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 deposit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3초

저 칼슘 및 수산을 첨가한 식이가 난소절제한 흰쥐에서 조직의 칼슘 침착과 골격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Low Calcium Diet and Oxalate Intake on Calcium Deposits in Soft Tissues and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 이미린;박미나;문지영;이연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2호
    • /
    • pp.101-111
    • /
    • 2011
  • It is controversial whether low calcium intake, commonly associated with osteoporosis, results in calcium accumulation in soft tissu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w calcium (Ca) and oxalate (ox) intake on soft-tissue Ca deposits and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ovx) rats. Eight week old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ovariectomized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rats were fe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low (0.1%, w/w) or normal (0.5%, w/w) Ca with or without sodium oxalate (1%, w/w); Sham/NCa, Ovx/NCa, Ovx/LCa, Ovx/NCa-ox, Ovx/LCa-ox for 6 weeks. All ovx rats showed a remarkable increase in body and tissue weigh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blood urea nitrogen, alkaline phosphatase, and decreases in weight, ash, and Ca contents, as well as bone breaking force compared to those in sham rats. Serum Ca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Ca levels or ox intake. Kidney Ca, ox acid content, and microscopic Ca deposition increased remarkably in the Ovx/LCa-ox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other groups. Ca content in the spleen and aorta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weight contents, Ca, bone breaking force, and Ca and oxalic acid in fece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Ovx/LCa-ox group. Serum parathyroid hormone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w Ca intake decreased bone mineral content and increased Ca deposits in soft tissues, which was aggravated by ox intake in ovx rats. Thus, high ox intake may result in a kidney disorder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who eat a low Ca diet.

점토지반 조건 및 쇄석말뚝 특성에 따른 응력분담비 산정 (Evaluation of Stress Distribution Ratio According to Clay Ground Condition and Stone Column Characteristics)

  • 김동은;박현일;이승래;유상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1호
    • /
    • pp.35-41
    • /
    • 2008
  • 쇄석말뚝은 연약지반의 침하 억제 및 지지력 보강에 사용되는 연약지반 보강공법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의 침하저감효과를 평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인 응력분담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쇄석말뚝으로 보강된 점토지반에 대한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상재하중 재하 시 시간경과에 따라 쇄석말뚝의 응력비 값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토지반의 강성도가 증가함에 따라 쇄석말뚝의 응력비는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또한, 쇄석말뚝으로 보강된 연약지반의 응력분담율을 간편하게 예측하기 위하여 제안된 수정된 Baumann & Bauer의 해가 계측 결과와 잘 일치되는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토매립재로서 포항지역 제3기층 이암의 공학적 특성 및 시험시공 (Engineering Characteristics and Pilot Test of Pohang Area's Tertiary Mudstone as Earth Filling Material)

  • 이규환;정대석;김성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63-73
    • /
    • 2010
  • 포항 일원을 포함하여 신생대에 형성된 지역의 경우, 매립을 위한 양질의 재료원이 부족하며, 미고결된 신생대 퇴적 이암을 도로성토재나 항만공사의 매립재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매립재로 사용되는 미고결 이암의 공학적 특성 및 환경적 영향 등이 아직까지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암을 매립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흡수, 연화, 슬레이킹과 지질학적 메커니즘을 파악해야 하며 침하나 수침에 따른 강도 저하 등에 대한 특성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시험과 현장 시험시공을 통해 도로성토재나 매립재로 사용되는 이암의 적합성을 여부를 파악코자 하였다. 특히, 이암을 매립재로 활용하는 경우, 이암의 환경적인 영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 이암을 도로성토재나 매립재로 활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미리 예방하는데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역해석 기법에 근거한 수직배수재로 개량된 연약점토지반의 침하예측 (Prediction of Settlement of Vertical Drainage-Reinforced Soft Clay Ground using Back-Analysis)

  • 박현일;김윤태;황대진;이승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C호
    • /
    • pp.229-238
    • /
    • 2006
  • 수직배수재가 설치된 연약지반의 압밀거동을 해석하기 위하여 아무리 정교한 수치해석기법을 사용하더라도 비균질 다층지반의 대표지반정수의 추정, 압밀거동에 대한 수치모델링 및 계측시스템 오차 등과 관련된 불확실성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관측되는 거동은 설계단계에서 예측된 거동과 종종 다르게 발생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층지반으로 구성된 복잡한 압밀물성특성을 갖는 연약지반에 대하여 압밀물성특성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에 근거한 역해석 기법을 제안하였다. 다층 연약지반의 압밀과정 초기단계에서 계측된 거동을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에 적용된 역해석기법을 이용하여 압밀거동과 관련된 주요 설계변수를 최적화함으로써 장래의 압밀거동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국내 배수재가 설치된 다층지반에 대한 예제해석을 수행하여 제안된 역해석 기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배수재가 설치된 연약지반의 2차압축을 고려한 축대칭 비선형 압밀해석 (Axisymmetric Nonlinear Consolidation Analysis for Drainage-installed Deposit Considering Secondary Compression)

