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Lauryl Sulfate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4초

각질형성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염증반응에 대한 마가목, 쐐기풀, 죽여 및 오배자 혼합추출물의 항염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Mixture of Sorbus commixta, Urtica dioica, Phyllostachys nigra, and Rhus semialata Gall Extracts on LPS-induced Inflammation in HaCaT Cells)

  • 이경은;남진주;김선미;김한곤;문성준;염종경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5-54
    • /
    • 2014
  •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도하는 염증반응에는 tumor neu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1${\alpha}$ (IL-1${\alpha}$), interleukin-6 (IL-6), 및 interleukin-8 (IL-8)와 같은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이 증가되고, 또한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및 prostaglandins E2 (PGE2)도 증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유도된 염증 반응에서 효과적으로 염증 관련인자를 조절할 수 있는 천연물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마가목, 쐐기풀, 죽여 및 오배자 혼합 추출물이 IL-1${\alpha}$, TNF-${\alpha}$, IL-6 및 IL-8의 발현을 억제하고 COX-2, iNOS 및 PGE2의 발현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IQ chamber$^{(R)}$을 이용하여 피부에 첩포할 때 sodium lauryl sulfate (SLS)로 유발한 피부자극에서 이들 혼합물이 효과적으로 그 자극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마가목, 쐐기풀, 죽여 및 오배자의 혼합물이 피부자극완화용 화장품 소재로서 민감성 피부 등을 위한 제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무기염을 이용한 다공성 PVDF 고분자막의 친수화를 통한 초저압용 나노여과막 제조 연구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Nanofiltration Membrane for Ultra-low Pressure Application through Hydrophilization of Porous PVDF Membrane Using Inorganic Salts)

  • 박찬종;조은혜;임지원;정성일
    • 멤브레인
    • /
    • 제24권1호
    • /
    • pp.69-77
    • /
    • 2014
  • 초저압용 나노여과 중공사 복합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소수성 중공사막 표면에 무기염인 $K_2Cr_2OH$$KMnO_4$ 수용액으로 친수화 처리를 하였으며, 처리된 막 표면 위에 piperazine (PIP)과 trimesoyl chloride (TMC)로 계면 중합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NaCl, $CaSO_4$, $MgCl_2$ 100 ppm 용액 및 300 ppm의 NaCl과 $CaSO_4$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코팅물질의 농도, 코팅시간 및 건조시간에 따른 복합막의 투과특성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친수화 물질로는 $K_2Cr_2OH$을 사용하였을 때 더 높은 배제율을 보였으며, 친수화 시간이 길어질수록 투과도는 향상되고 배제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촉매인 triethyl amine (TEA)과 sodium lauryl sulfate (SLS)의 농도가 높을수록 투과도는 감소하고, 염제거율은 증가하였다. 최적 조건으로는 $K_2Cr_2OH$으로 10분 동안 친수화 시킨 PVDF 중공사막 위에 PIP 2 wt% 용액(PIP 함량 대비 Triethyl amine (TEA) 7 wt%, SLS 20 wt% 혼합용액)과 TMC 0.1 wt%를 이용하여 계면중합한 것으로 공급액 NaCl 100 ppm에 대해서는 투과도 40 LMH, 제거율 50%이었고, $CaSO_4$ 100 ppm에 대해서는 투과도 48 LMH, 제거율 55%를 나타내었다.

전착 이산화납전극의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lectrodeposited Lead Dioxide Electrodes)

  • 김재관;이충영;남종우
    • 공업화학
    • /
    • 제4권2호
    • /
    • pp.273-283
    • /
    • 1993
  • 티타늄마드래스 소지에 $PbO_2$를 전착하는 과정에서 전해액에 여러 가지 산과 유기물질의 첨가는 $PbO_2$전착층의 물성에 큰 영향을 준다. XRD결과 ${\beta}-PbO_2$가 산성 전해액에서 전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첨가제 중 전해액에 sodium lauryl sulfate를 첨가할때 산소과전압이 가장 높은 $PbO_2$가 전착되었으며 polyethylene glycol을 첨가할때는 염소과전압이 가장 낮은 $PbO_2$가 전착되었다. $PbO_2$의 산소과전압과 염소과전압은 $PbO_2$를 전착하는 동안 행하는 교반에 크게 의존한다. SEM결과 전착하는 동안 교반하지 않고 전착한 $PbO_2$결정이 교반하여 전착한 $PbO_2$보다 더욱 크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산성전해액에서 $PbO_2$를 전착할 경우, $PbO_2$결정 크기가 클수록 산소과전압은 커지며 $PbO_2$결정 크기가 작을수록 염소과전압은 낮아졌다. $HClO_4$의 존재하에서 $PbO_2$를 전착할 경우 560g/1 $Pb(NO_3)_2$, $65{\sim}70^{\circ}C$, pH>1에서 최적의 전착전류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향부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염증 및 가려움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lammation and Itching of Cyperus rotundus Ethyl Acetate Fractions)

