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Overhead Capital facilitie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9초

부산시의 컨테이너세 징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ainer Tax Collection of Busan City)

  • 김공원;곽규석;김근섭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1-30
    • /
    • 2002
  • Busan Port which is the representative social overhead capital facilities for international trade of goods has been the driving force for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Therefore,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play the major role in building a rear road to Busan Port in order that it may function as a mojor port of Northeastern Asia through the systemization of mutual assistance among connected facilities, completely equipped with port-related facilities befitting to the principal port of imports and exports. In this study, the validity of container tax is being examined, analyzing container tax which Is considered as an obstacle to the development of Busan Port and its purpose, and grasping the present conditions by the realistic speculation on container tax issues and its abolition. First, the port rear road as a social overhead capital facilities, which connects port and expressway, should be considered as part of port, and port is social overhead capital invested by government. Second, the susan City imposes on container tax. As a result, a shipper and a shipping company are paying a double charge by paying container tax with port dues. Third, someone argues that port rear road is constructed as container truck generates much traffic, but it is unreasonable to conclude that container truck is seed of traffic jam because according to traffic survey of Busan City, container truck occupies only 1.45% of total traffic Forth, it has bad influence upon the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as Northeastern logistics base, as other ports who are competing with Busan Port like Singapore. Hong kong, Kobe make their competitiveness strong by decreasing the cost of pore dues

  • PDF

부산시의 컨테이너세 징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ainer Tax Collection of Busan City)

  • 김공원;곽규석;김근섭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7-175
    • /
    • 2002
  • 부산항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사회간접자본시설로서 국가경제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므로 항만관련시설들의 상호 보완적인 시스템화를 통하여 부산항을 세계 제일의 물류기지로 발전시켜 향후 동북아 물류중심항으로의 기능을 원만히 수행할 수 있도록 정부가 부산항 항만배후도로의 시설주체가 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부산항의 발전을 저해하는 컨테이너세의 문제점과 폐지에 관한 현실적인 접근을 통해 컨테이너세와 그 용도에 관한 분석 및 현황파악을 바탕으로 컨테이너세의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여 다름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항만에서 역외 고속도로까지를 연결하는 항만배후도로는 항만의 일부분이므로 정부가 시설투자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둘째, 컨데이너세를 징수함으로써 화주와 선사는 수출입 물류비와 함께 컨테이너세를 추가적으로 지불하여 상당한 비용적 부담을 안고 있다. 셋째, 공컨테이너 또는 환적컨테이너의 수출입 비중은 상당히 높아, 부산시 교통체증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부과대상에서 제외되고 있어 컨테이너세 부과대상의 형평성에 크게 어긋나고 있다. 넷째, 동북아 물류허브항만이 되기 위하여 중국, 대만, 일본의 경쟁항만들은 항만비용의 절감을 통해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있는 반면, 부산항은 컨테이너세라는 추가적인 세금을 부과함으로써 가격 경쟁력의 약화를 가져와 동북아 물류허브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한 전략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

학교시설 복합화를 위한 민자사업 방식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of Private Sector Investment for the Mixed-Use of School Facilities)

  • 이재국;오병욱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31-38
    • /
    • 2010
  • The use of school should not be limited to student education any longer but be extended for attaining social benefits. For this reason, school should play central roles not only in education but also in childcare, welfare, culture, physical education, etc. In order for school to accommodate various new functions, it is essential to promote the mixed-uses of school facilities, and this process requires the involvement of private capitals for early achievement of social benefits from school facilities. Thus,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necessity of the multiple uses of school facilities through the investment of private capitals, to diagnose the adequacy of build-transfer-lease (BTL) applied currently to the multiple uses of school facilities, and to find obstacles to the activation of private sector investment and suggest solutions for the obstacles. In particular, this study aimed at proposing plan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rivate sector investment and activate private sector investment projects by suggesting how to promote the multiple uses of school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profitability for private investors.

재정분권화가 사회간접자본 투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iscal Decentralization on Social Overhead Capital Investment)

  • 김용욱
    • 지역연구
    • /
    • 제34권1호
    • /
    • pp.19-30
    • /
    • 2018
  • 사회간접자본은 한 사회가 발전하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데 필수적 요소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사회간접자본을 얼마나 투자해야 하는가에 대한 기준은 명확하지 않으며, 투자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지방정부의 사회간접자본 투자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방정부의 권한이 충분히 보장되면, 지방정부는 주민이 원하는 지방공공재에 대한 투자를 늘린다. 그러한 주민 선호의 반영은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가져온다는 것이 분권화 정리의 핵심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재정을 통해 지방정부의 권한과 자율성을 측정하고 지방정부의 사회간접자본 투자에서도 분권화 정리에 따른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본다. 지방정부가 투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간접자본 시설(도로, 상하수도, 수리치수 시설) 투자에 대한 재원별 탄력성을 추정한 결과 특별 광역시와 그에 속한 기초지자체의 의사결정과 도와 도에 속한 기초지자체의 의사결정은 서로 달랐다. 이러한 차이는 1인당 지방세가 투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장 명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정부가 주어진 상황에 따라 사회간접자본 투자를 달리하며 투자 결정에 있어 주민 선호를 반영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사회간접자본 투자에 대한 지방정부의 역할이 커질 때, 자원배분의 효율성이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지방정부의 역할 증대는 중앙정부의 재정지원 보다 지방정부의 세입 세출 자율성을 동시에 보장하는 방식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Geological Safety Evaluation and Monitoring of Nuclear Facility Sites in South Korea