  • 김윤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133-140
    • /
    • 2005
  • 연약지반에서 압밀속도를 가속화시키고 설계 전단강도를 얻기 위하여 선행압밀공법과 병행된 연직배수공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계가 설치된 연약지반에서 압밀과정 동안에 간극비의 감소로 인한 압축성과 투수계수의 변화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1차압밀 동안에 유발되는 2차압밀(혹은 크리프)을 고려할 수 있는 축대칭 비선형 압밀이론이 개발되었다. 측대칭 비선형 압밀해석을 위한 수치해석 프로그램, AXICON은 가정 B를 바탕으로 유한차분법을 적용하여 개발되었다. 가정 A를 바탕으로 한 Hansbo의 해석적인 해와 AXICON 해석결과를 비교$\cdot$분석하였다. 또한 Ska-Edeby 시험성토 현장지반에서 관측된 침하량과 간극수압의 계측자료와 비교하였다. 해석결과에 의하면 가정 A는 현장침하량을 일반적으로 과소 평가하며, 가정 B가 논리적으로 타당하다. 또한 제안된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실제 현장의 거동을 잘 예측할 수 있다.

단일 및 이중 코어 PBD에 의한 대심도 연약지반 개량 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ison on the Performance of Soil Improvement in Thick Soft Ground Using Single-Core and Double-Core PBD)

  • 양정훈;홍성진;김형섭;이우진;최항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8호
    • /
    • pp.33-45
    • /
    • 2009
  • 단일코어 연직 배수재 공법은 현재까지 폭넓게 사용되는 연약지반 개량공법이다. 그러나 얇은 플라스틱 보드 형태의 PBD 구조로 인해 압밀 도중 큰 횡 방향 토압과 이에 따른 necking 현상이 발생하고 이는 PBD의 통수능을 감소시킨다. 본 연구 대상인 부산신항만 조성 공사현장은 대심도의 연약지반으로서 PBD 설치 시, 큰 횡 방향 토압에 의한 통수능 감소를 예상되어 통수능 감소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중코어 PBD를 도입, 시공하고, 기존 형태의 단일코어 PBD를 동시에 설치한 후, 현장에서의 배수재 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실내실험으로는 개량 델프트 실험을 수행하여 연직배수재의 통수능을 측정하고, 현장에서 채취한 시료를 이용해 기본 물성실험 및 CRS 압밀시험을 수행하여 수치 해석 프로그램인 ILLICON에 적용하여 침하거동 양상을 파악하였다. 개량 델프트 실험에서는 이중코어 PBD의 통수능이 단일코어 PBD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나, 현장 계측 및 수치해석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일발전인 대심도 지반에서 압밀시 발생되는 물의 배수량은 상대적으로 작은 단일코어 PBD의 통수능 범위 보다도 작기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는 단일코어 PBD와 이중코어 PBD의 성능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국내 연약지반의 신뢰성있는 비배수 전단강도 추정을 위한 flat DMT와 인공신경망 이론의 적용 (Application of Flat DMT and ANN for Reliable Estimation of Undrained Shear Strength of Korean Soft Clay)

  • 변위용;김영상;이승래;정은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7-25
    • /
    • 2004
  • DMT 시험은 연약지반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 시험방법으로, 이 방법으로부터 구한 비배수 전단강도는 가장 신뢰성 있고 유용한 매개변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외 다른 지역의 자료를 토대로 기존에 제안된 상관관계식들은 지역적인 특성에 의존한다. DMT 시험 결과는 3가지 중간 지수 - 재료지수, 수평응력지수, dilatometer modulus를 사용하여 해석이 이루어지며 특히 비배수 전단강도는 수평응력지수만을 이용하여 예측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DMT 시험의 국내 연약지반에서의 적용성을 살펴보았으며 DMT로부터 비배수 전단강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p_0, p_1, p_2, {\sigma '}_v$ 그리고 초기 간극수압을 바탕으로 인공신경망 모델을 개발하였다. 인공신경망 모델은 오차 역전파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국내 연약지반에서 수행된 DMT 시험 자료를 이용하여 훈련하였다. 인공신경망 모델의 적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훈련에 이용되지 않은 자료로부터 예측된 결과와 기존에 제안된 상관관계식으로부터 얻은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누액 단백질 침착에 의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굴절력 변화 (The Change in Refractive Powers of Soft Contact Lenses Caused by the Deposition of Tear Proteins)

