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onflicts

검색결과 591건 처리시간 0.036초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논의의 재검토 (Discussion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tists and Engineers Revisited)

  • 송성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5-14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과학기술학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과학기술의 윤리적 측면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보완하거나 새로운 논점을 제기함으로써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체계적인 기획을 시도하였다. 첫째,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객관적 조건으로서 과학과 기술이 제도화되면서 사회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둘째, 과학기술의 공공성을 부각시킴으로써 기존의 전문직업인으로서의 과학기술자에 대한 논의를 보완하였다. 셋째, 과학기술자의 윤리적 갈등을 몇 개의 유형으로 분류한 후 관련된 사회집단을 포괄적으로 고려하면서 윤리적으로 수용가능한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넷째,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과제로서 부도덕한 행위에 관한 문제제기, 전문가적 증인의 역할 수행, 과학기술단체의 윤리강령 제정, 과학기술윤리교육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사회적 중요성이 점점 증대하고 있는 과학기술자가 자신의 활동을 보다 거시적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는 매개체로 작용할 수 있다.

사회운동조직의 사회복지제도화와 미시저항 -지역자활센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History of Conflicts between Social Movements and Social Welfare -A Case Study of Self-Sufficiency Promotion Centers in South Korea-)

  • 김수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2호
    • /
    • pp.255-285
    • /
    • 2013
  • 본 논문은 자활사업을 주요사례로 정부의 사회복지사업에 민간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는 사회운동조직이 어떻게 전문 사회복지기관과의 역학관계 속에서 자신의 자발적 정체성을 방어해나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군부독재가 막을 내리고 민주화와 진전되면서 과거 정부와 대립하던 사회운동단체들이 복지정책의 주요파트너로 부상했다. 저소득층의 일자리 지원사업인 자활사업도 빈민 실업운동진영과의 협력으로 도입된 복지제도이다. 그러나 사회운동에 대한 기존연구들은 사회운동조직이 제도화되면서 자발성이 훼손되고 사회복지 전문가와 기관들에게 헤게모니를 내놓게 된다고 지적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자활사업 관련 역사문헌, 심층면접, 참여관찰 자료에 대한 역사적 담론 분석을 통해, 자활사업의 도입시기부터 현재까지 사회운동조직의 자활사업 내 입지변화와 운동조직이 일선현장에서 사회복지진영으로부터 자신을 구별하기 위해 각 국면마다 구사해온 담론과 전략들이 있는지 추적했다. 본 논문은 사회운동과 사회복지의 갈등의 역사 속에서 사회운동진영의 생존전략들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운동의 사회복지제도화와 전문화를 단지 사회운동의 지배체계로의 편입, 흡수, 종속으로 설명할 수 없고, 그 이면에 사회운동조직의 미시저항이 존재함을 드러내고자 했다.

  • PDF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갈등 (The Conflict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 서현아;윤정진;차미영;김정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23-537
    • /
    • 2009
  • This research aim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develop a futur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One group interview and three privat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early education teachers to obtai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inherent in English educa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is an internal conflict in the teachers regarding the value of English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addition, there are external conflicts with the children the parents, the English teacher, the program director, and the government in English educ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felt an internal conflict regarding the current, inappropriate execution of early English education which is lacking a suitable educational plan including goals and practices. Furthermore, the teacher's preference for English also contributed to the internal conflict regarding the belief i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Secondly, the external conflicts included: English teachers with inadequate understanding of comprehensive early childhood development, parents who show excessive interest i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without regard to childhood development, the reality tha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s mostly influenced by the attitudes of the program director without regard for the conflicts experienc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the politics of the government continuing to ignore the reality tha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ontinues in practice without being inclu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 PDF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동료교사와의 갈등 원인 및 대응에 관한 연구 (Teacher-Teacher Conflicts in Childcare Centers : Causes and Process of Resolution)

