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Legitimacy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4초

국가간 거리가 해외자회사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미치는 영향: CAGE 관점에서 (The Effect of Cross National Distance on Foreign Subsidiari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CAGE Perspective)

  • 이양복
    • 무역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8
    • /
    • 2016
  • 본 논문은 해외시장에 진출한 현지자회사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국가간 거리(distance)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가간 거리는 Ghemawat(2001)의 CAGE (culture, administrative, geographic, economic) 개념을 적용하였다. 19개국 해외시장에 진출한 177개 한국기업의 자회사를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 첫째 문화적 거리감은 자회사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략적 CSR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관리적 거리는 자회사 사회적 책임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지리적 거리감은 사회적 책임활동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주었다. 넷째, 경제적 거리감은 자회사 사회적 책임활동과 부(-)의 관계를 갖으며 특히 반응적 CSR 활동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해외진입동기가 시장개척지향일수록 문화적 거리가 사회적 책임활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간 거리가 사회적 책임활동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일부 선행연구와는 상이한 결과로 이는 진출국가 및 표본의 특징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해외진출 자회사는 현지에서의 외국인비용 등으로 인한 위험을 극복하고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회적 책임활동을 전략적인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기업의 자회사를 대상으로 국제경영의 주요주제인 국가간 거리가 해외자회사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PDF

사회복지법인 운영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Regional Economic Effect of the Management Social Welfare Foundation - focused on Daegu Metropolitan City)

  • 채현탁;임우현;김영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375-383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복지법인이 설립 운영됨으로써 지역사회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산업연관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대구광역시 소재 사회복지법인 운영의 지역경제파급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총생산유발효과가 43,445억원, 총부가가치유발효과가 19,400억원, 총고용유발 효과가 37,411명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기관에 대한 소비지향적인 인식을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기관에서 제공하는 사회서비스와 연계한 고용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이를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별도의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기관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확대시킬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기관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지역사회로 적절히 홍보함으로써 사회서비스 제공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책임성을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김대중·노무현 정부 복지국가 성격에 관한 연구 : 국민건강보험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Nature of the Welfare State under the Kim Dae Jung and Roh Moo Hyun Regime: Focusing on Civic Participation in the Policy Decision Making Procedure fo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 이수연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1호
    • /
    • pp.31-54
    • /
    • 2011
  • 본 논문은 건강보험정책결정과정에서의 참여민주주의를 중심으로 김대중·노무현 정부 복지국가 성격을 연구하였다. 참여민주주의는 한국 민주주의의 질적 발전 보다는 외환위기 이후 자본주의 구조조정을 위한 정치적 정당성 확보 전략에 의해 도입되었다. 따라서 참여민주주의가 복지국가 발전의 한 지표인 보장성강화를 획득해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신자유주의적 이념 추구, 국가재정책임성 미약, 정책결정과정에 가입자의 실질적인 참여 배제로 2007년 보장성강화정책은 결국 실패로 돌아가게 되었다. 과거 복지제도와 마찬가지로 김대중·노무현 정부 참여민주주의제도도 정치적 정당성 확보를 위해 도입되었으나 경제성장우선이데올로기의 제약하에서 운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참여민주주의제도는 '서비스'가 아닌 '권력'형태의 제도라는 점, 참여민주주의제도로 인한 권력의 부여가 보장성 강화요구를 통해 복지국가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김대중·노무현 정부가 과거 복지국가와는 차별적이다.

제3자의 권력과 지위에 따른 사회적 배제행위에 대한 판단 (Influence of Power and Status on Social Exclusion)

  • 조준형;이형철;김신우
    • 감성과학
    • /
    • 제25권2호
    • /
    • pp.31-44
    • /
    • 2022
  • 권력과 지위는 사회계층을 구분하는 핵심 요소들로 사회적 상호작용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이 둘은 사회적 영향력의 기반이 된다는 공통점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원천에 의해 발생한다는 차이점을 보인다(Fragale et al., 2011). 권력은 주로 능력이나 법적, 제도적 정당성에 근거하지만 지위는 타인의 자발적인 지지에 근거한다. 따라서 권력자는 자기중심적으로 행위하지만, 지위를 가진 사람은 관계중심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Hasty & Maner, 2020). 사람들 또한 이러한 차이를 인식하여 권력과 지위에 따른 사람들의 행동에 대해 고정관념 혹은 기대를 가진다(Magee, 2009). 본 연구는 권력 혹은 지위의 중요한 사회적 영향인 사회적 배제 행위에 대한 판단이 행위자의 권력과 지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했다. 이를 위해 행위자의 권력, 지위, 익명성을 조작한 사회적 배제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참가자들에게 행위자의 고통과 행위 공정성을 평정하도록 요청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권력과 지위에 따라 행위자의 공정성과 고통이 달라질 것이라고 응답했으며(실험 1), 이는 앞서 언급한 고정관념과 일치하는 패턴을 보였다. 특히 권력이 낮을 때와 지위가 높을 때 익명성에 따른 효과가 유의미하게 달라졌으며(실험 2A, 2B) 이는 권력보다는 지위가 타인의 자발적인 지지에 근거한다는 주장에 대한 경험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동해 지리적 범위 사용 사례 및 정립 필요성 (Institutional definition instances and necessity of establishment about the geographical scope of the East Sea)

