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adaptation

검색결과 748건 처리시간 0.031초

한부모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 개인자원, 가족자원, 발달환경자원을 중심으로 (Adaptation of a single parent's child to school life: Focusing on individual resources, family resources and developed environmental resources)

  • 박정윤;원아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2호
    • /
    • pp.121-14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how effective individual resources, family resources and developed environmental resources are in assisting the adaptation of a single parent's child to school life. The subjects were 284 first-year middle-school students with a single parent who were included in the first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Research Panel 2010 data.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18.0softwa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self-esteem, self-resilience, and peer relations were all shown to have an average of higher than 2 on a 4-point scale. Positive perceptions of parenting attitudes were 2.87, and negative perceptions 2.38. Computer usage was high, scoring 2.42, but mobile phone usage was average, at 2.02. Of the participants, 83.8% did not participate in a club or extracurricular activity. Second, self-esteem, self-resilience, peer relations,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adaptation to school life, but relying on a mobile phone was correlated negatively. Third, regarding the consequences of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he variables for adaptation to school life, as self-esteem, self-elasticity, and positive perceptions of parenting attitudes increased, Adaptation of a single parent's child to school life was more successful. Additionally, as annual family income and reliance on mobile phones increased,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was less successful.

모유수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남편의 지지가 모유수유 적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arenting Stress and Husband's Support on Breastfeeding Adaptation among Breastfeeding Mothers)

  • 허승희;노윤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3-242
    • /
    • 2017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stress, husband's support, and breastfeeding adaptation in mothers. Methods: A correlational survey design was utiliz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81 breastfeeding mothers with infants under 12 months of ag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outpatient clinic, a child photo studio, or from the kid's cafe from July 22 to September 13, 2016. Instruments for collecting data included Childcare Stress Inventory (CSI), Husband's Support scale, and the Breastfeeding Adaptation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b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Of the 181 subjects, 54.7% responded they only breastfed with 75.7% who received breastfeeding education. Seventy-two percent of mothers made a decision to breastfeed by themselves. The mean score was $2.39{\pm}0.53$ for parenting stress, $3.07{\pm}0.43$ for husband's support, and $3.85{\pm}0.49$ for breastfeeding adaptation. Factors influencing breastfeeding adaptation were identified as lower parenting stress (${\beta}=-.54$), greater husband's support (${\beta}=.31$), breastfeeding (${\beta}=.31$), and older age of baby (${\beta}=.14$), with 56.0% that explained variance. Conclusion: This study reports that parenting stress has negative effect on breastfeeding adaptation, while husband's support has positive effect. Results may be useful in developing new strategies for enhancing breastfeeding adap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erception and social skills in late adolescence

  • Si-Nae, Ah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1호
    • /
    • pp.262-268
    • /
    • 2023
  •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age or gender affects visual perception and social skills in late adolescence. A study on the relevance of visual perception in late adolescence, a period that requires social adapt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social functions, is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erception and social skills in adolescence. Visual perception and social skill were evaluated for 18-24-year-olds, who are in late adolescence, and were analyzed for gender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with chronological age.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visual perceptual function according to gender in late adolescence,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kills according to gender.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ronological age and visual perception,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social skills. These findings provide novel information regarding the developmental course of visual perception and social skill in late adolescence.

외국인 배우자의 지위와 사회적 자본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ign Wife Status and Social Capital on Fertility)

  • 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31권3호
    • /
    • pp.1-26
    • /
    • 2008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외국인 아내의 지위와 사회적 자본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을 중국, 베트남과 일본으로부터의 혼인이주자들을 대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소수집단의 지위와 이들이 지닌 사회적 자본이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변수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출산력에 독립적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주장을 검증하는데 분석의 초점이 맞추어졌다. 외국인 아내의 출산력 수준과 속도는 그들이 지닌 사회적으로 불리한 여건과 이주 후의 적응 수준을 반영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아내와 한국인 아내의 출산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두 인구학적 조사의 원자료가 활용되었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아내들이 한국인 아내들에 비해 자녀수가 적다는 것을 확인해준다. 출산간격 역시 한국인 아내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국인 아내의 사회적 자본이 클수록 출산행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주 후 현지 사회에의 통합과 동화의 수준이 높은 외국인 아내들 역시 상대적으로 자녀수가 많은 경향이 발견되었다.

CampusQual 평가모델을 활용한 외국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 조사 - 중국 청화대학교의 한국유학생들을 중심으로 - (CampusQual: A Model of Measuring Foreign Students' Campus Adaptation Level in China - A case study of Korean Students in Tsinghua University -)

  • 구진유;위성광;이수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11-527
    • /
    • 2015
  • 본 연구는 기존의 ServQual 평가모델을 기초로 대학 캠퍼스에 적용가능한 CampusQual 평가모델을 개발하여 중국 칭화대학교에 재학 중인 한국 학생을 대상으로 교내 학습, 정보활용과 대학생활 등에 적응도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 평가모델에는 인구통계학적 변인, 학습과 정보활용, 교내생활적응, 시설환경, 사회교류관계, 관련된 학교제도와 규정을 포함하는 총 5개 분야 30개의 변인들에 대한 설문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만족도, 요구도, 적응도로 구분되는 평가결과는 CampusQual 평가모델에서 제시한 수식으로 계산하였다.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한국 유학생이 칭화대학교에서 학업과 생활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해 나가는데 필요한 새로운 캠퍼스 서비스 방안을 제시한다.

