude of 285 m above sea level in Sangju area from 2014 to 2015. Estimating from microbial communities by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method, a total biomass of bacteria, actinomycetes, and fungi in R-B-R plot was 37% and 40% higher than that in S-B-S and R-R plots, respectively (p < 0.05). In especial, bacteria and fungi were more in R-B-R plot than those in any other ones. B. japonicum, AMF, and mesophilic Bacillus sp. were also greater in S-B-S plot than those. In the community distribution, however, bacteria and actinomycetes showed comparatively high values in S-B-S plot relative to either R-R or R-B-R plot including rice, in which fungi outstanding. In the correlation between microbial biomass and soil properties changed by the cropping, bacteri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N ratio; actinomycetes with exchangeable Ca; fungi with available $P_2O_5$ (p < 0.05). While these microbes showed negative response to water stable aggregates of soil.

Effect of Bacillus subtilis S37-2 on Microorganisms in Soil and Growth of Lettuce (Lactuca sativa)

  • Heo, Jae-Young;Kim, Dae-Ho;Choi, Yong-Jo;Lee, Sang-Dae;Seuk, Su-Won;Song, Jae-Kyeong;Kwon, Jang-Sik;Kim, Min-Keu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621-626
    • /
    • 2016
  •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variations in soil microbial population of controlled horticultural land used for lettuce (Lactuca sativa) cultivation by their fatty acid methyl ester and chemical properties. We utilized four treatment groups, no treatment (NT), culture medium (CM), Bacillus subtilis S37-2 (KACC 91281P) ${\times}10^6CFU\;mL^{-1}$ (BS1), and Bacillus subtilis $S37-2{\times}10^7CFU\;mL^{-1}$ (BS2) and analyzed these variations throughout the before treatment and harvesting stage. The chemical properties such as pH,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n soils before treatment and harvesting stag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Total numbers of bacteria and microbial biomass C in soil treated with BS1 were larger than those of NT, CM, and BS2, whereas total number of fungi at the harvesting stag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BS1 soil than in the NT and CM soils (P < 0.05). On basis of leaf length, leaf width, leaf number and leaf weight, the growth characteristics lettuce on the soil treated with BS1 and BS2 was faster than those of NT and CM soils. Yield of lettuce with treated BS1 and BS2 were 35% and 29% more than that of NT, respectively.

작약 연작재배지의 토양 이화학성 및 미생물 분포특성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Distribution in the Continuous Cropped Field with Paeonia lactiflora)

  • 박준홍;서영진;최성용;장용선;하상건;김장억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41-846
    • /
    • 2011
  • 작약 연작장해 경감대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연작재배지의 토양 이화학성과 미생물상 변화 및 토양 미생물 군락의 기질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작약 초작지 토양에 비해 연작지 토양에서 표토 깊이가 얕고 표토와 심토의 경도차이가 심하였다. 토양화학성에서는 초작 2년에 비해 연작 4년생 토양이 pH 7.6, 유기물함량 $44.1g\;kg^{-1}$, 치환성 Ca, Mg함량이 높았다. 작약 재배연수에 따른 미생물의 변화는 세균과 방선균 밀도는 초작 3년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고 사상균 밀도는 재배년수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다. Biolog EcoPlate에 의한 토양 미생물 군락의 탄소기질 이용성 차이는 제 3주성분까지 57.5%의 자료를 해석할 수 있었고, 주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탄소기질은 D-cellobiose, ${\beta}$-methyl-D-glucoside 등이었으며, 작약 재배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Available Organic Carbon Controls Nitrification and Immobilization of Ammonium in an Acid Loam-Textured Soil

  • Choi, Woo-Jung;Lee, Sang-Mo;Han, Gwang-Hyun;Yoon, Kwang-Sik;Jung, Jae-Woon;Lim, Sang-Sun;Kwak, Jin-Hyeob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1호
    • /
    • pp.28-32
    • /
    • 2006
  • Effect of organic-C on immobilization and nitrification patterns in acidic soil was examined during 20 weeks incubation period to verify if organic amendments such as composted material can increase soil retention of N by stimulating microbial immobilization of $NH_4^+$. Four treatments were laid out: control without fertilizer N and glucose (treatment code: S), ammonium sulfate (SN), ammonium sulfate with single glucose at the commencement (0 week) of incubation (SNG), and ammonium sulfate with double glucose at 0 and 4 weeks of incubation (SNGG). Glucose application (SNG) significantly increased microbial immobilization of $NH_4^+$ within 1 week of incubation over SN. Immobilization was followed by remineralization thereafter; however, second-application of glucose (SNGG) restored $NH_4^+$ immobilization. At the same time, nitrificat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glucose application as indicated by consistently low $NO_3^-$ concentration in SNG and SNGG soils, suggesting that microbial assimilation of $NH_4^+$ is predominant compared to nitrification when available C-source is abundant. These results suggest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N with organic amendment would have beneficial effect on soil-N retention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by reducing production of $NO_3^-$ which is likely to be lost through leaching or denitrification.

무경운 벼 유기농업이 토양 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Organic Farming System on the Soil Microbial Ecology in No-till Paddy)

  • 이영한;안병구;곽연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14-818
    • /
    • 2011
  • 무경운 유기농업과 경운 관행농업의 벼 생육 단계별 토양 미생물 개체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확기 토양의 호기성 세균 개체수와 곰팡이 개체수는 무경운 유기농업이 경운 관행농업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으며 담수 이전 그람음성 세균 개체수도 경운 관행농업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호기성 세균, 그람음성 세균 그리고 곰팡이 개체수는 담수 이후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그람음성 세균 개체수는 무경운 유기농업과 경운 관행농업 토양 미생물 생태를 가장 잘 구분할 수 있는 특성을 보였다.