  • 김도규;이지연;문소현;김유경;김나리;정아름;장준환;이재섭;한상배;배준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3-31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향부자를 이용하여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물을 제조하고, 지표물질 α-cyperone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향부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AFC) 및 α-cyperone의 항염증 및 가려움증 완화 효능평가를 통하여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EAFC 내의 α-cyperone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HPLC 분석을 실시한 결과, α-cyperone의 함량이 5.243%임을 확인하였다. EAFC 및 지표성분인 α-cyperone의 염증 완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lipopolysaccharide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시킨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능을 확인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저해하였다. 추가적인 염증염증 유발 인자인 IL-1β, IL-6, TNF-α, COX-2 및 iNOS의 mRNA 발현 역시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EAFC를 함유한 간단한 화장품 제형을 이용하여 임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sodium lauryl sulfate (SLS)로 유발된 피부 자극이 진정되는 효과 및 가려움증이 완화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부자는 염증 저해 및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가지는 천연 화장품 원료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흡착 교질 포말부선법에 의한 Cobalt Ion의 제거 (Removal of Cobalt Ion by adsorbing Colloidal Flotation)

  • 정인하;이정원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7권3호
    • /
    • pp.3-10
    • /
    • 1998
  • 모의폐액으로 제조한 50ppm의 코발트이온을 Fe(III) 및 Al(III)의 응집제와 sodium lauryl sulfate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흡착 교질 포말부선법으로 제거하였다. 용액의 pH, 계면활성제 농도, Fe(III) 및 Al(III) 농도, 공급기체의 유속 등을 변수로 하여 실험한 결과, Fe(III)를 응집제로 사용한 경우 초기 코발트이온농도 50ppm, pH 8.5, 공급기체유속 $70mell$/min, 제거시간 15분 등의 조건에서 99.8%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코발트 이온 제거에 앞서 모의폐액에 35% $H_2O_2$를 첨가하여 폐액을 전처리하였다. 그 결과, 최적 pH 및 처리 후 잔존용액의 pH가 낮아졌고, 넓은 범위의 pH에서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Fe(III) 50 ppm을 사용하여 코발트이온과 공침시킨 후 20ppm의 Al(III)를 첨가한 결과, Fe(III) 또는 Al(III)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였던 경우에 비하여 제거 가능한 pH 범위가 더욱 더 확대되었다. 이 현상은 zeta potential 의 증가 및 공침효과의 상승요인으로 추측되었다. $NO_3^-$, $SO_4^{2-}$, $Na^+$, $Ca^{2+}$를 첨가하여 외부이온의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SO_4^{2-}$가 0.1M 함유된 코발트용액을 Fe(III) 및 Al(III)를 사용하여 처리한 결과 제거효율은 99%를 나타내었다.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와 Mycobacterium phlei에서 DNA유출에 따른 세포벽의 전자현미경적 고찰 (Electron Microscopy of Cell Walls of Saccharomces cervisiae and Mycobacterium phlei in the process of DNA extraction)

  • 이길수;조세훈;김운수;류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09-115
    • /
    • 1975
  • DNA's were extracted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Mycobacterium phlei and the damaging cell walls of these microoragnisms were examined under an electron microscope in the extraction process in which a number of physico-chemical tratments of cells was involved. While the DNA was easily extracted from S. cerevisiae using conventional meylelded very little DNA, of M. phlei was extremely difficult to isolate and yielded very little DNA, applying various methods of isolation published earlier. When the cell walls of S. cerevisiae were examined with the electron microscope, they were not yet damaged even after the cells were treated with sodium lauryl sulfate(SLS) and ethylene diamine tetracetic acid(EDTA), but they were completely destroyed by the treatment of sodium perchlorate followed by the addition of chloroform and a vigorous agitation. Oozing cytoplasm through the broken cell walls was also observed. In the extraction of DNA from M.phlei, the pronase was not effective at the aerobic environment of the sample. When phenol was applied at the last step of DNA isolation, an extreme damage mass yielding little DNA into the solution. Unlike the cells of S.cerevisiae.M.phlei cells showed a tendency of aggregation, thus the destruction of cell walls by sodium hydroxide was seen only on the walls of peripheral cells in the aggregated mass, leaving the walls of the inner cells undamaged.