  • 최진용;박재성;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3-390
    • /
    • 2011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렌즈에 부착되는 누액 단백질에 의하여 굴절력의 변화가 유발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00 D, -3.00 D, -5.00 D 및 -7.00 D의 굴절력을 가지는 etafilcon A, hilafilcon A 및 comfilcon A 재질 렌즈를 인공누액에 각각 1일, 3일, 5일, 7일 및 14일 동안 배양시킨 후 자동렌즈미터를 이용하여 wet cell 방법으로 굴절력을 측정하였으며, 렌즈에 침착된 단백질 양을 Lowry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결과: 세 종류의 렌즈 가운데 이온성인 etafilcon A 재질 렌즈에서 가장 많은 단백질이 침착되어 굴절력의 변화 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즉, 인공누액에 1일 동안 배양시킨 후에는 모든 디옵터의 렌즈에서 굴절력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배양 기간이 증가할수록 굴절력이 다시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모든 디옵터의 etafilcon A 렌즈에서 관찰된 굴절력 변화는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기준오차범위를 벗어나는 큰 변화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저굴절력 렌즈에서의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 비이온성의 hilafilcon A 렌즈는 etafilcon A 재질 렌즈의 약 20%에 해당하는 단백질 이 침착되었으며, 인공누액에서의 배양기간이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유의한 굴절력의 증가를 보였다. Hilafilcon A 재질 렌즈의 굴절력 역시 인공누액에 배양하게 되면 기준오차범위를 벗어나는 변화가 나타났으며 저굴절력 렌즈에서 더 큰 굴절력의 변화가 나타났다. 실리콘 하이드로겔 재질인 comfilcon A 렌즈의 경우는 침착되는 단백질의 양이 가장 적어 etafilcon A 렌즈의 약 10%에도 미치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른 굴절력 변화도 적어 모든 디옵터에서 기준 오차범위 내의 변화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렌즈에 침착된 누액 단백질에 의해 렌즈 재질에 따라서는 기준오차범위를 벗어날 정도의 큰 굴절력 변화가 나타남을 밝혔다. 이로써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긴 착용 시간으로 유발되는 시야흐림 현상의 원인 중의 하나가 누액 단백질 침착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으며, 많은 침착 단백질 양을 가지는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경우 적절한 재질의 렌즈 선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약지반에서 날개벽 기초의 침하량 산정 (Settlement Behavior of Wing-wall type Foundation on Soft Grounds)

  • 장시경;이광열;황재홍;정진교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1164-1169
    • /
    • 2009
  • Piled raft foundation is commonly used for structure on deep soft soil deposit rather than end bearing piles to control differential settlement. However, it is still expensive for light weight structures. Wing-wall type foundation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reduce average settlement for light weight structure. This study will further investigate this type of foundation using bench scale experiments on clay and sand. Numerical analysis and approach method are used to verify load settlement curve of wing-wall foundation on experimentally study. Furthermore, normalized settlement curves are applied to define prediction of settlement on wing-wall foundation. In the result settlement on wing-wall foundation can be effectively done by increasing the length of wall instead of number of walls and equation for calculating average settlement can be derived using normalized load settlement curve.

  • PDF

중간 모래층이 있는 연약지반내 제방하부 강제치환 깊이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placement Depth in Soft Soil with Inter Sand Layer)

  • 정형식;방창국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61-71
    • /
    • 2003
  • 실트질 점토로 이루어진 연약지반의 호안 제방축조는 성토 제방하중에 의한 연약지반내 강제치환 공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축조 제방하부 강제치환 깊이는 호안 제방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존의 제방하부 강제치환 깊이 산정방법은 하부 연약점토지반의 비배수 전단강도 증분율을 고려한 제방하부 연약지반의 지지력과 성토제방 하중에 의해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지반 층후 특성에 따라 중간층 형태의 점토질 실트층 또는 모래층이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점토질 실트층 또는 모래층은 제방하부 연약지반의 지지력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강제치환 깊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중간 모래층이 있는 연약지반내 제방 축조시 강제치환 깊이를 Perloff et al.(1967) 영향계수를 고려한 성토제방 하중과 층두께 가중평균 지지력(Bowles, 1988)에 의해 산정하였으며, 수치해석(FLAC)적 방법에 의한 산정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해석결과 제방하부 접지폭이 $0.2B_o$(중간 모래층), $0.5B_o$(단일층)인 경우 산정된 강제치환 깊이는 수치해석과 매우 근접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제방 하부 접지폭의 영향보다 비배수 전단강도 및 중간 모래층 두께, 중간 모래층 위치의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간 모래층 두께가 작을수록 강제치환 깊이는 증가하며, 중간 모래층 위치가 증가 할수록 강제치환 깊이는 증가하고, 비배수 전단강도가 감소할수록 강제치환 깊이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