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ity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25초

해양스포츠 참여자의 자기효능감이 사회성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Stability and Organization Culture of Marine Sports Participants)

  • 지삼업;김태수;이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1165-1174
    • /
    • 2014
  •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238 marine sports participants by clarifying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sociality, and organization culture, to eliminate the organizational(home, school, club, workplace, etc.) culture maladjustment phenomenon which is caused by personal stress, the lack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lack of sociality due to the rapid change of modern society and enhance sociality, adjustment to society and the lack of creativity due to the rigid hierarchy and contribute to organization culture through marine sports among sports which we enjoy with nature. Firstly, according to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gender differences in higher than women in all sub-variables of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sociability, organizational culture, sub-culture and develop cultural factors agreed man showed that in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 culture showed that the development of high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in the age of 20s. Secondly, in terms of the effect of self-efficacy of marine sports participants on sociality, it is found that self-regulation and level of difficulty positively influence on the culture of agreement, the culture of development and the culture of hierarchy. Lastly, in terms of the effect of self-efficacy of marine sports participants on organizational culture, it is shown that self-regul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culture of agreement, the culture of development and the culture of hierarchy.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비교를 통한 교정정책연구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rrectional Policy through Comparison of Juvenile Delinquents and Normal Adolescents: Focusing on Self-esteem and Sociality)

  • 이덕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69-179
    • /
    • 2014
  • 본 연구는 소년보호처분을 받은 비행청소년과 일반 중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대한 영역별 차이를 비교분석해 보고, 청소년비행 예방을 위한 교정 정책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대전시에 소재하고 있는 소년원생(84명)과 일반 중 고등학교의 남학생(230명)을 설문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자아존중감 차이분석에서는 총체적 자아존중감과 학교 자아존중감에서 비행청소년이 높게 나타났으나, 가정적 자아존중감 영역에서만 일반청소년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사회성의 하위 영역의 지도성에서는 비행청소년이 높은 결과를 보였고, 자주성과 협동성에서는 일반청소년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각 개인의 특성과 환경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의 차이는 영역별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맞춤형 설계를 통한 비행예방 교정정책의 방안이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바이다.

가족여가활동.가족식사활동 빈도와 가족친밀도가 초등학생 자녀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requencies of Family Leisure and Meals and Family Closenes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ociality)

  • 유계숙;김수화;임정현;최혜림;채희화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5권3호
    • /
    • pp.99-11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frequencies of family leisure activities and family meals and family closeness on the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October 1 to November 30, 2010, data were collected from 290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residing in Seoul and Inche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ouble-income and single-income families in the frequency of family meals single-income families enjoyed fewer family leisure activities and more family meals than double-income families did. Second, the levels of family closeness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by the frequencies of family leisure activities and family meals, and family meals mor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evels of family closeness than did family leisure activities. Finally, the frequencies of family leisure activities and family meal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evels of children's sociality, as did the levels of family closeness. In conclusion, family leisure and family meals are important activities that enhance family closeness and children's sociality.

  • PDF

활동중심 친구사귀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ctivity - Making Friends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ociality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lower-class Students)

  • 임현미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1호
    • /
    • pp.91-108
    • /
    • 2008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ity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lower-class students.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were set up and addressed: Hypothesis 1: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lower-class students according to activity - making friends group counseling Program. Hypothesis 2: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lower-class students according to activity - making friends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0 first grade students attending N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area. The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two groups-experimental group(N=10) and controlled group(N=10).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0 sessions of the activity - making Friends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40 minutes by 2 times every week, and the controlled group didn't do anything. To verify the hypotheses, two tests(sociality and school adjustment tests) were administered for the pretest and post-test.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btained from these tests were analyzed with factorial covariance test using SPSSWIN(1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Hypothesis 1 was confirmed. Th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led group in sociability, cooperation and independence, but not in observance. Hypothesis 2 was confirmed. Th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led group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tudent-student relationship and classes, but not in the keeping rules. The conclusion of the result is that the program have a good effect on the elementary school lower-class students' sociality and school adjustment. Above all, along with long-term adaptability of the research, continuous studies are required.