  • 최미미;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21-239
    • /
    • 2013
  •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들이 동료교사와의 관계 속에서 어떠한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지 그리고 갈등상황에서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심층면담을 통하여 알아봄으로써, 동료교사와의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보육교사로 재직 중인 교사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면담은 2011년 9월 7일부터 2011년 10월 4일까지 각각 3~4회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는 동료교사와의 관계 속에서 경력에 따른 위계질서, 미흡한 사회적 관계 맺기 기술, 개인이 가진 가치관 및 교육관의 차이, 비지원적인 동료교사관계 등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갈등상황 속에서 교사개인의 판단 및 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에 따라 동료교사와의 관계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동료교사와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갈등 및 대응과정을 통해서 교사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통계자료를 이용한 농촌 지역의 사회적 다양성 분석 -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 (Social Diversity Analysis of Rural Areas with Statistical Data - A Case Study of Gyeongsangnam Province -)

  • 이지민
    • 농촌계획
    • /
    • 제28권3호
    • /
    • pp.73-82
    • /
    • 2022
  • Recently, social conflicts have intensified, and a diverse society is to the fore as a solution to social problems. In rural areas, the transition to a diverse society progressed due to population outflow, changes in the agricultural labor force, and an increase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this study, regional social diversity in Gyeongsangnam province was measured using the neighborhood diversity index and the Simpson index.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with the regional economy at the county level and township level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Gun regions have higher social diversity than the Si regions. and the city area showed a larger index value for residential segregation.

가정과 직장 간 갈등이 창업 경영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Conflicts Between Families and Work Places to Startup and Management)

  • 강승구;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5호
    • /
    • pp.197-208
    • /
    • 2015
  •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가정과 직장에서의 갈등과 성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직장인들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지원제도의 발전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직장인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장인들의 가정-직장갈등과 직장-가정갈등은 모두 통계적으로 직무만족에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에서는 직무환경만족을 개인가치만족보다 더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의 가치관적인 추구보다는 직무자체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직장에서의 갈등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쌍방향의 순환적 인과관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행연구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가정 직장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크기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직무만족과 하위변인인 개인가치만족에는 사고중심형이, 직무환경만족에는 행동중심형이 영향력의 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모든 직장인들의 가정과 직장에서의 갈등해소와 직장에서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하여 직장인과 그들의 가족을 위한 근로자 심리상담지원프로그램인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를 포함한 물질과 정신의 토탈복지 지원정책의 시행, 성격교육과 성격코칭 프로그램 시행 그리고 기업 상담프로그램 도입을 제안한다.

  • PDF

현대 한국 여성의 여가문화에 대한 담론 변화 연구 - 1960-2010년대 신문 기사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A discourse analysis for Korean women's leisure culture from 1960s to the present - Application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 차민경
    • 문화경제연구
    • /
    • 제21권2호
    • /
    • pp.197-229
    • /
    • 2018
  • 본 연구는 현대 한국 여성의 여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시대별로 분석, 여성들이 여가 문제에 있어 어떤 이데올로기 갈등을 겪어왔는지 그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여성의 여가향유 환경 개선을 위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성 여가에 대해 다룬 총 4,614개의 언론 기사의 652,513개의 단어를 '의미연결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960년대에는 '현대화'와 '현모양처' 이데올로기가 혼재된 양상을 보였고, 1970년대에는 전통적 현모양처에 뿌리를 두되 부업을 통해 가정 경제에 기여하는 희생적인 여성의 모습을 미덕화 했다. 1980년대 여성의 고등교육과 사회진출 증가로 '현대 여성 이데올로기'가 강조되었으나, 이 시기부터 여성 여가 문제에 있어 '현모양처' 이데올로기와의 본격적 갈등이 시작된다. 여성의 지위가 향상된 1990년대에는 오히려 두 이데올로기의 갈등이 심화된 양상을 보였고, 2000년대에도 이러한 갈등은 지속되며 오히려 이데올로기 갈등 사이에서 여성은 자신의 여가를 희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0년대에는 두 이데올로기 간의 갈등이 여전한 가운데, 쉽게 소비할 수 있는 여가상품의 증가로 자투리 시간을 활용한 스낵컬쳐 여가를 선호하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기혼여성의 비정규 노동과 일/가족 갈등 -학습지 교사를 중심으로 (Married Women's contingent Work and Work/Family Conflicts - Concentrating on Study Paper Instructors)

