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adaptation

검색결과 737건 처리시간 0.029초

북한이탈주민의 자기효능감이 남한사회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제적 적응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Self-efficacy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Influence of the Adaptation to Social and Cultural Adjustment in South Korea: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Adaptation)

  • 김명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25-138
    • /
    • 2019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자기효능감이 그들의 남한사회문화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인천, 서울, 안산, 원주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사회에서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연령이 낮아질수록 남한사회에 대한 언어나 문화적인 측면에서 이질감이 낮게 나타났다. 반면, 나이나 거주기간이 탈북이주민의 낮은 사회적 지위에 대한 지각, 차별감 및 편견을 극복하는데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에 오랜 기간 거주해도 그들에 대한 차별감이나 편견을 극복하지 못하며 대부분 살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에서 사회문화적응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의 내적요인인 자기효능감임이 밝혀졌다. 이 자기효능감은 남한사회에서 사회문화적응뿐만 아니라 경제적 적응을 하기 위해 필요한 자신의 능력과 업무에 대한 유능감에 영향을 주어 그들이 사회현장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생활하게 하며 이밖에 외부의 다양한 스트레스를 극복해 가면서 나아갈 수 있도록 작용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Factors Affecting Foreign Workers' Turnover Intentions

  • JUNG, Myung-Hee;HWANG, Gil-Ju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11호
    • /
    • pp.25-34
    • /
    • 2019
  • Purpose: As the proportion of foreigners participating in the domestic labor market is gradually increasing, problems caused by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have also been expressed. As su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and cultural adaptation and its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data was collected for foreign workers who visited the Foreign Workers Support Center operated by the Korea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A total of 224 data were analyzed from March 1 to March 30, 2019 and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for basic work environment of foreign workers, factor analysis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variables, and overall structural model analysis. Results: Organizational fairness did not appear to affect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significant cultural adaptation but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Psychological adjustment did not affect turnover intention, and cultural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Thus, in order to reduce the intention of turnover and adapt well to the working environment, it would be more efficient to find ways to raise the level of psychological adaptation by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rather than organizational fairness.

DEU-GRIT을 활용한 군집화된 대학 신입생의 대학 생활 적응(학업, 사회, 정서 및 진로 적응) 특성 분석 연구: D 대학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Academic-, Social-, Emotional-, and Caree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mong Clustered Freshmen Using DEU-GRIT: A Focus on D University)

  • 이정희;강창완;박애영;고미나;강정임;신지영;최서현;이진현;함수민;김보성
    • 감성과학
    • /
    • 제23권3호
    • /
    • pp.19-36
    • /
    • 2020
  • 본 연구는 D 대학을 중심으로 DEU-GRIT 검사를 활용하여 대학 신입생의 대학 생활 적응 특성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 신입생의 성별과 전공 분야에 따른 대학 생활 적응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고, 대학 생활 적응의 중요한 영역인 학업, 사회, 정서, 진로 적응의 수준을 기반으로 군집화된 대학 신입생의 대학 생활 적응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DEU-GRIT 검사 규준을 바탕으로 대학 신입생 중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하위 규준집단을 따로 분류하여 이들의 대학 생활 적응 특성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서 적응 수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 적응과 정서 적응 수준에서 과학기술 전공 분야 학생이 인문사회 전공 분야 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 생활 적응의 4개 영역 수준을 기준으로 군집 분석을 한 결과, 군집 1은 모든 영역의 적응 수준이 높았지만, 군집 3은 모든 영역의 적응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군집 2는 정서 적응 수준이 높았지만, 군집 4는 정서 적응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DEU-GRIT 검사의 하위 규준집단에서는 학업 적응과 사회 적응 수준이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서 높았으며, 대학 생활 적응 전체 및 학업 적응과 정서 적응 수준이 인문사회 전공 분야 학생보다 과학기술 전공 분야 학생에게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 규준집단의 대학 생활 적응의 4개 영역 수준을 기준으로 군집 분석 한 결과, 하위 규준집단 군집 1은 정서 적응 수준이 높았으며, 하위 규준집단 군집 2는 정서 및 진로 적응 수준은 낮고 학업 및 사회 적응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 규준집단 군집 3은 모든 영역 수준이 낮았으며, 하위 규준집단 군집 4는 사회 및 정서 적응 수준이 낮고 학업 및 진로 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 신입생의 사회 및 정서 적응 측면에서 성별에 따라 맞춤화된 심리상담 프로그램의 개입이 필요하며, 전공 분야에 따라서는 취업 전망에 대한 기대의 높고 낮음에 따른 상대적 정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하위 규준집단의 대학 생활에서 정서 및 사회 적응은 대학 생활 적응의 보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도 시사한다.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응을 매개로 -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Mental Health in a Sampl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 Mediating Effect of Social Adaptation -)

  • 배경희;서연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4호
    • /
    • pp.183-202
    • /
    • 2011
  •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어사용능력과 거주기간을 사회적응 매개변수로 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이다. 서울과 인천,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총 247명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분석방법은 빈도 및 기술분석과 매개 효과 검증을 위한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는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응은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활동은 사회적응을 높이고 이를 통해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근로활동지원 및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하겠다.