  • 김윤배;김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5호
    • /
    • pp.1380-1394
    • /
    • 2015
  • This paper deals with the geographical scope of the East Sea introduced by major domestic institutions. The East Sea surrounded by South Korea, North Korea, Russia, Japan has a variety of marine resources, and is the very appropriate natural laboratory to study future global changes as a miniature ocean. However, there is a continuous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over the name of the East Sea because of the nature of international waters. So we need the active research achievements based on the exact geographic knowledge of the East Sea to promote the legitimacy of the East Sea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evertheless each domestic institution has a different way to define the southern border of the East Sea so that it showed a difference about linear distance of up to about 44 km. Also, they have defined the scope of East Sea not as the entire East Sea surrounded by South Korea, North Korea, Russia and Japan but as the jurisdic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t caused serious confusion about accurate statistical knowledge about East Sea such as area, volume, and mean water depth. Therefore, clear social consensus about the geographical scope of the East Sea would be required, there is also the need to institutionalize a legal order to spread it.

럭셔리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하위문화 양상의 의미 분석 (Analysis of the Meaning of Subculture Aspects in Luxury Fashion Brands)

  • 한자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3-98
    • /
    • 2022
  •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culture aspects that led to the success of luxury brands and analyzed the implications of those aspects. For this, semantic analysis in a socio-cultural context was performed. Additionally, this study took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hange in subculture and post-subculture, the digital youth generation, and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subculture style into consideration. The subculture style aspect and its meaning in luxury fashion brands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challenges that betray the legitimacy or values of luxury brands. Through this, the brand gained recognition and increased sales, and the designer gained a reputation as an innovative creative director. It can be seen that more successful branding was promoted by securing a more subcultured fandom. Second, by combining subculture image fragments, these brands cater to the diverse tastes of a myriad of subcultures. This maximizes commercial profits. Third, most promotional marketing activities are collaborative and done digitally, which allows for a wider customer base, but the difference is in digital capabilities. Limited editions or application use on social networks can act as another driver. It is said that the distinction in high-priced luxury brands is not only driven by economic power but also by sub-cultural capital and digital ability.

The Impact of CSR Strategy of Affiliated Firm on Performance in the Emerging Markets: Resource-Based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 Cho, Youngsam
    • Journal of East Asia Management
    • /
    • 제3권2호
    • /
    • pp.1-19
    • /
    • 2022
  • This study suggests an integrated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risk and multinational corporation (MNC) subsidiary's performance in the emerging market. The political risk would have a negative impact on MNC subsidiary's performance in the emerging countries that are developing in Asia,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Africa, and South America. The major reason is that political risks could generate a loss of benefit or a loss of control for MNC's subsidiary. In this study, I suggest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strategy would be a solution to overcome various political risks. Specifically, the affiliated firms with diversified industries or greater financial resources could mitigate the negative impact of political risk than unaffiliated firms. Because they can use their tangible or nontangible asset such as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nstruction in order to gain legitimacy and trust from local government, local community, and local firms in the emerging market. Finally, I claimed the costs of the affiliated firms would exceed the benefits at the initial stages, while the benefits of affiliated firms would exceed the costs over time when political risks become higher. The reason is that the trust gained from local stakeholders accumulates over time and the impact of CSR strategy would become an important solution to overcome the risks in and unstable context.

A Case Study of Digital Transformation: Focusing on the Financial Sector in South Korea and Overseas

  • Eunchan Kim;Minjae Kim;Yeunwoong Kyung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2권3호
    • /
    • pp.537-563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doption and applic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financial sector and analyzes the process and outcomes of digitization and digitalization in the field of the finance industry of South Korea and overseas, in order to seek both managerial and strategic implication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future. The findings show that, for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it is necessary to maximize active and systematic use of advanced online and digital technologies that form the basis of business and create an open,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mmunication system to equally share and distribute advanced technologies and competencies through the entire organization. Furthermore, this study also discovers the legitimacy to concentrate the organizational competencies and know-how in providing technical training for members, expanding customer experience, and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service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creating and improving social and public infrastructures, instead of using digital transformation only to improve productivity of organizations or firms. As such,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corporate competencies in establishing and supplying digital transformation that is not just human-centered but also has productivity, innovativeness, and reliability at the same time.