  • 김경화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0권2호
    • /
    • pp.87-105
    • /
    • 2006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licated and divers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life for the study paper instructors of whom are married women. The survey data for these analyses were from an in depth interview which was conducted with the 21 contingent female workers as study samples. They are the married women, who started to work or returned to work after an absence to raise a family. The results showed that in reality the contingent female worker faced worse working conditions than the full time female labour force, even if women were determined to be a study paper instructor to meet work and family demand. It was the contingent women worker with a short time work experience who were in the worst position tlo adjust their working arrangements to suit their family needs and were confronted with the greater inter-role friction as a vulnerable group. The study revealed that instrumental and emotional support of husband has a positive effect on maintaining job role and lessening role conflicts and stress of the women. The work/family relationship indicated its double side, conflict and support. The women simply could not afford to depend on the psychological support form family in the midst of the inferior employment conditions and the absence of social support. This strategy, however, was based on the family ideology and the patriarchal gender division of labor. It caused the overload, stress and poor health of women involving some risk to give up the work.

  • PDF

군집분석을 통한 공공 건설사업 갈등 유형화 연구 (A Research for Clustering of Conflict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

  • 이지섭;김도윤;이창준;이정훈;한승헌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61-72
    • /
    • 2018
  • 공공 건설사업에서 발생하는 갈등은 공사비 증가, 공기 지연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며 성공적이지 못한 사업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갈등의 유형을 진단하여 선행사례를 통해 적절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많은 문헌들을 고찰하여 갈등의 원인이 되는 갈등 요인을 도출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기준을 수립하여 갈등을 유형화하였다. 30개의 사례에 대해 갈등 요인을 평가를 받고 군집분석을 통해 유사한 사례들을 군집화 하였다. 3개의 군집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군집의 특성에 따라 사례를 분석하여 '유해성 및 님비 시설물 갈등 군집', '환경 및 공해 갈등 군집', '핌피 및 소형 갈등'이라고 명명하였다. 추후 공공 건설사업에서 갈등 발생 시 본 유형화 기준에 따라 갈등을 평가하고 어떤 유형의 갈등인지 파악한 후 해당 군집의 선행 사례를 통한 효과적인 선행사례를 모색하여 빠르고 효과적인 갈등 해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체적 분쟁해결 방안으로서 환경영향평가 적용가능성 - 문장대 온천 조성사업 환경갈등 사례연구 - (Feasibility Stud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s Instrument for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s - Case Study: Environmental Conflicts of Mungjangdae Hot Spring Resort Development -)

  • 홍상표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6호
    • /
    • pp.495-507
    • /
    • 2017
  • 1985년에 온천관광지 조성계획이 추진되었으나 2017년 현재까지도 지역간 환경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문장대 온천 관광지 조성사업' EIA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환경소송의 한계와 ADR로서 EIA 제도의 적용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환경영향의 과학적 사전예측으로 사회갈등 환경갈등을 예방하기 위한 민주적 절차인 EIA 제도를 통하여 지역주민 의견수렴 및 'EIA 협의의견'을 환경 거버넌스 차원에서 의사결정 과정에 반영하면 환경소송의 폐해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어 ADR로 기능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EIA 주민참여 범위를 'Aarhus 협약' 수준으로 확대된 공중의견 수렴제도를 점진적으로 도입하여 실질적인 ADR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개발계획 및 개발사업에 관련된 의사결정 과정에 공청회 등의 거버넌스를 통하여 사회적 형평성 및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핵심으로 하는 EIA 제도는 궁극적으로는 우리나라의 지역차원에서 SDG를 구현시킬 수 있는 적합한 ESSD 수단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