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Service Workers

검색결과 446건 처리시간 0.029초

취약계층 아동집단의 비만예방을 위한 생태학적 요인과 해결전략 탐색: 지역사회 기반 참여연구 기반으로 (Ecological Factors and Strategies for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Targeting Vulnerable Children: Using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 박수연;추진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56-26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cological factors and strategies for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targeting vulnerable children using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BPR) methodology. Methods: The CBPR was conducted by following basic process steps. Participants were 12 community stakeholders such as community child center directors (n=4), vulnerable children's mothers (n=3), community health center officials (n=2), and lay health advisors (n=4); they were purposively sampled from K municipal county in Seoul, South Korea.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main themes of the ecological factors and strategies by using data obtained from 5 times of focus group interview. Results: Twelve ec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were identified: Intrapersonal factors including emotional overeating; interpersonal factors including permissive parenting style of children's eating behaviors; organizational factors including social workers' less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community/policy factors including less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Four ecological strategies for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were addressed: Developing obesity prevention programs targeting vulnerable children' lifestyles; promoting parents' active participation in education; building healthy meal service environments through empowering social workers; and building supportive community environment and securing community resources for child obesity prevention. Conclusion: Our findings may be informative in terms of provid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multi-level ecological barriers against vulnerable children' obesity prevention and, moreover, guiding multi-level strategies for preventing childhood obesity targeting children enrolled in community child centers.

서비스요인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급식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Service Factor is Effect on Revisiting for Old People : Centering around Mediator Effect for Feeding Satisfaction)

  • 김윤희;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2호
    • /
    • pp.59-67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시 Y구의 노인복지관 및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경로식당의 서비스요인(위생상태, 종사자, 편리성, 음식, 접근성, 환경, 사회적 관계)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 과정에서 급식만족도가 갖는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로식당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으로, 총 310명이 최종 유효표본으로 적용되었다. 분석은 SPSS 19.0을 활용하였고, 연구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임대주택/기타, 서비스요인의 모든 요인이 급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서비스요인, 급식만족도와 재이용의도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학력, 서비스요인 중 모든 요인이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서비스요인과 재이용의도의 관계에 있어 급식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서비스요인 중 종사자와 급식만족도가 재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로식당 서비스의 질적 제고 및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각 지자체의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 노력이 요구되며, 나아가 급식환경 개선을 위한 다각적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그룹홈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청년기 발달장애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노승현;김정석
    • 재활복지
    • /
    • 제22권3호
    • /
    • pp.69-91
    • /
    • 2018
  • 본 연구는 그룹홈 거주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그룹홈 종사자들의 대리응답조사와 발달장애인 당사자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87명의 자료가 확보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청년기 발달장애인들의 생활만족도는 직원 직무수행 수준이 높을수록, 지역사회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중고령 발달장애인들의 생활만족도는 활동피로감 수준이 낮을수록, 이용자 선택 수준이 높을수록, 직원 직무수행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활동 참여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그룹홈의 직원직무수행은 청년기와 중고령기에 공통적으로 유의하지만, 활동피로감, 이용자 선택, 사회활동 참여 등은 중고령기에만 유의한 것으로 정리된다. 이상의 결과는 그룹홈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해서는 다른 연령층에 대비되는 이들의 차별적 욕구를 고려한 특화 건강지원, 사회활동지원, 서비스 공급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그룹홈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견해에 기초한 생활만족도를 증진하려는 노력과 그 맥을 같이한다. 본 연구는 향후 조기노화의 위험이 높은 다운증후군장애인, 뇌성마비 및 지적 중복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이들의 차별적 욕구와 현황을 살피려는 연구로 확장되기를 제언한다.

아동·청소년 학생치과주치의 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a child·adolescent dental care service)

  • 곽선희;신보미;신선정;이효진;배수명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1-453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projects targeted to dental workers in a child-adolescent dental care service. Methods: The subjects were 40 dentists, 43 dental hygienists, and 51 others who participated in service in Seoul.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ddres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the project.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Results: Oral examination was performed by 99.2% of dentists, and some service items such as professional tooth cleaning, fluoride application, and scaling were performed by dental auxiliary personnel regardless of legal duties. The problem was that the subjects took a lot of time in providing services, and students or guardian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refused to receive preventive dental services. As regards improvements, the insurance fee was the highest (48.1%), followed by the provision of regular services (38.8%), and system improvement and administrative support (35.7%). Conclusions: To activate a child-adolescent dental care service, it is thought that continuous efforts such as providing financial support by the government, education to increase participants' understanding, and social consensus for the participation of service providers and beneficiaries are required.

근로자의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Levels by Type of Employee)

  • 김영흥;나승일;김지현;박용진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1호
    • /
    • pp.101-118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고용형태(정규직 및 비정규직)별 효과크기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메타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총95편이었다. 자료 분석은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5%(${\alpha}=0.05$)이었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직 근로자가 비정규직 근로자 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으며, 고용형태의 효과크기는 중간 정도이다. 둘째, 5가지 직무만족도 구인 중에서 임금 및 승진 만족도의 차이가 인간관계, 업무 및 근로환경 만족도의 차이보다 크다. 셋째, 정규직 및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차이는 직업군에 따라 다르다. 넷째, 금융 보험, 음식 서비스 관련 직업군은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가 크며, 정규직 근로자가 비정규직 근로자보다 직무만족도가 높다. 반면, 보건 의료, 사회복지 종교 관련 직업군은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 보다 직무만족도가 높다.

