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disengagement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8초

시설노인과 지역사회 거주노인에서 사회적 유리에 따른 인지기능과 신체기능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 by the Social Disengagement in Institution and Community Living Elderly)

  • 소희영;김현리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11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level of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 by the level of social disengagement in institutions and community dwelling elderly. Method: The study subjects were 209 people whose age ranged from 65 to 94. The data were surveyed with social disengagement index, MMSE-K, and ADL, and analysed by SPSS 11.0 using frequency, t-test, ANCOVA and ANOVA. Results: 1) The level of social disengagement was 1.67 in institution and 3.25 in community elderly,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41.07, p<.001).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MSE-K (F=15.51, p<.000),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F=9.65, p=.002) between two residence after control the age, gender, religion, allowance and number of children.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MSE-K (F=6.55, p=.002) by social disengagement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Conclusions: Programs for successful aging to reduce social disengagement should be developed that stimulate social activities and then improve cognitive function for the elderly. For these, establishing social policies in nation and local government is needed. Especially, these policies should be conducted among the elderly with low-income living in institutions.

  • PDF

직무요구-통제 모형에 의한 간호사의 소진(Burnout)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Burnout of Nurses Based on the Job Demand-Control Model)

  • 박상언;한수정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2-60
    • /
    • 2006
  • Based on the Job Demand-Control model which was proposed by R. A. Karasek,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job demand, job control, and job burnout of nurses. In addition, the other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moderating or buffering role of social suppor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demand and job burnout. The analysi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239 nurses who are working in two general hospitals ha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We found that job demand was primarily related to the exhaustion component of burnout, whereas (lack of) job control was related to the disengagement dimension of burnout. And social supports from the supervisor attenuated the disengagement, whereas social supports from the colleague diminished the exhaustion. But, we found no interaction effects that were expected in the hypotheses. Specifically, social supports didn't buffer the negative effects of job demand on burnout, while job control had the moderating effect which was in opposite direc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analyse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then discussed.

  • PDF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에 대한 종단 분석: 심리적, 관계적, 그리고 사회적 접근 (Longitudinal analysis of factor influencing delinquent behavior among Korean adolescents: Psychological, relational, and social perspectives)

  • 박영신;김의철;김영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3권1호
    • /
    • pp.1-41
    • /
    • 2007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종단 자료의 분석을 통해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1,012명 표집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을 거쳐, 중학교 3학년까지 3차에 모두 응답한 739명이 최종 분석대상이었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청소년의 일탈행동을 의미있게 예언하는 변인은 폭력가해행동, 과거 일탈행동, 학교처벌경험, 폭력피해경험, 사회성효능감, 도덕적 이탈이었다. 경로분석 결과, 6개 예언변인들의 일탈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 외에도, 인간관계 변인들의 간접적인 영향과, 도덕적 이탈 및 사회성효능감의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이 확인되었다. 친구 따돌림은 사회성효능감을 감소시키며, 낮아진 사회성효능감은 폭력피해경험을 증가시키고,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폭력가해행동을 많이 하며, 가해행동을 하는 청소년들이 다양한 일탈행동을 하였다. 부모의 거부, 친구의 따돌림, 교사의 적대 및 과거의 일탈행동은 도덕적 이탈을 증진시키며, 도덕적 이탈은 폭력가해행동과 일탈행동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성적이 낮을수록 학교에서 처벌경험이 많고, 처벌을 받을수록 폭력가해행동과 일탈행동에 더욱 개입하였다.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과 관련된 이러한 결과들에 토대하여, 일탈행동 형성과정에서 도덕적 이탈과 사회성효능감의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 부정적 경험의 누적을 통한 일탈적 삶의 구성, 일탈행동을 가속화시키는 친구 따돌림의 다양한 심리적 기제들, 부모의 거부가 청소년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탈행동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경로로서 낮은 학업성취가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해 다양한 제안을 하였다.