영아의 어머니 및 교사에 대한 애착 안정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ant's Attachment to Mother and Teacher on Adaptation to Child Care)

  • 김영숙;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229-249
    • /
    • 2013
  • 본 연구는 만 1, 2세 영아를 대상으로 어머니-영아 애착안정성과 교사-영아 애착안정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시에 소재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1, 2세 영아의 어머니 100명과 담임교사 36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 수준은 이원변량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차원인 사회적 관계 및 긍정적 감정의 경우 교사와 영아 간 애착안정성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어머니와의 애착이 불안정하더라도 교사에 대한 안정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경우 그렇지 않은 영아보다 어린이집에서의 사회적 관계 적응 및 긍정적 감정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격적 행동에 있어서 어머니와 영아의 애착안정성의 주효과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나, 어머니와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경우 교사와의 안정애착 형성 여부에 상관없이 어린이집에서의 공격적 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자녀 양육경험 인식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Parent'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Family Adapt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

  • 김수정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79-101
    • /
    • 2013
  • 이 연구는 강점관점에서 장애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 인식과 임파워먼트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의 장애자녀를 둔 부모 18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장애자녀 및 가족의 일반적 특성과 양육부담을 통제하면서 장애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 인식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임파워먼트가 매개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들은 장애자녀의 양육경험을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장애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 인식과 임파워먼트는 가족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인식이 임파워먼트 보다 가족적응을 더 잘 예측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임파워먼트는 부모의 긍정적 인식과 가족적응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동 가족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 연구한계와 함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지역사회SES, 부모양육태도, 아동의 학교적응과 공격성 (Community SES,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 school adaptation and aggression)

  • 정소희;권유경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3호
    • /
    • pp.379-402
    • /
    • 2010
  • 본 연구는 지역사회SES에 따라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학교적응 및 공격성에 차이가 있는지, 또 지역사회SES는 부모양육태도를 통제한 후에도 학교적응 및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지역사회SES는 대구시 30세 이상 인구대비 대학교 이상(수료 및 중퇴 포함) 재학 및 졸업자 비율을 기준으로 상, 중, 하 세 가지로 나누었고 연구대상은 이 세 지역의 초등학생 4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지역사회SES에 따라 민주적 양육태도와 허용적 양육태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SES가 중간 이상인 지역의 학생들이 학교에 더 잘 적응하며, 공격성의 정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SES에 따른 학교적응과 공격성의 차이는 부모양육태도를 통제하고서도 여전히 나타남으로써 지역사회SES가 가족효과를 넘어 아동에게 독립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교결석 청소년의 학교적응 유형과 예측요인 검증 (Identifying Latent Profiles in School Adaptation of School Absentee Adolescents and Testing the Effects of Predictive Variables)

  • 김동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3호
    • /
    • pp.5-28
    • /
    • 2014
  • 본 연구는 학교결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적응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개인, 가족, 또래 및 지역사회의 다양한 차원에서 살펴보고, 유형별 비행행동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학교결석 중학생 477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고, 분류된 유형별 예측요인과 비행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저적응, 중적응, 고적응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별 예측요인과 비행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학교결석 청소년이 다양하고 이질적인 집단으로 구성되었으며, 이것이 발달결과에 중요한 차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증명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문제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 학교결석 청소년에 대한 차별화된 개입의 중요성을 제언하였다.

  • PDF

남한에서 조선족 직장여성의 문화적응 (The Cultural Adaptation of Korean-Chinese Working Women to South Korea)

  • 박준성;허성호;전미연;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1호
    • /
    • pp.21-43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조선족 여성이 직장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이나 갈등 그리고 그것에 대한 대처유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 및 인근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족 여성에서(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한국사회에서의 적응과 관련하여 면담을 하였다(평균 연령 = 34, SD = 9.25, 평균 한국거주 = 4년, SD = 2.24). 이 내용을 질적 연구방법 중, Giorgi(1985)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통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225개의 응답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23개의 하위범주와 9개의 상위범주를 구성하였다. 문화적 차이와 적응상의 어려움들에는 정체성과 언어적 의사소통, 정치경제적, 관계적 및 성적 측면이 있었다. 그리고 조선적 여성이 한국사회에서 대처하는 방법 중에는 순응형, 도구형, 도피형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사회에서 직장 내 조선족 여성의 적응에 필요한 개인적 및 사회적 차원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