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acidity(pH)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9초

인공산성비 처리가 토양의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Soil Chemical Properties)

  • 유관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0-406
    • /
    • 1998
  • 사양토, 양토, 식양토의 3 가지의 토양을 $2^{{\prime}{\prime}}{\times}30cm(D{\times}L)$ column에 충진한 후 인공 산성비(pH 2.0, 4.0, 6.0) 1,200mm를 처리하여 산성비의 토양내 침투수량에 따른 토양의 산성화 경향, 토양 중 무기양분의 용탈과 이동양상과 산성비 토양투입에 따른 석회 중화양을 비교검토한 결과, 산성비 처리에 따른 각 토양의 pH 변화는 산성비의 pH가 4.0과 6.0에서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pH 2.0에서는 토심별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pH감소는 사양토>양토>식양토의 순이었고, 치환산도(치환성 Al+H)는 식양토>양토>사양토의 순위였다. 산성비에 따른 각 토양의 토심별 양분 용탈량은 산성비의 pH 2.0에서 많았으며, 사양토, 양토와 식양토의 경우, 각토양 공히 Ca>K>Mg 순위였다. 토양의 pH감소와 치환산도(치환성 Al+치환성 H)는 사양토 > 양토 > 식양토의 순위였으나, pH감소에 따라 증가되는 치환산도는 그 토양의 CEC범위내 이었다. 토양내의 치환성 Al는 토양의 pH가 5이하에서는 거의 없었다. pH 3.0인 산성비(황산:질산=2:1, $1,200mm\;year^{-1}$)의 유입에 따른 H이온의 유입은 $12kg\;ha^{-1}\;year^{-1}$, 산성비의 토양유입은 S와 N가 각각 128과 $56kg\;ha^{-1}{\cdot}year^{-1}$이었으며, 이를 중화할 수 있는 소석회의 양은 $444kg\;ha^{-1}\;year^{-1}$이지만 실제로 용탈된 염기는 소석회로 사양토 923, 양토 1,731, 식양토 $1,608kg\;ha^{-1}\;year^{-1}$로 추정되었다.

  • PDF

남산과 광릉지역 소나무림 토양시비가 소나무잎의 왁스함량, 접촉각 및 무기양이온 함량과 토양산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Fertilizers on Was Content, Contact Angle, Mineral Nutrient Content of Japanese Red Pine(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Leaves and Soil Acidity of Japanese Red Pine Communities in Na)

  • 최기영;이용범;조영렬;이경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5-262
    • /
    • 1996
  • 다양하고 복잡한 환경요인에 의해 발생된 산림쇠퇴에 대한 회복책의 하나로 1990년 11월부터 1993년 8월까지 3년에 걸쳐 서울시 중심에 위치한 남산과 광릉지역의 소나무 우점종인 군집에 석회, 마그네슘, 석회+마그네슘+ 복합비료를 시용한 후 소나무잎의 왁스함량, 접촉각 및 무기양이온 함량, 토양의 산도를 분석하여 시비처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산, 광릉지역 소나무잎의 왁스함량 및 접촉각값은 토양시비에 따라 증가하였고, 엽령이 증가함에 따라 접촉각값은 작아졌다. 2. 소나무잎의 K, Ca 함량은 남산에서 높았으나, Mg 함량은 광릉지역에서 높았다. 소나무잎의 K, Mg 함량은 남산과 광릉 모두 시비가 계속됨에 따라 증가하여 시비의 효과가 나타났다. 3. 토양산도는 남산지역이 pH 4.2$\sim$4.3, 광릉지역이 pH 4.6$\sim$4.9이였고, 토양시비처리에 따른 토양 산도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토양시비처리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시비구에 비하여 시비처리구의 토양 pH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도시공원녹지의 입지환경과 토양특성이 식생구조와 수목활력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c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ree Vitality of Urban Park and Green Open Space)

  • 김석규;박승범;남정칠;김승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30-44
    • /
    • 2002
  •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 of loc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effect on the condition of urban forest in Urban Park and Green Ope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allows; 1. Soil acidity is indicated pH 3.88 in Sasang park, pH 4.38 in Hwaji park, pH 4.40 in Daeyeon park, pH 4.68 in Sanseong amusement park, pH 5.15 in Molundae amusement park. 2.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indicated Sasang park 0.9932, Hwaji park 1.1975, Daeyeon park 1.2160, Sanseong amusement park 1.3080, Molundae amusement park 1.3233 is due to location and soil environment in addition to air pollution effects. 3. The vitality of Pinus thunbergii 27.5ER in Sasang park, 24.9ER in Hwaji park, 24.5ER in Daeyeon park, 23.6ER in Sanseong amusement park, 21.0ER in Molundae park. This shows that tree vitality are impacted by loc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e result above, vegetation devices are suggested : 1) Robinica pseudo-acacia management, 2) removing the hazard plants; Smilax china, Humulus japonicus, Pueraria thungergiana, 3) improving soil hardness and soil acidity.

