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network group

검색결과 389건 처리시간 0.028초

Social Network 기반 Mobbing 지수 산정 알고리즘 및 분류 모델 설계 (Design of Mobbing Value Computation Algorithm and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Social Network)

  • 김국진;박건우;이상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52-35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Mobbing(집단 따돌림) 현상에 관련된 7개의 요소(Factor)와 그 하위에 포함된 60개의 속성(Attribute)들을 선정한다. 다음으로 선정한 속성들에 대해 나와 사용자들 사이에 관계가 있으면 '1', 관계가 없으면 '0'으로 표현하고, 나와 사용자들간의 유사도 산정을 위해 각 요소안에 포함된 속성들의 합에 유사도 함수를 적용한다. 다음으로 클레멘타인의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을 통해 속성들을 포함한 요소들이 취할 최적의 가중치를 산출하고, 이 값들의 총합으로 Mobbing 지수를 산정한다. 마지막으로 Social Network 사용자들의 Mobbing 지수를 본 논문에서 설계한 G2 Mobbing 성향 분류 모델(4개의 그룹; Ideal Group of the Social Network, Bullies, Aggressive victimes, Victimes)에 매핑하여 사용자들의 Mobbing 성향을 알아본다.

Z세대 패션에 대한 소셜미디어의 빅데이터 분석 (Social media big data analysis of Z-generation fashion)

  • 성광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9-61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social media accounts and performed a Big Data analysis of Z-generation fashion using Textom Text Mining Techniques program and Ucinet Big Data analysis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keyword analysis on 67.646 Z-generation fashion social media posts over the last 5 years, 220,211 keywords were extracted. Among them, 67 major key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being greater than more than 250 times. As the top keywords appearing over 1000 times, were the most influential as the number of nodes connected to 'Z generation' (29595 times) are overwhelmingly, and was followed by 'millennials'(18536 times), 'fashion'(17836 times), and 'generation'(13055 times), 'brand'(8325 times) and 'trend'(7310 times)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Network Degree Centrality between the key keywords for the Z-generation, the number of nodes connected to the "Z-generation" (29595 times) is overwhelmingly large. Next, many 'millennial'(18536 times), 'fashion'(17836 times), 'generation'(13055 times), 'brand'(8325 times), 'trend'(7310 times), etc. appear. These texts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factors in exploring the reaction of social media to the Z-generation.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CONCOR, text with the structural equivalence between major keywords for Gen Z fashion was rearranged and clustered. In addition, four clusters were derived by grouping through network semantic network visualization. Group 1 is 54 texts, 'Diverse Characteristics of Z-Generation Fashion Consumers', Group 2 is 7 Texts, 'Z-Generation's teenagers Fashion Powers', Group 3 is 8 Texts, 'Z-Generation's Celebrity Fashions' Interest and Fashion', Group 4 named 'Gucci', the most popular luxury fashion of the Z-generation as one text.

Cyber-Physical-Social 시스템과 OAuth를 이용한 IoT 인증 기법 (An Authentication Scheme Using OAuth and Cyber Physical Social System)

  • 조정우;이국영;이기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8-351
    • /
    • 2016
  • 최근 IoT 환경에서 많은 디바이스들의 등장과 더불어 특정 사용자만 접근 가능한 보호된 네트워크가 필요하게 되었다. IoT 네트워크 환경에 OAuth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인증하게 되면 보다 쉽게 네트워크 인증 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나 OAuth는 공격자가 Token을 가로채게 되면 쉽게 공격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어 2차 인증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궁극적인 IoT는 Fog Computing이 필수적이다. Fog Computing은 Cloud를 확장시켜 network Core에서 뿐만 아니라 Edge에서도 Computing이 가능하게 하고, node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이다. Fog Computing의 장점으로는 Location awareness나 Support for mobility 등을 들 수 있다. Fog Computing내에서 사용할 인증이 이런 Fog Computing의 장점을 살린다면, 더 IoT에 걸맞은 인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2차 인증에 기존의 인증서나 id/password, 또는 group key같은 번거로운 것을 이용하지 않고 Cyber-Physical-Social System을 사용한다면 user의 편리성을 더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Cyber-Physical-Social System기반의 인증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려 한다.