  • Lee, Hyunwoo;Woo, Hyeon Dong;Chun, Hyun Ju;Im, Chang-Bock
    • 지질공학
    • /
    • 제24권4호
    • /
    • pp.609-613
    • /
    • 2014
  • The Korean Peninsula, located at the southeastern tip of the Eurasian Plate, is known to be tectonically stable, and no critical evidence has yet been found that would override the safety design of nuclear facilities in South Korea. Because a nuclear power plant, like other major social overhead capital facilities, could cause great damage to both the environment and society through an unexpected tectonic event, even one of extremely low probability, like the Fukushima accident, a defense-in-depth safety approach is required in geological and geotechnical site safety evaluation for nuclear projects. This paper introduces the regulatory procedures that are in place to confirm nuclear site safety and site monitoring (e.g., earthquakes and groundwater) systems applied to nuclear facilities in order to reduce inherent uncertainties within the site safety review of geological and seismological issues related with a NPP project.

교육 시설 생활인프라 특성을 고려한 지역 프로파일링 연구 - 서울시 광진구 중심으로 - (Regional Profiling by Considering Educational Facilities - Centered on Gwangjin-gu, Seoul -)

  • 강우석;이희정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3-10
    • /
    • 2019
  • This study has a purpose to profile local sectors into meaningful groups by using facilities rates of Social Overhead Capital(SOC) for daily life. Comparing SOC for daily life among the meaningful groups, the profiling and comparison results bring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the educational facilities in local sectors. For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utilized Latent Profile Analysis(LPA) by using variables such as population, road information, SOC for daily life, usage of land, possession of land, and appraised value of land from the 2018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dataset of Gwangjin-gu, where is on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Seoul City.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four latent groups of sectors among 904 local sectors(100 squared-meters sector per each) in Gwangjin-gu. By comparing the four latent groups by using LPA, the results diagnose each sector's status and help to improve the policy about educational facilities. Specifically, by using dataset for SOC of daily life, there are four groups of local sectors and each group has different features. Based on the different features of local sector groups, there can be improved manage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 matching with each group's features.

산지 지형 및 특성을 고려한 임도밀도 산정 (Computations of Forest Road Density considering for Forest Terrain and Characteristics)

  • 정도현;차두송;박종민;이준우;지병윤;전권석;김종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68-177
    • /
    • 2005
  •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이고 경제적인 녹색임도 건설에 기초 정책자료를 제공하고자 우리나라의 산지지형 및 산림특성을 고려하여 임도밀도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효율적인 산림관리 및 보호를 도모하고 공익적 기능의 고도 발휘를 위한 사회간접자본(SOC) 개념에서의 기본임도밀도는 8.57 m/ha로 나타났으며, 또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산림경영기반시설 개념에서의 적정임도밀도는 14.01 m/ha로 산출되었다.

SOC 민간투자사업의 CM 업무 수행구조 제안 (An Applicat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to Private Infrastructure Projects)

  • 박영민;김대영;조훈희;김수용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118-125
    • /
    • 2006
  • 정부는 재정 부담을 완화하면서 사회간접시설을 조기에 구축할 수 있는 SOC 민간투자사업 제도를 도입하여 적극 장려하고 있다. 민간투자사업의 비중은 2005년을 기준으로 전체 SOC 투자의 15%에 이를 만큼 크게 성장하였으며 이러한 성장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화려한 양적인 성장에 비해서 사업의 효율성, 생산성, 사업 규모의 적정성 등에 관한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간투자사업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민간투자사업에 CM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방안을 통하여 단기적으로는 SOC 민간투자사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CM 적용의 좋은 사례(best practice)로 건설 산업 전반에 CM이 도입되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

지중 정보 수집을 위한 개방형 USN 플랫폼 연구 (A Development of The Open USN Platform for Underground Information Collection)

  • 신준호;송병훈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9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141-142
    • /
    • 2009
  • Due to recent extreme weather, the information of the reliability for the nation's major social overhead capital (SOC) is emerging as a major issue. So the real-time monitoring of the underground state has become a very important. This paper is about a open USN platform for the underground information collection. Various sensors to collect information for the underground is used. The interface and the power of each sensor may vary. In order to solve the interface and power problem, this paper refer to the open interface, the network required for an open platform and the energy problem.

  • PDF

지방자치단체에 BIM/GIS 통합 플랫폼 적용을 위한 SOC 시설물 우선순위 선정방안 (Prioritizing SOC Facilities for Applying BIM/GIS Integrating Platform to Local Governments)

  • 윤준희;이우식;최현상;강태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5호
    • /
    • pp.7-14
    • /
    • 2013
  • 최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계획부터 유지관리까지 SOC 시설물의 전 생애주기 단계에 걸쳐 적용되고 있다. BIM이 시설물의 내부 공간 분석에 초점을 맞춘 도구인 반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시설물 간의 관계 분석에 주로 이용된다. 따라서 BIM 과 GIS를 통합한다면, SOC 시설물의 효과적인 정보관리와 다양한 해석이란 측면에서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지방자치단체에 BIM/GIS 통합플랫폼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SOC 시설물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방안을 다루고 있다. 첫째, 법에서 규정하는 시설물을 분석하고, 이 중 SOC 성격에 맞는 시설물을 설정한다. 둘째, 각 SOC 시설물에 대한 BIM/GIS 통합 플랫폼의 적용성 및 효용성을 분석한다. 적용성 및 효용성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UIS 관리대상 측면과 GIS 분석기능 측면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BIM/GIS 통합 플랫폼 적용을 위한 SOC 시설물의 우선순위를 선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