토양반응(pH)이 분화재배 바위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Reaction (pH) of Culture Soil on the Growth of Saxifraga stolonifera in Pot Cultivation)

  • 서종택;유동림;이현숙;이희경;류승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6-88
    • /
    • 2007
  • 바위취의 토양산도별 생육특성을 보면 초장, 엽수, 엽장, 엽폭 그리고 초폭에 있어서 모두 pH 4.5에서 생육량이 많았으며 pH가 높을수록 생육량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경향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바위취 분화생산시 경량 배양토의 토양산도를 $pH4.5{\sim}5.0$ 정도로 맞추어 주는 것이 pH 6.0보다 초기 활착이 빠르고 생육이 양호하며 균일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Soil Acidity and Organic Matter by Application of Organic Materials and Soil Mulching with Pine Needles for Soil Surface Management in Blueberry Eco-Friendly Farming

  • Ahn, In;Kim, Sam-Hyun;Maeng, Woon-Young;Lee, In-Eae;Chang, Ki-Woon;Lee, Jong-J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56-562
    • /
    • 2013
  • The blueberry eco-friendly farming requires the soil condition of pH 4.2 ~ 5.2 and high in organic matters for stable growth. Most of soil types of blueberry-growing land in Korea, however, belongs to alkaline soils with low organic matter content. As a result, the eco-friendly blueberry growers use peat moss and sulfur powder heavily to improve the soil condition, but the guideline on the effective use of organic materials was not established yet. Therefore, this stur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creasing soil acidity and organic matters by using organic materials. Among 5 organic materials, the pH of soil was lowest in degradable sulfur + bentonite (pH 4.1) and followed by Peat moss+Chaff+Pine Needlesmixtures(pH 4.5), OrganicAcid +vinegar (pH 4.7), Sulfur powder (pH 4.8), Temperature response Elutioner (pH 5.2). The soil organic matter content were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Peat moss+Chaff+Pine Needlesmixtures (8.4%) > degradable sulfur + bentonite (7.8%) > Organic Acid + vinegar (7.2%) > Sulfur powder ${\fallingdotseq}$ Temperature response Elutioner (6.3%). Although different in the degree, all organic materials treated was recognized a good material for improving soil pH and organic matter content. The plant height and stem diameter of blueberry were no clear difference among 5 organic materials. Another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mending soils with organic matter by soil mulching with pine needles for soil surface management in blueberry organic cultivatio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oil pH by pine needle mulching in blueberry eco-friendly farming was recognized in four test fields. Pine needle mulching for soil surface management in blueberry appeared several advantages, such as improving of soil pH and organic matter content. Therefore, pineneedle mulching in blueberry organic farming is considered as the most efficient means of mulching cultivation for amending soil pH, weed suppression and moisture conservation among mulching materials.

골프장 관리조건에서 시비와 토심에 따른 토양산도의 경시적 변화 (Time series Changes of Soil pH according to Fertilizers and Soil Depth under Golf Course Conditions)

  • 남상용;김경남;김용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18
    • /
    • 2002
  • 실제 골프장 토양환경에서 비료종류에 따른 계절별.토심별 토양 pH 변화를 규명하고자 안양 베네스트 골프클럽 내 들잔디 '중지'(Zoysta japonica Steud.)로 조성된 포장에서 산도 교정용으로 많이 이용하는 규산질비료(SiO$_2$) 및 석회석(CaCO$_3$) 2종류를 사용하여 규산질 비료 3수준, 석회석 비료 3수준으로 처리하여 실험한 결과 토층별로 현저한 차이가 관찰되었는데 전체 pH 평균을 보면 0~5cm의 표토가 6.54, 5~10cm가 5.80, 10~15cm의 심토에서는 5.04로 나타났다. 비료종류별 처리효과는 3개의 모든 층에서 1% 유의수준에서 고도의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토인 0~5cm층에서 규산질 비료는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은 반면 석회질 비료구가 50kg/10a, 100kg/10a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10~15cm 층에서는 규산질 비료 시비구가 100kg/10a, 200kg/10a에서 효과가 있었으나 석회질 비료는 유의한 증가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5~10cm 층에서는 두 가지 비종 모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어 토심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계절에 따른 경시적 토양산도 차이가 인정되고 이는 토심별로 차이가 인정되므로 토양 샘플 채취시 샘플시기를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표토(0~5cm)층의 토양산도가 지하층인(5~10cm, 10~15cm)에서보다 높은 것은 토양산도가 규소나 석회 같은 비료 함량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토양 모암의 상태나 유기물 함량, 강수량 등의 수분 함량, 온도, 토양의 통기성이나 호흡 등H$^{+}$ 이온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여건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토양산도를 조정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안성지역 강우의 산성도 중화에 미치는 NH4+ 및 Ca2+ 영향 평가 (Assessment of NH4+ and Ca2+ on Acidity Neutralization of Rainwater in Ansung Area)

