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and Pilot Test of Pohang Area's Tertiary Mudstone as Earth Filling Material

성토매립재로서 포항지역 제3기층 이암의 공학적 특성 및 시험시공

  • 이규환 (건양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 정대석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성욱 ((주)지아이, 지반정보연구소)
  • Published : 2010.01.31

Abstract

The supply of high quality filling materials for pavement base course or reclamation is getting harder. So, there is an attempt to use soft mudstones as an earth filling material in Pohang area. But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the soil deposit placed with soft mudstones have not been clearly evaluated yet. We investigated the water absorption and softening, the slaking behavior and the geological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an effective way of estimating the magnitude of land subsidence and the reduction of soil strength. The applicability of soft mudstones is examined by a variety of laboratory tests and pilot-scale field tes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oft mudstones as a reclaiming material, Consequently, the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can be used to prevent any construction defects due to the careless use of soft mudstones for the pavement base course or reclamation.

포항 일원을 포함하여 신생대에 형성된 지역의 경우, 매립을 위한 양질의 재료원이 부족하며, 미고결된 신생대 퇴적 이암을 도로성토재나 항만공사의 매립재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매립재로 사용되는 미고결 이암의 공학적 특성 및 환경적 영향 등이 아직까지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암을 매립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흡수, 연화, 슬레이킹과 지질학적 메커니즘을 파악해야 하며 침하나 수침에 따른 강도 저하 등에 대한 특성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시험과 현장 시험시공을 통해 도로성토재나 매립재로 사용되는 이암의 적합성을 여부를 파악코자 하였다. 특히, 이암을 매립재로 활용하는 경우, 이암의 환경적인 영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 이암을 도로성토재나 매립재로 활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미리 예방하는데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5). "토목공사 표준시방서", pp.1251-1325.
  2. 김성욱, 최은경, 이규환 (2009), "신생대 미고결 퇴적층의 임반 분류와 골재원 평가",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 초록집, pp.82.
  3. 심연식 (2000), "폐광산 출수에 대한 원인과 문제점 및 대책", 대한석탄협회, 제 32호, pp.32-39.
  4. 엄상호, 이동우, 박봉순 (1964), "한국지질도 포항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5. 윤지선 (1991), "암석.암반의 조사와 시험", 구미서관, pp.475-476.
  6. 이영휘 (1996), "포항이암층의 슬레이킹, 팽창 및 전단강도특성",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12, No.12, pp.33-42.
  7. 지상우 (2006), "토목건설 과정에서 발생되는 산성암석배수의 사전예측", 쌍용기술정보, pp.50-56.
  8. 한종환, 곽영훈, 손진담 (1986), "한국동남부지역 제3기 퇴적분지내의 지체구조 발달 빚 퇴적환경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KR-86-(B)-8, pp.76-80.
  9. 환경부 (2007), "토양환경보존법", pp.678-694.
  10. Brook, N. (1985), "The Equivalent Core Diameter Mεthod of Size and Shape Correction in Point Load Testing", Int. J Rock Mech Min. Sci., Vol.22 No.2.
  11. Franklin, J.A. and Chandra, A. (1972), "Slake-Durability Test", Int Jl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 Vol.9, pp.325-341. https://doi.org/10.1016/0148-9062(72)90001-0
  12. Mitchell, K. (1992), "Fundamentals of Soil Behavior", 2rd Edition, pp.2-56.
  13. Yun, H., Yi, S., and Byun, H. (1997), Tertiary System of Korea",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No.3, pp.1-30.
  14. 賀川智章,今林弘, 鈴木孝信(2000), "泥岩の細粒化と事前合処 理による地繋改良I法について釧路間発建設部長産自漁港建設事業所 報告書, pp.3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