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oil Fertilizers on Was Content, Contact Angle, Mineral Nutrient Content of Japanese Red Pine(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Leaves and Soil Acidity of Japanese Red Pine Communities in Na

남산과 광릉지역 소나무림 토양시비가 소나무잎의 왁스함량, 접촉각 및 무기양이온 함량과 토양산도에 미치는 영향

  • 최기영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 이용범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 조영렬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1996.11.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il fertilizers on wax content, contact angle, mineral nutrient content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leaves and soil acidity of Japanese red pine communities in Namsan and Kwangnung to see whether they can recover forest decline. Japenese red pine communities were treated with $Ca(OH)_2$, $Mg(OH)_2$, $Ca(OH)_2+Mg(OH)_2$+C.F.(compound fertilizer)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3 replication from November, 1990 through October, 1993. Wax content, contact angle value and mineral nutrient content of Japanese red pine leaves and soil pH of communities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Contact angle value and wax content of Japenese red pine leaves increased when the fertilizers were applied in soil. The order leaves grew, the smaller their contact angle values. 2. K and Ca contents of Japanese red pine leaves were higher in Namsan than in Kwangnung, whereas Mg content was higher in Kwangnung. K and Mg contents of the leaves increased with fertilization both in Namsan and Kwangnung. 3. Soil acidity of pH 4.2 ~ 4.3 was shown in Namsan and pH 4.6 ~ 4.9 in Kwangnung. No acidity changes were shown when the fertilizers were applied in soil. However with the lapse of the soil fertilizer application time, there was the indication that soil pH became higher in the fertilizer treatments than in the control.

다양하고 복잡한 환경요인에 의해 발생된 산림쇠퇴에 대한 회복책의 하나로 1990년 11월부터 1993년 8월까지 3년에 걸쳐 서울시 중심에 위치한 남산과 광릉지역의 소나무 우점종인 군집에 석회, 마그네슘, 석회+마그네슘+ 복합비료를 시용한 후 소나무잎의 왁스함량, 접촉각 및 무기양이온 함량, 토양의 산도를 분석하여 시비처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산, 광릉지역 소나무잎의 왁스함량 및 접촉각값은 토양시비에 따라 증가하였고, 엽령이 증가함에 따라 접촉각값은 작아졌다. 2. 소나무잎의 K, Ca 함량은 남산에서 높았으나, Mg 함량은 광릉지역에서 높았다. 소나무잎의 K, Mg 함량은 남산과 광릉 모두 시비가 계속됨에 따라 증가하여 시비의 효과가 나타났다. 3. 토양산도는 남산지역이 pH 4.2$\sim$4.3, 광릉지역이 pH 4.6$\sim$4.9이였고, 토양시비처리에 따른 토양 산도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토양시비처리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시비구에 비하여 시비처리구의 토양 pH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토양화학분석법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수도권지역 환경오염에 의한 수목 및 식물군집구조 피해 판단에 관한 연구 류창희
  3. 남산자연공원의 수목생육 환경실태 및 관리방안 이경재
  4. 산성우 및 대기오염물질이 삼림에 미치는 피해의 조기판단에 관한 연구: 산성우 및 대기 오염물질에 의한 수목의 생리적 변화 이경재
  5. 한국임학회지 v.79 no.4 인공산성우가 삼림토양의 완충능에 미치는 영향 이수욱;민일식
  6. 국립환경연구원보 v.15 대기오염과 산성비에 의한 피해 조사 및 평가에 관한 연구 (Ⅲ-2):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우석(등13인)
  7. 국립 환경 연구원보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과 산성비 강하에 관한 연구 (Ⅱ) 정용승
  8. Ecological studies v.52 Context and case studies in Southern United States, in Acidic deposition and forest soils Binkley,D.(et al.)
  9. New phytology v.93 Contact angles of water droplets on needles of Scots pine grow-ing in polluted atmospheres Cape,J.N.
  10. USDA Gen. Tech. Rep., SE-59 An evaluation of the role of ozone, acid deposition and other air-borne pollutants on the forests of Easten North America, in USDA For. Serv. Garner,J.H.;B.P.Terry;E.B.Cowling
  11. J. KAPRA v.10 no.E Ecolohgical examinations of the radial growth of pine trees on Mt. Namsan and potential effects of current level of air pollutants to the growth of the trees in Central Seoul, Korea Kim,E.S.
  12. IFS Case Study Recovery from acidification, in Atmospheric deposition and forest nutrient cycling Stuanes,A.O.;H.W.Mieqroet;D.W.Cole;G.Abrahams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