  • 이종식;주민;박백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56-360
    • /
    • 2000
  • 우리나라 강우의 pH 분포와 산성도 중화에 미치는 $NH_4{^+}$$Ca^{2+}$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1993, 1994, 1995, 1997 및 1998년 각각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 동안 안성지역에 내린 강우의 주요 이온들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강우의 산성도 분포는 pH 5.0~5.6의 범위가 가장 많았으며 pH 5.6 이상의 강우는 연차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빗물중 $SO_4{^2-}$$NO_3{^-}$의 당량비는 1994년 이후 점차 증가하여 빗물중에 함유된 음이온중 $SO_4{^2-}$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졌다. $[H^+]+[NH_4{^+}]+[Ca^{2+}]$의 역대수 값으로 계산되는 이론적 산성도는 측정된 pH값에 비해 5.0~12.6배 높았고 대기중에 존재하는 알카리 물질들에 의한 빗물의 월별 중화력은 강우량이 많은 7월과 8월에 가장 적었다. 또한 빗물의 산성도 중화에는 $NH_4{^+}$$Ca^{2+}$ 보다 기여도가 컸으며, 두 이온에 의한 빗물의 중화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중부지방 자생 비목나무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tive Distribution of Lindera erythrocarpa Makino in Central Korea)

  • 이동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75-182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eck shelling distribution of Lindera erythrocarpa Makino in Kanghwa Island, MT. Suri, Kyunggido and MT. Kaya, Chungchongnam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total distribution area of Linedra erythrocarpa where are Jeondeung temple and Jugsu temple Kanghwa Island, MT. Suri, Kyunggido and MT. Kaya, Chungchongnamdo was 344.4ha and the total number of Linedra erythrocarpa was 3,224. The total number of femle Linedra erythrocarpa was625(22.2%) except the seedlings under 2cm of DBH(Diameter breast of height). For the estimation of tree age by counting of tree rings, the regression equation was Y=1.79X+9.47($R^2$=0.83, DBH=cm). The soil acidity of stands studied was $pH4.6{\sim}pH5.8$. And the soil acidity of Seoul was $pH4.2{\sim}pH4.5$ So for the Planting Linedra erythrocarpa in Seoul area, the soil acidity of planting area should be changed to $pH4.6{\sim}pH5.8$. The flower size of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The length of petiole of male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The length of petiole of male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flowers per flowering bud of male and female were 13.4, 11.2, respectively. The flower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21 days from May 2 to May 22. And The leaf continu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203 days from April 7 to October 27. And the fall-foliage color continuing period was 10 days from October 18 to October 27. The fruit continu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61 days from September 26 to November 26.

  • PDF

인공산성비 처리가 토양의 무기양분 이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Mineral Nutrient Movement in Soil)

  • 유관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2-367
    • /
    • 1998
  • 사양토, 양토, 식양토의 3가지의 토양을 2' column에 충진한 후 인공 산성비( pH 2.0, 4.0, 6.0) 1200㎜를 처리하여 산성비의 토양내 침투수량에 따른 토양 중 무기양분의 이동 양상과 토양내에서의 환경변화에 대한 시험 결과, 산성비의 토양침투에 따른 토양의 pH 변화는 산성비의 pH가 4.0가 6.0에서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pH2.0에서는 토심별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pH감소는 사양토> 양토> 식양토 순위였다. 산성비의 토양침투에 따른 토양의 토심별 치환성과 수용성 염기의 용탈양은 Ca> Mg> K 순위였으며, 산성비의 pH2.0에서 가장 많은 양이 이동하였다. 이들 염기들의 평균이동거리를 pH2.0의 산성비 처리에서는 사양토, 양토, 식양토 공히 Mg> Ca> K의 순위였으나, 산성비의 pH4.0인 경우 사양토와 식양토는 Mg> K> Ca, 양토의 경우는 K> Mg> Ca의 순위였다. 인산의 경우 평균 이동거리는 다른 성분에 비하여 매우 짧았으며 산성비의 산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일반 강우 조건에서는 거의 이동하지 않았다.

  • PDF

여천공단 주변지역 토양의 화학적 성질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in the Vicinity of Yoch의on Industrial Complex)

  • 문형태;표재훈;김준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1호
    • /
    • pp.1-6
    • /
    • 1998
  • Effects of air pollutants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Yoch'on inductrial complex were investigated. Soil pH showed severe acidity with average value of 4.3$\pm$0.13. Soil pH decreaed along the increase in altitute of Mt. Jeseok. Soil organic matter and total N was 19.2$\pm$3.6% and 4.7$\pm$0.25mg/g,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unpolluted area, Kongju. Available P was 41.2$\pm$3.7 $\mu$g/g, which was 4 times greater than that of unpolluted area, Kongju. Average content of total-S was 283.5$\pm$14.1 $\mu$g/g, which was 10 times greater than that of unpolluted area. Content of available Al was o.43$\pm$0.03 mg/g, which was 2 times greater than that of unpolluted area. Available Al increased as the soil pH decrease. Contents of exchangeable K, Ca and M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unpolluted area, because of severe leaching in acid soi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