Influencing Women's Actions on Cervical Cancer Screening and Treatment in Karawang District, Indonesia

  • Kim, Young-Mi;Ati, Abigael;Kols, Adrienne;Lambe, Fransisca Maria;Soetikno, Djoko;Wysong, Megan;Tergas, Ana Isabel;Rajbhandari, Presha;Lu, Enriquit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6호
    • /
    • pp.2913-2921
    • /
    • 2012
  • Introduction: The impact of cervical cancer prevention programs depends on persuading women to go for screening and, if needed, treatment. As part of an evaluation of a pilot project in Indonesia,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women's decisions regarding screening and treatment and to generate practical recommendations to increase service coverage and reduce loss to follow up. Methods: Research was conducted at 7 of the 17 public health centers in Karawang District that implemented the pilot project. Interviews and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held with 20 women, 20 husbands, 10 doctors, 18 midwives, 3 district health officials, and 16 advocacy team members. Results: Free services and mobile outreach events encouraged women to go for screening, along with promotional efforts by community health workers, advocacy teams, and the mass media. Knowledge and perceptions were the most important barriers to screening: women were not aware of cervical cancer risks, did not know the disease was treatable, and were fatalistic. Factors facilitating treatment were social support from husbands, relatives, and friends and the encouragement and role modeling of health workers. Barriers to prompt treatment included limited access to services and the requirement for husband's consent for cryotherapy. Conclusion: As cervical cancer prevention services are scaled up throughout Indonesia, the findings suggest three strategies to expand screening coverage and ensure prompt treatment: strengthening community mobilization and advocacy activities, modifying the service delivery model to encourage a single visit approach to screening and treatment, and working to gain men's support.

근로자들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공공 데이터베이스와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중심으로 (Empirical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Domestic Workers' Turnover Intention: Emphasis on Public Database and Decision Tree Method)

  • 고건우;조현진;이건창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41-58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 공공디비 자료에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적용하여 근로자들이 이직을 하려고 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근로자들의 고용유지 강화방안을 제시한다. 분석대상은 근속기간이 4개월 이상으로 수습 기간이 지난 정규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분석목표는 해당 근로자들의 이직준비 여부에 영향을 주는 의사결정 규칙을 도출하는 것으로 하였다. 타겟 분석 데이터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발간된 수집한 「2017년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교육수준과 일의 수준의 일치 정도', '개인 발전 가능성', '직무 관련 교육 및 훈련', '승진 제도', '임금 및 소득', '일자리에 대한 사회적 평판', '고용 안정성' 등이 이직준비 여부에 영향을 주는 주요요인으로 나타났다.

교정전문가 및 교정상담자가 인식하는 출소자의 사회재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Readjustment Experience of Ex-Offenders Based on Perceptions of Correctional Professionals and Correctional Counselors)

  • 이동훈;조은정;양순정;양하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303-319
    • /
    • 2017
  • 본 연구는 교정전문가 및 상담자의 인식을 통해 출소자의 사회재적응 경험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범죄학 교수, 판사, 교정시설 종사자 등 교정전문가와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의 교정 상담자, 총 18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2003)가 제안한 내용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출소자들의 사회재적응 경험과 관련하여 '교육', '심리치료', '취업 및 구직활동', '봉사 문화 여가 활동', '사회 국가적 지원'의 5개 영역에서 보호요인, 장애요인, 정책제언의 요소를 15개의 차원과 36개의 범주, 77개의 의미단위로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논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가정폭력 피해 장애인의 외부도움요청 영향 요인 (Factors on Help-seeking Behaviors among the Disabled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 김재엽;이민경;박지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5호
    • /
    • pp.109-123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n help-seeking behaviors among the disabled experiencing lifelong domestic violence and suggest practical plans to address the problem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data of the "2010 Domestic Violence Survey of South Korea", the occurrence rate of lifelong physical violence is 12.1% and that of severe physical violence is 6.2% among 273 adults with disabilities. The rate of help-seeking among the disabled experiencing lifelong domestic violence is 26.3%, which means two-thirds of the disabled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do so for a long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experience of severe physical violence(p<.05), attitudes toward violence(p<.05), and awareness of domestic violence and related laws(p<.05)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help-seeking behaviors among adults with disabilities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However, an accepting attitude of disability and social connections of disabled were not found to have an impact on help-seeking behavior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raising awareness about domestic violence among the disabled, educa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not to tolerate violence and informing them about the domestic violence-related legal system, and training service professionals (social workers, health professionals etc.) to screen the disabled for domestic violence and prevent them from becoming domestic violence victims.

사례관리자들의 실천경험 연구 - 질적사례연구 방법 접근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care managers - Approach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

  • 김영숙;임효연;신소라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89-122
    • /
    • 2009
  •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사례관리자들의 직무세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그들이 수행하는 사례관리 직무의 빈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직무군의 유형과 그 이유,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직무의 유형과 그 이유를 질적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사례관리 직무범주는 데이컴 방법으로 도출했으며 도출된 9개의 직무영역을 사례관리 수행빈도, 중요도, 난이도로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사례관리를 주 업무로 하는 3년 이상의 사회복지사 10명이 세평적사례선택을 통해 선택되었으며 자료분석은 매몰된 분석(embedded analysis) 유형을 따라 이루어졌다. 연구결과에 대한 함의에서 연구자들은 본 연구 참여자들의 사례관리실천 경험을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와 제도적 압력 사이에서 긴장을 유지하며 균형점을 찾는 과정"으로 기술했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지역사회복지네트워크 구성, 사례관리자들의 직무권한을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 균형과 상향평준화를 위한 표준매뉴얼의 개발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