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accountability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4초

사회복지실천의 효율성 증대방안 모색을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숨은 규칙' (implicit rules) 찾기 (Identifying Implicit Rules in Social Work Agencies for the Exploration of Measures to Promote Efficiency of Social Work Practice)

  • 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6권
    • /
    • pp.236-262
    • /
    • 2001
  • This discovery-oriented study explored 31 social workers' perceptions of discrepancies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rules in their work places that are supposed to affect the quality of social work services, and identified eight categories of dilemmas: (a) confused accountability or purpose, (b) ambiguous principle, (c) improper authority, (d) confused role of social workers, (e) conflict between ideal and reality, (f) confused work ethics, (g) confused boundary of workers' rights, and (h) binds. These eight categories revealed the real philosophy and purposes of social work agencies, work ethics and values prevalent among social work agencies, agencies' orientation toward clients, and the conditions of social support from the society in large. Instead of searching for discrete variables as separately responsible for inefficient social work services, this approach probed malfunctioning implicit rules in a holistic context to see if inefficient or ineffective provision of social work services is a logical response to a much larger and deeper nexus. Insight into discrepant rules does not solely ensure the improvement of social work practice in the field, particularly if their identification is simply used as another opportunity to blame and avoid self-responsibility. However, such discrepancies between implicit and explicit rules are real enough to the staff workers and agency administrators that they may want to begin the dialogue of contradictory rules as a way of sanctioning discussion of previously forbidden topics. This study provided the ground-work for the dialogue.

  • PDF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신자유주의적 성과주의 역설: 사회복지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Paradox of Meritocracy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the Neoliberalism)

  • 이인숙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1호
    • /
    • pp.239-275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나타난 신자유주의적 성과주의 요구에 대해 사회복지사들이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는가를 탐구함으로써 이들 경험의 본질적 주제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사회복지사 18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Colaizzi(1978)가 제안한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총 4개의 본질적 주제로 통합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효과성과 효율성에 기반 한 의미 있는 성과 아닌 '실속 없는 형식적 성과' 만들기에 매몰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클라이언트는 실적의 도구가 되고, 현장과의 접촉점이 상실되며, 서비스의 질적 저하와 기관 간 연계가 약화되는 '본연의 실천 가치에 역행하는 실천의 재조직화'로 나타난다. 또한, 성과주의가 의도했던 책임성의 구현은 외부에서 의해 부여된 성과기준에 매몰되어 성과가 불명확한 도전은 포기하게 되는 '재량권 없는 경직된 책임성'만 남게 되었다. 실속 없는 형식적 성과 만들기에 몰두하는 동안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가치와 특수성을 담아내지 못하고 실천가의 자부심을 상실하는 '사회복지 정체성 침식'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과주의의 본래 목적이 전치된 성과주의의 역설과 실패로 귀결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정책 방향을 제시 하였다.

나노기술에 있어서의 위험과 위험인지 (Risk and Risk Perception of Nanotechnology)

  • 이상욱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53-459
    • /
    • 2010
  • 나노기술은 현재 대부분의 연구 및 산업 선진국에서 미래의 가장 영향력 있는 기술로 간주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여러 나라의 정부는 미래의 기술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 나노기술 연구에 상당한 인적, 물적, 자원을 투여하고 있다. 그러므로 나노기술 연구는 다른 곳에 쓰일 수도 있었을 공적자원의 사용과 관련된 책무성을 요구받는 분야가 된다. 저자는 나노기술 연구의 책무성을 적절하게 지켜내기 위해서는 위험만이 아니라 시민의 위험인지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흔히 위험인지는 객관적 확률로 주어지는 위험에 비해 사람에 따라 달라지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극단적으로 양분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근거에서 기술연구 정책에서 정당한 고려사항이 될 수 없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저자는 위험인지가 대중이 특정 방향으로 행동하게 만들 수 있다는 의미에서 유효하고, 많은 사람이 공유한다는 의미에서 상호주관적이며, 민주주의 사회에서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고려대상으로서의 정당성을 획득한다고 주장한다.