경남지역 논 토양 유형에 따른 미생물 군집 변화 (Impacts of Soil Type on Microbial Community from Paddy Soils in Gyeongnam Province)

  • 이영한;안병구;이성태;신민아;김은석;송원두;손연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64-1168
    • /
    • 2011
  • 경남지역 논 토양 미숙답 6개소, 보통답 9개소, 사질답 5개소를 대상으로 2011년에 미생물 세포벽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여 미생물 군집과 토양 화학성을 주성분분석으로 해석하였다. 토양 미생물체량은 보통답이 $1,235mg\;kg^{-1}$으로 사질답 $441mg\;kg^{-1}$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으며 (p<0.05) 미숙답은 $854mg\;kg^{-1}$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양 유기물 함량은 미숙답과 보통답이 $33g\;kg^{-1}$으로 사질답의 $18g\;kg^{-1}$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p<0.05). 미생물 군집은 보통답이 총 세균 33.0%, 그람음성 세균 18.1%로서 사질답의 총 세균 29.4%, 그람음성 세균 14.8% 그리고 미숙답의 그람음성 세균 15.4%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p<0.05). 주성분 분석결과 토양 유기물 함량과 총 세균 군집 비율이 경남지역 논 토양의 보통답과 사질답의 특성을 구분할 수 있었다.

화산회토 감귤원의 표토관리방법이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surface Soil Management Practices on Microflora in Volcanic Ash Soils of Citrus Orchard)

  • 좌재호;임한철;고상욱;현해남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65-170
    • /
    • 2004
  • 화산회토 노지 감글원에서 청경, 초생, 부초재배 등의 표토관리 방법이 토양의 미생물밀도, 효소활성 및 microbial biomass C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997년에 개화기인 5월과 과실비대기인 9월에 청경재배, 초생재배, 부초재배 감귤원 각각 10개소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토관리방법에 따른 토양의 화학성 차이는 없었으며 pH는 평균 4.7로 낮았다. 유기물과 질소 함량은 평균값으로 각각 140.2 및 $6g\;kg^{-1}$이었으나 조사지점에 따라 다양하였다. 감귤원 토양에서 호기성 세균은 $26,2-47.3{\times}10^6cfu\;g^{-1}$ 수준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호기성 세균속 중에는 Pseudomoras spp., 고온성 Bacillus spp., Rhizobium spp. 등이 우점하는 경향이었다. 방선균은 $1.8-84.6{\times}10^5cfu\;g^{-1}$ 수준으로 분포를 하였고 개화기에 밀도가 높았다. 사상균은 $26.4-182.1{\times}10^5cfu\;g^{-1}$ 수준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초생재배와 부초재배에서 많았다. 과실비대기에 토양 인산효소활성은 청경재배에서 $239.6{\mu}g\;PNP\;g\;soil^{-1}\;h^{-1}$, 토양 cellulase 활성은 초생재배에서 $602.6{\mu}g\;GE\;g\;soil^{-1}$\;24\;h^{-1}$로 높았다. Microbial biomass C는 부초재배에서 $256.3mg\;C\;kg\;soil^{-1}$로 가장 높았다.

유기질 비료 급원이 배 과원의 토양 물리화학성 및 미생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Source on Soil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in an Organic Pear Orchard)

  • 최현석;이웅;김월수;이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6-23
    • /
    • 2011
  • 본 연구는 유기농 배 과원에서 2년간 시용한 여러 종류의 유기질 퇴비와 화학비료에 따른 시기별 토양 물리화학성 및 미생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NPK 화학비료를 시용한 처리구를 선정하였고 유기질 비료는 유박과 휴믹산 그리고 키틴퇴비를 포함하였다. 모든 처리구는 질소성분량 200 g/나무 양으로 동일시해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 매해 3월 30일에 수관주위에 산포 처리하였다. 토양 물리성은 처리구간에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5월과 8월에 조사된 토양 유기물과 전질소 그리고 칼륨, 칼슘, 마그네슘 농도는 유기질 비료 처리구에서 일반적으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고 유기질 비료간에 일관성 있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beta}$-glucosidase를 제외하고 미생물 생체량 탄소와 질소, dehydrogenase, acid-phosphatase, 그리고 chitinase활성은 시기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8월 조사에서 유기질 비료인 유박과 키틴퇴비는 대조구보다 높은 미생물 활성이 나타났다.

시설 딸기의 재배방법에 따른 토양 미생물군집 비교 (Comparison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to Different Practice for Strawberry Cultivation in Controlled Horticultural Land)

  • 민세규;박수선;이영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79-484
    • /
    • 2011
  • 시설 딸기 유기재배, 무농약재배 그리고 관행재배 방법이 토양 미생물 생태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FAME 분석으로 검토하였다. 유기재배는 관행재배에 비해 총 FAME 함량은 1.2배, 총 세균 함량은 1.4배, 그람음성 세균은 1.5배, 그람양성 세균은 1.2배, 방선균 함량은 1.5배 높았다 (p<0.05). 미생물 군집은 유기재배와 무농약재배가 관행재배에 비해 총 세균 및 그람음성 세균의 군집비율이 높은 반면, 곰팡이 군집비율은 낮았다 (p<0.05). 주성분 분석결과 주성분 PC1은 50.9%, 주성분 PC2는 30.5%로 관행재배, 무농약재배 및 관행재배의 미생물 군집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방선균 군집비율은 유기재배에 대한 지표로서 나타났다. 무농약재배는 토양 염류가 높아 cy19:0과 18:$1{\omega}7c$ 비율은 1.27로 높았으며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0.56로 낮게 나타났다 (p<0.05). 따라서 미생물의 다양성을 유지하고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토양 양분을 적정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