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demographical variabl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유아의 다중지능, 창의적 가정환경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Multiple Intelligences, Creative Home Environment, Social economic status, and Leadership of Children)

  • 김민영;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59-284
    • /
    • 2011
  •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하는 유치원에 다니는 만5세 유아 173명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밝힘으로써 유아의 리더십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출생순위, 모 학력, 모 취업여부, 총수입)에 따른 다중지능, 창의적 가정환경, 유아 리더십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출생순위에서 둘째 이상인 유아가 첫째보다 대인관계지능이 높게 나타났다. 대졸 이상의 학력인 어머니가 전문대 이하 학력인 어머니보다 가족압력이 높았으며,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정의 총소득에 따라서는 월 400만원 이상인 가정의 유아가 논리 수학지능, 자연이해지능, 언어지능, 학습환경, 아동존중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중지능, 창의적 가정환경, 유아 리더십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하위영역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수입, 언어지능, 가족압력이 주도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총수입, 가족압력은 사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지능, 대인관계지능, 학습환경이 몰입에 영향을 미쳤으며, 가족압력이 리더십 총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교사의 가치정향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활동 및 실태 (Safety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 Actual Conditions According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Value Orientation)

  • 정석범;박영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4권
    • /
    • pp.79-95
    • /
    • 2003
  • This dissertation aims to analyze various safety accidents taking place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value orientation, to identify teacher's value orientation that can minimize safety accidents,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safe and smooth class management. For this purpose,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261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t some middle and high schools in G City in Kyung-Ki Province and Busan Metropolitan City. The materials were treated as follows: The variable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re determined by t-test ; The analysis of one-way ANOVA and relationship between value orientation and safety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was conducted through Pearson's linear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orienta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safety accidents was conduct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First, there is almost no awareness differen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value orient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al variables. The value orientatio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nsider to be the most important is, however, mainly 'mastery of disciplinary lesson.'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afety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according to demographical variables. Teachers' focuses in class cont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and working area, while the dependency on facility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and school type. Second,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value orientation and safety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because there is virtuall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It means that safety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are not related with on which teachers place emphasis among mastery of disciplinary lesson, social reconstruction, self-realization, ecological integration and value orientation on learning process. Third, the analysis of safety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according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value orientation revealed that the lower value orientation in social reconstruction is, the more safety accidents teachers experience. It is also found that crashes among students, ball games and leg injuries are inter-related with social reconstruction in value orientation, over-motivation and unskilled motor function ; athletic sports with value orientation on learning process and safety prevention training ; unskilled motor functions with value orientation in ecological integration and disobedience to teacher's directions ; winter accidents with mastery of disciplinary lesson in value orientation. In conclusion, the research indicates tha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value orient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al variables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one according to safety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side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value orientation is not related to safety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orienta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safety accidents showed correlations according to each variable. Especially, teachers with lower value orientation in social reconstruction experienced more safety accidents. Therefor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an manage physical education class more safely with more emphasis on value orientation in social reconstruction.

  • PDF

지역사회 사회안전망구축과 지역사회결속 및 지방자치단체 신뢰의 관계 (Relation of Social Security Network, Community Unity and Local Government Trust)

  • 김영남;김찬선
    • 시큐리티연구
    • /
    • 제42호
    • /
    • pp.7-36
    • /
    • 2015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사회안전망구축과 지역사회결속 및 지방자치단체 신뢰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4년 8월 15일부터 8월 30일까지 약 15일간 광주지역사회 일반시민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총 450부를 배부하여 438명을 표집하였다.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412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안전망구축은 지역사회결속에 영향을 미친다. 즉, 범죄예방설계, 지방자치단체안전교육, 경찰치안서비스가 활성화 될수록 시민들의 지역사회제도에 대한 관심은 높다. 거리CCTV시설, 범죄예방설계, 지방자치단체안전교육이 활성화 될수록 안정감은 높다. 둘째, 사회안전망구축은 지방자치단체 신뢰에 영향을 미친다. 즉, 지역자율방범활동, 범죄예방설계, 지방자치단체안전교육, 경찰치안서비스가 활성화 될수록 정책신뢰, 서비스관리신뢰, 업무성과신뢰는 증가한다. 셋째, 지역사회결속은 지방자치단체 신뢰에 영향을 미친다. 즉, 지역사회제도가 잘 이루어질수록 정책신뢰는 높다. 또한 지역사회제도, 안정감이 잘 이루어질수록 업무성과 신뢰는 높다. 넷째, 사회안전망구축은 지역사회결속과 지방자치단체 신뢰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사회안전망은 지방자치단체 신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매개변수 지역사회결속을 통해서 더욱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중독의 관계 - 사회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among Marital Dissatisfactio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 김남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1호
    • /
    • pp.223-254
    • /
    • 2017
  • 본 연구는 기혼자의 결혼불만족이 외로움을 통해 SNS중독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연구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자본의 크기 및 구성 장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지, 즉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20~40대 성인 기혼 남 녀 714명이다. 온라인 전문 리서치회사에 자료 조사를 의뢰해 인구통계학적 비례에 따른 할당 표집을 기본으로 임의 선택의 과정을 거쳐,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절차를 따랐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로움은 기혼 성인의 결혼불만족과 SNS 중독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관계가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의 완전 혹은 부분 여부를 경쟁모형 비료를 통해 확인한 결과, $x^2$을 비롯한 다양한 적합도 지수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완전매개 모형을 최종적으로 채택하였다. 둘째,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 중독 간 매개모형에서 사회자본 크기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자신의 사회자본을 상대적으로 크게 인식하는 집단이 작게 인식하는 집단에 비해 외로움에서 SNS중독에 이르는 과정과 결혼불만족에서 SNS중독에 이르는 경로의 효과 크기를 더 크게 인식했다. 이와 함께, 사회자본 형태별로 비중 차이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도 확인했다. 즉, 사회자본의 형태를 면대면 그리고 SNS 장면으로 구분해 각각의 비중 차이에 따라 면대면 우세, SNS우세 집단으로 구분해 매개모형의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경로 간 효과크기에 차이가 나타났다. 자신의 사회자본이 면대면 보다는 SNS 온라인 상에 더 편중되었다고 느끼는 집단에서는 외로움이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면 대 면과 SNS 사회자본 사이의 불균형이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 중독 간의 관계에서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혼 성인들의 SNS 중독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응방안을 제언하였다.