  • PDF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 비교: 도덕적 이탈, 자기효능감, 가출,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files of adolescent on probation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specific focus on moral disengagement, self-efficacy, delinqu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 박영신;김의철;탁수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2권2호
    • /
    • pp.45-76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일탈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과 심리 행동 특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보호관찰 청소년(253명)과, 일반계 고등학생(257명)을 표집하여 도덕적 이탈과 자기효능감 및 가출과 학업성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질적 질문지는 연구자가 제작하였고, 양적 질문지는 Bandura(1995)의 도덕적 이탈과 자기효능감 척도를 기초로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보호관찰 청소년들은 문제행동을 하게 된 동기를 상대방 잘못에 두고, 보호관찰소에 왔을 때 심정을 억울하다고 함으로써, 도덕적 이탈이 시사되었다. 가장 자신있게 잘 할 수 있는 일로 학업을 지적한 경우가 적었으며, 가장 자신이 멋있다고 느낀 때가 없다고 함으로써 자기효능감도 낮았다. 또한 친구와 활동 내용 및 장소로 PC방/오락실을 많이 지적하였고, 1년 내에 이루고 싶은 일 또는 가장 신경 쓰이는 문제로서, 학업/진로문제에 대한 반응률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보호관찰 청소년이 가출을 유혹하는 환경에 많이 접하고 학업성취에 대한 관심이 적음을 보여준다. 양적 분석을 위해 두 집단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는, 보호관찰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보다 도덕적 이탈 정도가 높았으며, 사회성 효능감이 높고, 자기조절학습 효능감은 낮았다. 또한 가출을 많이 했으며, 학업성취도는 낮았다. 판별분석 결과 가출정도와 사회성 효능감 및 도덕적 이탈은 보호관찰 청소년을 판별하고,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 효능감은 일반 청소년을 판별하는 의미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사회불안성향자의 주의 과정에 관한 임상 융합 연구 : 정서맥락에서 긍정 자극을 중심으로 (Clinical Convergence Study on Attention Processing of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Tendency : Focusing on Positive Stimulation in Emotional Context)

  • 박지윤;윤혜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79-9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 얼굴 자극에 대한 주의의 과정에서 정서 맥락적 배경의 유무에 따라 사회불안성향자들과 정상인 간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무맥락적 배경에서 긍정 얼굴 자극에 대한 주의 과정을 확인하였고, 다음으로 정서 맥락적 배경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동일한 주의 과정을 탐색하였다. D시의 800명의 대학생에게 SADS와 CES-D를 실시하고, 사회불안집단(SA, n=24)과 정상 대조군(NC, n=24)을 선별하였다. 주의 개입과 주의 이탈 두 요소를 측정하기 위해 최초 응시 방향, 최초 응시 시간을 안구 운동 추적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사회불안집단의 경우 배경이 없는 상태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 얼굴 자극으로부터 더 빠른 주의 이탈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긍정 얼굴 자극이 긍정 배경 자극 안에 제시되면 사회불안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긍정 배경이 사회불안장애성향자의 정서 처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고찰 (The formation and change of adolescents' delinquent behavior)

  • 박영신;김의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9권1호
    • /
    • pp.81-114
    • /
    • 2003
  • 이 글은 청소년이 왜 일탈행동을 하는가? 하는 관심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를 위해 주된 문화와 질적으로 다른 하위 문화에 대한 접근 논리를 모색하고, 청소년 일탈행동 형성에 대한 개념모형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 변화과정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 다룬 내용은 두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정에 대한 이해를 위해, 환경특성으로서 가정환경과 학교환경 및, 개인특성으로서 청소년의 심리특성과 행동특성이 청소년의 일탈행동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둘째, 청소년기 동안 일탈행동이 어떠한 변화를 거치는가를 횡단자료 뿐만 아니라 종단 자료에 기초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청소년기동안 경험하는 환경적 변화와 개인특성 변화의 맥락에서 청소년 일탈행동의 변화를 이해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내용에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들에 토대하여, 종합 논의를 시도하였다.

  • PDF

Influence of Shiftwork on Greek Nursing Personnel

  • Korompeli, Anna;Muurlink, Olav;Tzavara, Chara;Velonakis, Emmanouel;Lemonidou, Chrysoula;Sourtzi, Panayot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5권2호
    • /
    • pp.73-79
    • /
    • 2014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urden experienced by nursing personnel working irregular shifts in Greece and to conduct the first test of a Greek version of the Standard Shiftwork Index (SSI).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arried out. The SSI was completed by 365 nurses and nursing assistants working shifts, including nights. Results: Female nursing personnel and those suffering from a chronic disease were most affected by working rotating shifts as they had elevated scores on the majority of the SSI scales, such as sleep, chronic fatigue, digestive and cardiovascular problems,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cognitive and somatic anxiety, shift time satisfactio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strategies, languidity, flexibility, and neurotisicm. Nurses with longer working experience and those with family responsibilities also scored higher on some of the SSI scales, such as the sleep, shift time satisfaction, social and domestic disruption, disengagement strategies, morningness, and languidity scales. Conclusion: Shiftwork affects female nurses, those with chronic disease, older age, and domestic responsibilities more severely. Therefore management should take these factors into account when designing work schedules to alleviate the burden caused by shiftwork.