사회적기업가정신 다차원 모형 및 프레임워크: 사회적기업의 협력지향성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Social Entrepreneurship Multidimensional Model and Framework: Focusing on the Cooperation Orientation of Social Enterprises)

  • 조한준;성창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2호
    • /
    • pp.1-20
    • /
    • 2023
  • 본 연구는 조직의 전략적 의사결정 및 행동경향으로 사회적기업의 고유한 기업가적 행동 속성을 식별하여 영리기업과 구별되는 사회적기업가정신 모형을 도출하고 이를 설명하는 사회적기업가정신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근거이론방법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련의 분석과정을 통하여 '사회적기업가정신: 사회적가치지향성;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협력지향성' 모형을 새롭게 제안하고 식별된 하위요인들 간의 관계성을 고찰하여 모형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사회적기업가정신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프레임워크는 사회적기업가정신을 '친사회적 동기(Pro-social motivation)', '친사회적 행동(Pro-social behavior)', '기업가적 행동(Entrepreneurial behavior)' 속성으로 구분하고 이를 사회적기업가정신 모형을 구성하는 각 하위요인들과 연결하여 설명하였다. 본 연구가 선행연구와 구별되는 가장 두드러진 차별성은 조직차원의 행동적 관점에서 사회적기업가정신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으로 '협력 지향성(Cooperation orientation)'을 식별하여 추가한 부분이다. 연구를 통해 사회적·경제적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회적기업의 독특한 특성인 하이브리디티(Hybridity)와 이로 인한 자원 제약 환경 속에서, 외부와의 협력을 통해 자원 제약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운영의 효율을 향상시키며, 조직의 친사회적 동기를 구체화하는 사회적기업의 주요한 행동경향인 '협력지향성'을 식별하였다. 협력지향성은 사회적 가치지향 활동과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가적 활동에서 동시에 발현되는 사회적기업의 차별적 행동경향으로, 친사회적 동기를 구체화하며 동시에 기업가적 영리활동을 수행하는 사회적기업의 이중정체성(Dual identity) 갈등 사이에서 기업 활동의 합법성을 강화하고 사회적 가치창출 활동의 성과를 향상시키며 기업 활동의 경제적 기반을 강화한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식별된 협력지향성은 선행연구를 보완하여 사회적기업가정신 이론의 설명력을 높이고 후속 연구자들에게 이론적 확장의 근거와 토대를 제공한다.

  • PDF

민주주의의 공고화와 복지국가의 발전 : 문민정부와 국민의 정부 비교 (Democratic Consolidation and Welfare State Development : A Comparison of the Kim Young Sam Government and the Kim Dae Jung Government)

  • 성경륭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6권
    • /
    • pp.145-177
    • /
    • 2001
  • This paper seeks to analyze how the welfare state has developed both in the Kim Young Sam government and in the Kim Dae Jung government. Among other things, the two governments share some similarities: compared to the previous authoritarian governments, both of them enjoyed a high level of democratic legitimacy; the two were under pressure to win the elections to acquire and remain in power; and finally, the two tried to strengthen welfare system. But there exist more critical differences. The Kim Dae Jung government was a minority government, while the Kim Young Sam government was a majority one. Compared to the latter one, the former came to power in an extremely bad economic condition. Fortunately, however, the Kim Dae Jung government was able to enjoy a relatively high level of state autonomy resulting from an exceptional situation of foreign currency crisis. In addition, it was more reformist in policy orientation and had a more open cooperative network with civil society. All these differences added up to produce remarkable differences with regard to the improvement in welfare development. Especially, it is noted that the Kim Dae Jung government was very successful in several respects: provision of national minimum, integration of national medical insurance, development of productive welfare system, and final1y increase in welfare spending. Recently, criticisms from the opposition party, the press, and middle and upper class people mount against the Kim Dae Jung government which has made significant mistakes in instituting the separation of medical and pharmaceutical businesses. However, the important improvements in welfare institutions and programs by the Kim Dae Jung government need to be maintained to deal with all the negative effects of a naked market economy. They must also be sustained to keep alive democracy that Korean people have fought for nearly half a centu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