  • PDF

한국 영아어머니의 산후우울 변화와 양육 관련 체계변인간의 관계 분석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nges in Postpartum Depression and Child-rearing System Variables in Korean Mothers)

  • 천희영;옥경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6호
    • /
    • pp.153-167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postpartum depression in mothers from one month after childbirth to the first year using panel data collected overtime,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change and child-rearing system variables. The subjects were 1097 mothers who belonged to both the lower and upper $30^{th}$ percentile groups in the depression change distribution of the 2008 Korean Children Panel Study (PSKC), a large, population-based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care and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s, $x^2$ tests,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postpartum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during the first year as opposed to the first month after birth. Second,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al variables of the mothers, the changes related to depress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ild-rearing stress, and the child's emotional temperament, but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mother's self-esteem, the child's birth order, and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activities. Third, variable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changes in postpartum depression were the mother's self-esteem and child-rearing stress, the child's age in months,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pertaining to the mother's characteristics variables had a more powerful effect than other child-rearing system variable categories. Th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to develop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or a mother-child health service in consideration of the variables that affect mothers, as determined in this study, in an effort to prevent postpartum depression.

119구급대원의 업무스트레스와 피로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 박대성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86
    • /
    • 2004
  • This study selected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t 24 fire police boxes in Jeonnam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 10 to May 9, 2004, questionnaires were mailed and returned by mail. Total 109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8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80 except 9 omitting answers and showing inappropriate answer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The total mean of areas composing job stress in the degree of job stres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as over the average as 2.54 (SD .44) of 4 full marks. According to the degree of job stress by each area, the highest area of job stress was crisis situation (2.98), followed by role conflict as professional job (2.58), social factors (2.57), involvement in organization (2.55). To the contrary, the areas of the lowest job stress we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que (2.35), psychological burden of medical limitation (2.38), conflicts in personal relationship and services (2.45) and improper treatment (2.53). B. The degree of fatigue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by areas was over mean as 2.09(SD .49) of 4 full scores and physical fatigue was highest (2.18), followed by mental fatigue (2.11) and neurosensory fatigue (1.99). C.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as 2.71 of 5 full scores and working condition area (3.70) showed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requirement of organization (2.85) and the lowest job satisfaction area was job itself (2.18), followed by desire for job (2.49). D. According to differences in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re was no variable of statistical difference at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significance level .05, but fatigue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at final education (F=2.393, p=.046). E. According to differences related to job characteristic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stres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at motif of current services (F=4.935, p=.003), fatigue showed those at health conditions (F=2.732, p=.008), job satisfaction at overtime (F=3.038, p.034) and the greatest reason of having job (F=3.217, p=.017), F. As a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s between job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the subject, job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r=.411, p=.000) with fatigue and negative correlation (r=-.267, p=.008) with job satisfaction. Fatigu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r=-.287, p=.005) with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re will b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subjects." was supported.

  • PDF

애국심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Patriotism on Product Evalua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onsumer Ethnocentrism)

  • 홍성태;강동균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2호
    • /
    • pp.71-9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애국심이 자국 및 외국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애국심과 제품평가 간의 관계에 있어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의 매개변수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학부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애국심은 외국제품 평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국제품 평가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는 애국심과 자국제품 평가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를 논하였으며, 유통관리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