  • PDF

황련 중 berberine의 추출효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Berberine in Coptidis Rhizoma)

  • 이재성;박호군;우은란;이은주;안덕균;윤원식;신광호
    • 분석과학
    • /
    • 제10권2호
    • /
    • pp.83-9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황련의 지표물질인 berberine의 추출효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추출온도, 추출용매, 추출시간 등의 조건 변화에 따른 최적의 추출조건을 찾았다. $60^{\circ}C$에서 2~3시간 환류하였을 때 추출효율이 가장 좋았으며, 추출용매로는 메탄올이나 아세트산을 사용하였을 때 각각 추출효율이 우수하였다. 이온쌍 추출법에서는 사용되는 sodium lauryl sulfate의 첨가 효과는 추출 효율을 오히려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기능성 복합 라텍스의 합성과 열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thesis of Functional Composite Latex and Characteristics of Thermal Decomposition)

  • 권재범;김남석;이내우;설수덕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7-53
    • /
    • 2004
  • Emulsion polymerization ws carried out using Alkyl methacrylate(RMA) like MMA, EMA, BMA and Styrene Monomer(SM) for core-shell latex preparation. It was synthesized at $80^{\circ}C$ in the presence of anionic surfactant SLS(Sodium Lauryl Sulfate). FT-IR and DSC analysis are used to confirm the synthesized core-shell emulsion latexes. Moreover DSC and TGA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thermal characterisitcs of them. The differences of the decomposition rate and the activation energy from TGA and DSC analysis are not so big. It considers that the pendent group is not affect of the thermal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n core-shell latexes, which is synthesized with RMA and Styrene. For investigating combustion products, LC50 values were calculated by FED(Fractional Effective Dose)from the Pyrolyzer-Mass sepctrometer.

집진용 세라믹 필터의 제조 및 공기 투과 특성 (Preparation of Ceramic Foam Filter and Air Permeability)

  • 박재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1-388
    • /
    • 2000
  • Ceramic foam prepared with cordierite as a starting material by foam method was test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s a filter for the dust collection in hot gas. Two different types of agents Benzethonium chloride (BZTC, C27H42NO2Cl) and Sodium Lauryl Sulfate(SLS, CH3(CH2)11OSO3Na) were used as foaming agents in foaming process. Porosityof ceramic foam was about 80% and mean pore size were 100${\mu}{\textrm}{m}$ for SLS agent and 200 ${\mu}{\textrm}{m}$ for BZTC. It was observed that ceramic foam was composed of continuous macro-pore structure with opening windows interconnecting macro-pores. The surface of ceramic foam support of was coated with cordierite particles ranged from 20${\mu}{\textrm}{m}$ to 50${\mu}{\textrm}{m}$ Meso-pore size in the coating layer on ceramic foam was below 10${\mu}{\textrm}{m}$. While air permeability of the support increased with increasing macro-pore size coated ceramic filters showed a constant permeability without regard to the macro-pore size of the support. The permeabuilities of support varied in the range of 600$\times$10-13m2 to 1000$\times$10-13m2. For the case of coated ceramic filter it was about 200$\times$10-13m2. As a result of particle trapping test by using fly ash the particle removal efficiency was over the 99.9%.

  • PDF

O/W/O형 Emulsion 액체막에 의한 Toluene과 n-Heptane 혼합물의 분리(제1보) (Separation of Toluene/n-Heptane Mixture by O/W/O Type Emulsion Liquid Membrane(part 1))

  • 주명종;김태영;남기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95-103
    • /
    • 1996
  • In the separation of toluene/n-heptane mixture by the emulsion type liquid membrane in an batch system, the effect of surfactant on the separation factor and membrane stability was studied over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ranging form 0.1 to 1.5wt% at the contact time of 5 and 10 minutes. and the settling time of 5 and 10 minutes. The surfactant used was sodium lauryl sulfate. The separation factor reached its maximum value at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of 0.5wt% for surfantant.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membrane breakup reached its minimum values and the separation factor showed its maximum value at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of 0.5wt%. which confirmed that efficient separation could be effect when emulsion liquid membrane was stable because of low membrane break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