한국의 의사상: 좋은 의사양성 (The Future Roles of Korean Doctors: Cultivating Well-Rounded Doctors)

  • 안덕선
    • 의학교육논단
    • /
    • 제16권3호
    • /
    • pp.119-125
    • /
    • 2014
  • Much of the behavior of doctors reflects the influences from the social, cultural, historical, and economic environment of the tim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future doctors to understand the practice environment in an ever changing world. Traditionally, doctors' competence has been based on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However, the social practice of medicine in the contemporary era asks future doctors to have social competencies, which often are defined as non-clinical competencies. As a global project,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has urged every country to define the future role of doctors to encompass global roles based on the duty toward and value of clinical as well as non-clinical competencies. In the past four years, Korean medical professional societies have coordinated to set forth the global role of Korean doctors. Five domains of clinical competence, professionalism, social accountability,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nd education and research have been chosen. The current version of the "global role of Korean doctors" can be used not only for the common objectives of medical education, but also for translating into the competencies of doctors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life-long learning. If we all want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in order to produce more qualified and competent doctors as the public desires, then it may be the most urgent task to produce doctors who are equipped with social competencies to persuade, negotiate, and engage in constructive dialogues with society for better health care for a better society.

신노동당의 연계정부(joined-up government)와 사회서비스 개혁 (New Labour's Joined-Up Government and Social Service Reform)

  • 임상헌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3호
    • /
    • pp.131-150
    • /
    • 2018
  • 정책 분야들이 넓어지고 복잡해지면서 정책 조정은 행정의 도전이 되고 있다. 신노동당의 연계정부(joined-up government)는 사회서비스 공급에 있어 정부의 분절화를 개선하기 위한 종합적인 접근법이었다. 신노동당은 총리실과 내각부 등 정부의 핵심기관과 민관협력분야에 연계기관들을 두어 정부부처 간, 그리고 민관 간 연계된 활동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연계정부는 행정체계를 더욱 수직적으로 만들고, 분절화시키며, 책임소재를 불분명하게 하였다는 비판을 받았다. 영국의 연계정부의 경험은 부처 간, 중앙과 지방 간, 그리고 민관 간의 정책 조정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한국에 함의를 줄 것이라 기대한다.

사람과 사회 중심의 기본의학 학습성과 (Human and Society-Centered Learning Outcomes in Basic Medical Education)

  • 김대현
    • 의학교육논단
    • /
    • 제18권3호
    • /
    • pp.150-155
    • /
    • 2016
  • Learning objectives for human and society-centered basic medical education to improve physicians' ability to practice in a Korean context were develop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in 2015-2016. The task-force committee identified eight domains for medical practitioners: human illness, reflection and self-improvement, patient safety,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medical ethics, legal issues, social accountability, and professionalism. A total of 172 enabling learning outcomes and 42 terminal learning outcomes were identified by the workshop. The workshop members were representatives from 41 medical schools,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and a scientific group (medical ethics, legal issues, and medical communication). The curriculum for "medical humanity and social medicine" was first published in 2007. The human and society-centered learning objectives that were developed will be revised annually.

Mainstreaming of Health Equity in Infectious Disease Control Polic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 Choi, Hongjo;Kim, Seong-Yi;Kim, Jung-Woo;Park, Yukyung;Kim, Myoung-He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4권1호
    • /
    • pp.1-7
    • /
    • 2021
  • The Korean government's strategy to combat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has focused on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such as social distancing and wearing masks, along with testing, tracing, and treatment; overall, its performance has been relatively good compared to that of many other countries heavily affected by COVID-19.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health equity in measures to control the COVID-19 pandemic.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unequal impacts of COVID-19 across socioeconomic groups and to suggest potential solutions to tackle these inequalities. The pathways linking social determinants and health could be entry points to tackle the unequal consequences of this public health emergency. It is crucial for infectious disease policy to consider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ncluding poor housing, precarious working conditions, disrupted healthcare services, and suspension of social services. Moreover, the high levels of uncertainty and complexity inherent in this public health emergency, as well as the health and socioeconomic inequalities caused by the pandemic, underscore the need for good governance other than top-down measures by the government. We emphasize that a people-centered perspective is a key approach during the pandemic era. Mutual trust between the state and civil society, strong accountability of the government, and civic participation are essential components of cooperative disaster governance.