  • PDF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력 향상 방안연구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 한지은;나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27-33
    • /
    • 2017
  •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사회적응 문제는 복지적인 차원을 넘어 통일준비적 차원으로써 그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사회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경제중심의 지원정책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의 취업률이 향상되었으나 동시에 문화적 이해와 정체성 형성이 결여 된 상태에서의 취업률 향상은 또다시 사회부적응과 적응실패의 문제로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과 그룹토론 및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경제적 자립' 이외에 '사회적 자립'의 중요성이 검증되었으며, 사회적응과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된 요인은 사회성형성의 기본이 되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적응력을 고양시킬 수 있는 정책 과제로 남북한 시민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환경과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하는 바이다. 이는, 경제적 자립만으로는 궁극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남한사회적응력을 향상시키는 결과뿐만 아니라 '경제적 지원' 정책 효과를 높이는 결과에도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로써 '사회적 지지' 형성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보완되어야 하겠다.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미치는 교우관계의 영향력과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friendship to academic persistence and drop out and mediation effect of school adaptation)

  • 김효은;김기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4호
    • /
    • pp.87-109
    • /
    • 2011
  •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setting, self improvement, social support of parents, friendship, school adaptation, drop out. In our research model, goal setting, self improvement, social support of parents, and friendship is exogenous variable and school adaption and drop out is endogenous variable. A total of 323 undergraduate student(254 female, 69 male) complete the questionnaire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howed that, as hypothesized, establishment of goals, social support of parent and friendship ha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nd friendship also have direct effect on drop out. School adaptation mediate path from goal setting, social support of parents, and friendship.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a model that show how to control the drop out of students.

교육복지 사업에 대한 만족이 사회적 자본을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중학생 간 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welfare project on the school adaptation and mediative effect of social capital :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최경일;이종익;윤영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485-492
    • /
    • 2020
  • 본 연구는 초중학생들의 교육복지 사업에 대한 만족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사회적 자본이 이를 매개하는지와 초등학생과 중학생 간의 경로 차이를 발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교육복지 사업에 참여한 강원도의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수집된 153명의 초등학생과 124명의 중학생 자료를 구조방정식의 다집단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은 사회적 자본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해서만 유의하게 인식하였다. 중학생은 교육복지 사업에 대한 만족이 학교적응에, 사회적 자본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두 집단 모두 교육복지 사업에 대한 만족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이 매개효과를 갖지 못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중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선천성 심장 질환 아동 가족의 복원 요인이 적응에 미치는 영향 (Family Resiliency Facto for the Adaptation of Family who have a Congenital Heart Disease)

  • 탁영란;윤이화;안지연;김상화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298-1306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family strain, perceived social support, family hardiness, and family adaptation and identify the family resiliency factors for the adaptation of families who have a child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Method: The sample consisted of 90 families who had a child diagnosed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and completed surgical treatment. Data was collected from parents using a questionnaire. Results: Results from path analyses revealed that family strain had a direct effect on both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family hardiness, and an indirect effect on family adaptation. Also, the findings reveale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both family hardiness and family adaptation, and family hardiness had a direct effect on family adaptation. Thu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family hardiness had a mediating effect on family strain. Conclusion: Findings provide the evidence for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significanc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family hardiness as family resiliency factors for family adaptation. Clin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might be discussed in terms of family-centered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 families who have a child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family resiliency for adaptation.

가족탄력 모델을 이용한 정신분열병 환자가족의 부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Family Adaptation to Schizophrenic Patients: An Application of the Family Resiliency Model)

  • 이은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1권
    • /
    • pp.173-20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ables that may influence the level of family adaptation to schizophrenic patients using the Family Resiliency Model. The Family Resiliency Model is the most current extension of family stress Model. According to the Family Resiliency Model, The level of family adaptation in the face of a crisis situation is determined by a number of interacting components. The subjects are 151 family members with schizophrenic patient.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following variable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amily adaptation: income of the family, educational level of the family, intimacy between family and patient, knowledge on schizophrenia, recognition of prognosis on schizophrenia. 2) The factors that compose the Family Resiliency Model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family adaptation. 3) The result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factors which predict the level of family adaptation were the family control, the quality of family communication, and the support from the extended family, these findings give us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 PDF

장애아모의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ping Strategies and Adaptation of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 이삼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8권
    • /
    • pp.180-205
    • /
    • 1999
  •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모의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전략과 적응 간의 관계를 정립하는 것이었다. 특히 장애아모의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장애아모와 장애자녀의 개인 및 환경적 특성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대처전략의 적응에의 순수한 독립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서울, 창원, 대구의 장애인복지관에 등록된 장애아동의 어머니 9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결과, 대처전략과 장애아모의 적응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입증되었다.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분석을 통해 밝혀진 장애아모의 적응 예측에 기여한 대처전략은 직면전략, 책임수용 전략 그리고 긍정적 재평가전략이었다. 직면과 책임수용전략은 장애아모의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긍정적 재평가전략은 장애아모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들 직면, 책임수용, 긍정적 재평가전략의 적응에의 효과는 다른 예측변수의 영향력을 보수적인 방법으로 통제한 상태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모를 위한 사회사업개입방안이 논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