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Nature of the Welfare State under the Kim Dae Jung and Roh Moo Hyun Regime: Focusing on Civic Participation in the Policy Decision Making Procedure fo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김대중·노무현 정부 복지국가 성격에 관한 연구 : 국민건강보험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0.08.24
  • Accepted : 2011.03.02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ature of the welfare state under the Kim Dae Jung and Roh Moo Hyun regime focusing on participatory democracy in the policy decision making procedure fo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Participatory democracy was introduced not for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Korean democracy but for securing political legitimacy to change the Korean economic structure after the IMF financial crisis. Although participatory democracy played the positive role in winning higher benefit level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an index for the development of the welfare state, in 2007 A policy of higher benefit level ended in failure because of the pursuit of the neoliberal ideology, lack of government's responsibility for public finance, and thwarting policy holders' substantial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Like those of past welfare systems, participatory democracy under the Kim Dae Jung and Roh Moo Hyun regime was introduced for securing political legitimacy. But it was managed under restrictions imposed by pro-economic-growth ideology. Nevertheless, the Kim Dae Jung and Roh Moo Hyun governments are different from the former welfare states because of the fact that participatory democracy system is not 'service' system but 'political structure' and the fact that the grant of powers by participatory democracy played positive roles in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e through request of higher benefit level policy.

본 논문은 건강보험정책결정과정에서의 참여민주주의를 중심으로 김대중·노무현 정부 복지국가 성격을 연구하였다. 참여민주주의는 한국 민주주의의 질적 발전 보다는 외환위기 이후 자본주의 구조조정을 위한 정치적 정당성 확보 전략에 의해 도입되었다. 따라서 참여민주주의가 복지국가 발전의 한 지표인 보장성강화를 획득해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신자유주의적 이념 추구, 국가재정책임성 미약, 정책결정과정에 가입자의 실질적인 참여 배제로 2007년 보장성강화정책은 결국 실패로 돌아가게 되었다. 과거 복지제도와 마찬가지로 김대중·노무현 정부 참여민주주의제도도 정치적 정당성 확보를 위해 도입되었으나 경제성장우선이데올로기의 제약하에서 운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참여민주주의제도는 '서비스'가 아닌 '권력'형태의 제도라는 점, 참여민주주의제도로 인한 권력의 부여가 보장성 강화요구를 통해 복지국가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김대중·노무현 정부가 과거 복지국가와는 차별적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세종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