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he Frequencies of Family Leisure and Meals and Family Closenes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ociality

가족여가활동.가족식사활동 빈도와 가족친밀도가 초등학생 자녀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Yu, Gye-Sook (Dep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
  • Kim, Su-Hwa (Dep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
  • Lim, Jung-Hyun (Dep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
  • Hye-Rim, Choi (Dep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
  • Chae, Hee-Hwa (Dept.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Kyung Hee University)
  • 유계숙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김수화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임정현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최혜림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채희화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Received : 2011.06.17
  • Accepted : 2011.08.22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frequencies of family leisure activities and family meals and family closeness on the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October 1 to November 30, 2010, data were collected from 290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residing in Seoul and Inche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ouble-income and single-income families in the frequency of family meals single-income families enjoyed fewer family leisure activities and more family meals than double-income families did. Second, the levels of family closeness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by the frequencies of family leisure activities and family meals, and family meals mor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evels of family closeness than did family leisure activities. Finally, the frequencies of family leisure activities and family meal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evels of children's sociality, as did the levels of family closeness. In conclusion, family leisure and family meals are important activities that enhance family closeness and children's sociality.

Keywords

References

  1. 강완숙.유안진(2000). 지각된 부 / 모의 가치, 부 / 모 - 자녀간 정서적 친밀도 및 부 / 모의 과잉통제와 대학생의 소외감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8(8), 69-84.
  2. 김미선(2011). 가족식사 참여도가 식습관, 인성특성 및 푸드 네오포비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김민경(2008). 부모의 주 5일 근무 여부에 따라 가족여가활동 유형과 가족여가활동 정보가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4. 김유숙.전영주.김수연(2003). 가족평가핸드북 : 학지사
  5. 김인창(2009).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기효능감과 부모-자녀 친밀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고양시에 거주하는 엄마의 국적이 일본인인 다문화가정 자녀를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외숙(1997). 가족레크레이션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필숙, 김태현 (2004). 여가활동 및 여가만족도에 따른 가족관계 적응.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3), 1-31.
  8. 남은영.최유정(2008). 사회계층 변수에 따른 여가 격차. 여가 유형과 여가 및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1(3), 57-84.
  9. 문화체육부(1995). 국민여가활동참여실태조사.
  10. 박동선(2004). 중학생의 여가활동 참여가 사회성 발달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의순(1990). 대학생이 지각한 조부모와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상호(2001). 고등학교 학생들의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10(2), 85-93.
  13. 박진영(2007). 고등학생의 여가참여가 사회성 발달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22(1), 421-440.
  14. 보건복지부(2010). 2008 국민건강통계.
  15. 백윤미(2005). 부와 모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서동인(1991). 손자녀가 지각한 조모와 심리적 친밀도 : 친조모와 외조모의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성순정.권순자(2010). 혼자 또는 온 가족이 함께 하는 식사형태가 아동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관한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 대전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5(2), 206-226.
  18. 신미숙(2010). 부모의 양육태도가 의사소통 및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양영아(1996). 중산층의 가족여가활동 실태와 요구 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오희웅(2009). 청소년들의 스포츠 가족여가 활동과 사회성 및 갈등해결 전략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21. 윤경선(2009). 부모-자녀 친밀성이 학교생활 적응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전공 여자 대학생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71-92.
  22. 윤소영.윤지영(2003). 가족여가의 활동유형 및 본질에 대한 연구. 여가학연구, 1(2), 11-31.
  23. 이기완.이영미.오유진.조용주.이민주(2008). 중.고등학생의 가족식사에 대한 태도와 혼자 식사와의 영양소 섭취 비교. 대한영양사협회, 14(2), 127-138.
  24. 이민아.김순옥(2007). 청소년의 가족여가활동과 가족건강성 연구 : 중학교 2.3학년을 대상으로. 생활과학, 10, 1-17.
  25. 이영미.이기완.오유진(2009). 초등학생의 가족식사에 대한 인식과 태도. 대한영양사협회, 15(1), 41-51.
  26. 이혜원.최경옥(2010). 아동의 결식이 심리사회적 적응과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 가족기능의 매개변인 효과. 한국복지학, 4(28), 37-60.
  27. 임귀성(1999).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성의 관계.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조용주(2007). 가족식사에 대한 인식과 영양소섭취 비교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지영숙.이태진.김선미.전희정.최보아( 1999). 가족여가의 생활적 의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3(1), 83-94.
  30. 지영숙.이태진(2001). 도시가정의 가족여가유형 : 자녀교육기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2), 153-165.
  31. 지영숙.이태진.최보아(2002). 가족여가 유형이 가족체계 역동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자녀 교육기의 도시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4), 189-196.
  32. 지효숙(2007). 아버지-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자녀의 친밀도 및 사회성과의 관계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천혜정(2004a). 가족 여가 참여 동기 및 가족 여가 활동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8(2), 1-13.
  34. 천혜정(2004b). 우리나라 가족의 여가활동 유형 및 여가제약 요인. 인간생활환경연구소, 3, 11-24.
  35. 홍성화(2003). 가족단위 여가활동 참여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주5일 근무제 실시집단을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1(2), 57-71.
  36. 홍성희(1996). 주부의 가족여가활동 참여도와 생활만족도에 관한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2), 71-84.
  37. SBS스페셜제작팀(2010). 밥상머리의 작은 기적: 리더스북.
  38. Bengtson, V. L. & Culter, K. D.(1976).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 N.Y.: Van. Nostrand Reihold Co.
  39. Bengtson, V. L., & Schrader S. S. (1982). Parent-child relations. Research instrument in social gerontology 2 :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0. Kelly, J. R.(1983). Leisure identities and interactions. Boston : Allen and Unwin.
  41. Kidshealth (2008). http://kidshealth.org/parent/food/general/familymeals.html.
  42. Noller, P., Seth-Smith, M, Bouma, R, & Schweutzer, R. (1992). Parent and adolescent perceptions of family functioning: a comparison of clinic and nonclinic families. Journal of Adolescence, 15, 101-114.
  43. Orthner, D. K. & Mancini, J. A.(1990), Leisure impact on family interaction and cohes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2(1), 125-137.
  44. Ramon, B.Z. & Bryan P.M.(2001). The Influences of Family Leisure Patterns on Perceptions of Functioning. Family Relations, 50(3), 281-289.
  45. Robertson, B.J.(1999). Leisure and family: Perspectives of male adolescents who engage in delinquent activity as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1, 335-358.
  46. Lisa A. B. & Ross D. P.(1995). The Role of Family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7(3), 593-608.
  47. Weinstein M (2006). 부부와 자녀의 미래를 바꾸는 가족식사의 힘(김승환 역). Seoul : 한스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