Coping and Quality of Life in Turkish Women Living with Ovarian Cancer

  • Tuncay, Tari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9호
    • /
    • pp.4005-4012
    • /
    • 2014
  •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of both problem and emotion focused coping strategies and their association with aspects of quality of life among Turkish women with ovarian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The convenience sample consisted of 228 patients in all disease stage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brief COPE, QOL-Cancer patient tool, sociodemographic sheet, and medical variables were gathered from patients' medical charts. Results: Findings reveal that quality of life is moderately high for this group of cancer patients, despite some specific negative facets of the illness and treatment experience. Acceptance, emotional support and religion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ies and self-distraction, venting and behavioral disengagement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reported by patients. Overall quality of life and, particularly, psychological and spiritual well-being scores of younger patients were lower. Patients reported using significantly more problem-focused coping than emotion-focused coping, and more problem-focused and less emotion-focused coping predicted greater quality of life. Problem-focused coping was related to patients' physical and spiritual well-being and emotion-focused coping was related inversely with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Conclusions: Coping strategies are influential in patient quality of life and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to ovarian cancer. Psycho-oncology support programs are needed to help patients to frequent use of problem-focused coping and reduce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to improve overall quality of life.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 (III): 성취의 그늘, 한국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 심리적 역동 (The cost of pressure to achieve in Korea (III): The psychological dynamics and factors influencing delinquent behavior)

  • 박영신;김의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223-253
    • /
    • 2008
  • 이 글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5), 특집호, 제 3권의 주제인 한국사회 성취의 그늘에 있는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 심리적인 역동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에 발표된 한국 일탈청소년과 관련된 경험과학적 연구결과들을 개관함으로써, 앞으로 한국 일탈청소년에 대한 연구 및 실제적 지도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글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이 글의 목적과 내용을 소개하였으며, 일탈행동에서 벗어나서 질적으로 다른 성취를 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의 세계에 주목하였다. 둘째, 일탈청소년 주변의 인간관계 특징을 부모의 거부, 또래 따돌림, 교사와의 적대적인 관계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일탈행동의 형성과정에 작용하는 변인들 중에 특히 부모양육태도의 문제, 친구 일탈행동의 영향, 청소년 도덕적이탈의 심리, 과거의 일탈경험을 중심으로 선행연구 결과들을 분석 종합하였다. 넷째, 한국 일탈청소년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토착심리적 접근의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 PDF

사회복지실천의 미래 - 사람과 사람 - (Future of Social Work Practice - Human, human again. -)

  • 김미옥;최혜지;정익중;민소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4호
    • /
    • pp.41-65
    • /
    • 2017
  •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은유되는 인류사적 전환의 의미를 사회복지실천의 내부로 초대해 성찰하고 사회복지실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4차 산업혁명을 구심으로 하는 근미래 사회의 변화상을 예측하고 이에 적합한 사회복지실천의 발전전략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4인의 사회복지 연구자가 7회에 거쳐 토론한 내용을 분석하는 공동자문화기술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근미래의 특징은 초연결성, 새로운 공동체의 출현과 확대, 다원화와 개인화, 삶의 질에 대한 새로운 기준의 등장 등으로 집약되었다. 인터넷을 통해 사람과 사물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노동에서 해방된 인간은 다양한 공동체를 추구하는 동시에 원자화된 개인 또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범주와 규범의 해체로 다원화와 개인화가 확대되고, 탈물질주의의 동향으로 생태주의적 세계관 등 새로운 삶의 질서가 부상할 것으로 예견되었다. 한편 현재의 사회복지실천은 거시적 맥락으로부터 분리, 기술 중심 전문가주의로의 편향, 통합성을 상실한 개인 중심 실천 등이 한계로 지적되었다. 현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의 사회적 변화에 조응적인 사회복지실천을 구현하기 위해 첫째, 사회복지실천의 본질인 사람과 사회에 푯대를 둔 실천 지식, 기술, 가치의 재배열, 둘째, 공유경제 등 개인 삶의 경계를 공동체로 확대한 확장적 실천, 셋째, 사회복지 전문직의 고유성 탐색을 통한 매력의 회복을 풀어야 할 과제로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