국제보건의료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방향성 고찰 (A Study on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Global Health Education in Korea)

  • 오승민
    • 의학교육논단
    • /
    • 제15권2호
    • /
    • pp.93-99
    • /
    • 2013
  • As a result of the globalization of diseases and the delivery of health care, physicians today are required to understand global health (GH) including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health inequities, and effective medical aid. Interest in GH among medical students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To meet these needs and to reflect an increasing focus on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education, global health education (GHE) programs have already been well-established, particularly in North America. Korea's official developmental aid (ODA) volume almost tripled from 2006 to 2011. Korea has committed to double its ODA/gross national income ratio over the next three years. With these increases, interest in GH among medical student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Despite significant interest among medical students, GHE programs have not been properly established in Korea. To develop GHE programs in Korea, proposed GHE curriculum frameworks were reviewed and core values, guiding principles, and GH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in the context of the current literature. To identify key themes essential to the development of GHE programs in Korea, the curriculum frameworks should be focused on a global context and should be taugh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causes of ill health.

우리나라 공공기관 행정감시자의 정보추구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formation Seeking Conducted by Surveillants Against the Public Sector Organizations in Korea)

  • 임진희;이준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9-276
    • /
    • 2009
  • 이 연구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행정감시자들이 국정감사와 정보공개 청구 등의 설명책임 메커니즘을 통해 공공정보를 추구하는 절차와 그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기관에 대해 직업적으로 행정감시 활동을 수행하는 국회의원 보좌관,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언론 기획탐사보도팀의 전문리서처 등의 정보추구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심층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근거이론 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여 행정감시자들의 공공정보 추구절차를 정의하였으며, 추구과정에 연관된 56개의 개념, 17개의 범주, 6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한 후 각 범주들이 추구과정에 미치는 영향의 범위에 따라 배경요인, 상황요인, 절차 상의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다뤄지지 않았던 행정감시자의 정보행동모형을 구성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공헌이 있으며, 행정감시자의 공공정보 추구과정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양상을 질적 자료를 통해 의미있는 개념을 범주화했다는 점에서 방법론적 의의가 있으며, 행정감시자 집단에게 공공정보 추구 전략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공기관에게 행정감시자들의 정보요청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요건의 기초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공헌이 있다.

글로벌 시대의 기술혁신과 리스크 거버넌스를 위한 의사결정구조의 변화 (Local and global governance of emerging technologies and risk)

  • 서지현;원동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3-187
    • /
    • 2007
  • 고도의 지식 기반사회인 현대사회에서 과학적 지식과 기술 혁신은 개인과 사회, 그리고 국가의 경제 발전과 경쟁력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서 자리매김해 왔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줄기세포연구, 유전자조작기술 등 기술혁신에 따른 잠재적 위험성은 사회적 불안 및 갈등요소로도 작용하고 있다. 기술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사회가 다원화하면서 과학기술정책의 의사결정과정도 기존의 톱다운 방식인 '거버먼트(Government)'에서 점차적으로 '거버넌스(Governance)로 옮겨가고 있다. 다양한 사회 구성원의 참여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거버넌스는 복잡한 사회 현상들에 대한 다원적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본고에서는 거버넌스, 특히 기술혁신과 관련된 리스크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지식을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모델을 살펴보고, 글로벌 시대에 과학기술과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