  • PDF

게임 이용이 자기 효능감 및 사회신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e playing for self-efficacy and social trust)

  • 박상민;정완규;노기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5-62
    • /
    • 2017
  • 본 논문은 온라인 모바일 게임이용이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및 사회성(sociality), 사회적 신뢰(social trust)에 대해 갖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쓰여졌다. 본 논문은 모바일 플랫폼의 등장에 따라 게임에 광범위하게 도입되고 있는 SNS적 요소(커뮤니티 운영과 소통기능)에 주목하였고, 이러한 논리에 근거하여 게임플레이는 게임유저의 자기 효능감과 사회성, 사회적 신뢰를 높인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문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해 전국 대표성을 가진 샘플 1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게임 플레이는 유저들의 자기 효능감을 높일 뿐만 아니라, 사회성 및 사회적 신뢰의 향상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growth Program on Self-esteem and Sociality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93-30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자기성장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하위 영역 가운데 자기비하, 타인과의 관계, 자기주장과 불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사회성 하위 영역 가운데 근면성, 사교성, 안정성, 책임성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뿐만아니라, 전인격적인 성장을 돕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에서 멘토링 프로그램을 더욱더 활성화 할 필요성이 있다. 더 나아가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에게 도움이 되는 다양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해야 할 것이다.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 및 공감능력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ociality of Children in Institutional Care -Focus on Anger and Empathy-)

  • 박범진;이숙민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2호
    • /
    • pp.71-78
    • /
    • 2016
  •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분노조절 공감능력을 중심으로 한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도 I시에 소재하고 있는 아동보호시설 두 곳에서 생활하는 아동 12명을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으로 무선할당 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60분씩 사전 사후검사 변화를 포함하여 총 25회기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무 처치하였다. 연구결과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사회성 향상, 분노조절 향상, 공감능력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으며 HTP, KSD, DAS 사전 사후검사에서 형식적, 내용적 평가에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분노조절과 공감능력을 중심으로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도움이 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시설보호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미술치료 연구가 치료적인 역할로 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간호대학생의 융·복합 사회봉사활동과 직업가치관, 자아존중감, 사회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vergence Social Voluntary Service Activity and Sense of Profession Values, Self-Esteem, Sociality in Nursing Students)

  • 윤미선;임소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562-570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봉사활동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자아존중감, 사회성 정도와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대상자는 간호대학생 535명이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업가치관은 종교(F=4.79, p=.003)와 전공(F=3.75, p=.011), 자아존중감은 학년(F=4.84,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회성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봉사활동 특성에 따른 직업가치관은 봉사 시간(F=18.70, p<.001), 봉사 기간(F=18.87, p<.001), 봉사 기관(F=3.41, p=.001), 봉사 동기(F=8.08, p<.001), 참여 경로(F=3.63, p=.002), 참여분야(F=2.13, p=.03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관관계 결과 직업가치관은 자아존중감(r=.247, p<.01)과 사회성(r=.248, p<.01)에서, 자아존중감은 사회성(r=.327, p<.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노년층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사회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munication Activities of the Elderly on Sociality and Happiness)

  • 공혜영;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261-267
    • /
    • 2023
  • 본 연구는 노년층이 일상생활 속에서 하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사회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노년층 295명을 대상으로 SPSS WIN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층의 사회성은 가족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에서 정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년층의 사회성에는 커뮤니케이션 활동에서 가족 커뮤니케이션의 자녀, 대인관계 커뮤니케이션의 친구와 집단이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년층의 정적 행복감은 가족 커뮤니케이션의 자녀,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집단이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 행복감은 가족 커뮤니케이션의 자녀와 SNS 활동과 문자량이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노년층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심리적 및 사회적 측면에서 사회성을 높이고 행복감의 향상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Effects of Juvenile Delinquents' Self-esteem on their Sociality

  • Kweon, Seong-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07-113
    • /
    • 2017
  •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juvenile delinquents' self-esteem on their sociality.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549 secondary and tertiary students (534 males and 15 females) in delinquent reformatories in four major cities such as Seoul, Busan, Daegu and Daeje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self-esteem of juvenile delinquent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ith leadership, autonomy and reliability. Moreover, their self-esteem at home also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utonom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esen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