  • PDF

협력 학습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이 협력 능력, 협력 만족도, 집단내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Utiliz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on Collaborative Skills, Collaborative Satisfaction and Interaction in the Collaborative Learning)

  • 전은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693-70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 학습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했을 때, 구성원들의 협력 능력, 협력만족도, 그리고 집단내 상호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협력 과정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의 하나인 카카오톡을 활용하여 과제를 수행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협력 능력과 협력 만족도의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p<.05). 카카오톡을 활용한 집단을 대상으로 생성한 담화의 양과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담화의 양은 협력 능력이나 협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의 유형별 연관성 평가: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Study of Association between the Types of Health on the Basis of Network Analysis)

  • 조호수;류민호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3호
    • /
    • pp.41-61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types of health, analyze the effects among health types based on network analysis find the most important type of health, and explain whether the results between health types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investigated individual physical, clinical, mental, and social health(soci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levels through a survey of 100 people.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to the survey data to confirm the degree centrality of nodes. Furthemore,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core node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groups. Findi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social support was the most important health type in the entire group. Furthermore, the importance of health typ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In the case of men, clinical health was the most important health type, and social support was analyzed to be the most important for women. In the case of young people, clinical health was the most important health type, and mental health was the most important health type in the middle-aged.

대학생 연줄망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Scale for College Students' Social Network)

  • 최종혁;김형준;안태숙;허정은;권혁수;김효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3호
    • /
    • pp.283-305
    • /
    • 2009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연줄망을 측정하는 도구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전문가집단의 회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면대면 심층 인터뷰 및 두 차례의 사전조사를 통해 연줄망의 관계적, 구조적, 기능적 영역의 개념을 도출하고 25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조사를 통한 최종결과로 연줄망의 관계적 영역 2개, 구조적 영역 7개, 기능적 영역 14개 등 총 23개 문항의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줄망의 기능적 영역에 대한 척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정서적 경제적 영적 사회관계적 기능 등 네 가지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Cronbach's ${\alpha}$값이 0.716으로 만족할 만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대학생들의 연줄망 측정도구는 대학생들이 처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을 가시화 하는 동시에 대학생들의 특정한 욕구를 해소해 나가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소프트웨어공학적 방법론을 고려한 소설 네트워크 서비스의 그룹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Effective Group Manager Application)

  • 이상곤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19-13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그룹 전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안한다. 본 논문의 시스템 개발을 위해 그룹 서비스, 채팅, 위치 추적, 전송 기능, 그림 그리기와 편집 기능, 사진첩 관리 기능, 파일 전송 기능 등을 구현하고 전체 모듈을 결합하여 안드로이드용 그룹 관리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P2P 기반 분산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P2P Based Distributed Social Network Service for Privacy Preservation)

  • 남윤호;문종호;정재욱;원동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209-212
    • /
    • 2012
  •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기가 높아짐과 더불어 유저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중앙 집중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모든 유저의 프라이버시 정보와 행동들은 서비스 제공자에게 수집되어 진다. 본 논문에서는 중앙 집중식 구조의 무분별한 정보 수집을 제거하고자 오픈 소스를 이용한 P2P 기반 분산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안한다.

  • PDF

공동연구 네트워크에서 중심성과 연구성과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y and Research Performance in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 문성구;김인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7권5호
    • /
    • pp.169-17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간 사회과학저널 전체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중심성과 연구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절대적인 논문 수를 기준에 따른 상, 중, 하 그룹으로 연구성과와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부분의 그룹에서 중심성과 연구 생산성의 상관관계는 높은 상관관계가 나왔지만 연구의 영향력과 인용 속도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또한, 종합적인 연구성과와의 관계에서는 중위 그룹의 상관관계가 상위 그룹보다 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사회복지조직의 사회적 자본 척도 구성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Social Capital Scal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 문영주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3호
    • /
    • pp.381-407
    • /
    • 2011
  •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사회적 자본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도가 높은 사회적 자본 척도를 구성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사회복지조직 간 사회적 자본 수준의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국 15개 시·도의 사회복지조직을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구성한 사회적 자본 척도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석 수준에 대한 검토 결과, 사회적 자본 변수는 조직 수준에서 해석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셋째, 사회적 자본의 형태 동일성, 측정 동일성, 절편 동일성 확인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사회적 자본 척도는 사회복지조직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잠재평균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자본의 하위 지표인 네트워크 연결성, 비전 설정 및 공유, 호혜적 규범, 신뢰 및 협력, 단체참여에 대한 사회복지조직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네트워크 연결성, 호혜적 규범, 신뢰 및 협력, 단체참여에 있어 조직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나, 비전 설정 및 공유에 있어서는 조직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조직관리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