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ontexts

검색결과 415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대학건축교육의 출발과 전개 (A Study on the Formation & Characteristics of Collegiate Education of Architecture in Korea from 1945 to 1961)

  • 류전희
    • 건축역사연구
    • /
    • 제2권1호
    • /
    • pp.91-112
    • /
    • 1993
  • This study aims to clarify a history and its external conditions of collegiate education of architecture in Korea from 1945 to 1961. To reveal the process of formation of architectural education of this period, my analysis is chiefly concerned with the organization and of its curriculum in terms of policies of Ministery of Education, especially focused in case of Dept. of Architectur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I attempted to describe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the structural conditions and results within and without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more general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s that pertained during those years, 8.15 Emancipation, Korean War, and Post-war Rehabilitation period. We may summarize them in part by saying the reception in Korea of the American influence was done through educational ideas, policies, systems, and various aid programs. The social raison d'etre of architectural education in Korea has been to produce technologically skilled man in the sense of engineer.

  • PDF

30대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에 대한 경제자원의 효과 (An effect of the financial resources on the willingness to marriage formation among the never married in their 30s)

  • 고선강;어성연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1호
    • /
    • pp.63-7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willingness to marriage initiation(WMI) among the never married in their 30s. In particular, we examine the effect of financial resources on the WMI. A data set from the National Survey of Marriage and Childbirth (2009 Wave) were analyzed. We find that the effect of financial resources on the WMI are different by gender. Home ownership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men, but not in the model for women. Women with higher earnings are more likely to be single and unemployed men are more likely to be single than employed men. In the Korean societal contexts, these findings support the bi-standard of financial resour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marriage market.

  • PDF

Social Media Neologisms: A Borrowed Affix as a Case of Pseudo-Anglicisms

  • Yoon, Junghyo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86-93
    • /
    • 2021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a novel affix prevalently and productively used in social media, which is assumed to be borrowed from English into Korean loanblens. The novel affix is composed of a prefix-like and a suffix-like elements, but it seem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regular combinations of a prefix and a suffix. In analyzing the affix, we attempt to highlight its peculiarities of the affix with empirical data. First, the seemingly borrowed affix does not behave like affixes found in the donor language (English) or the recipient language (Korean)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Both languages have circumfixation rarely available in productive word-formation processes. Second, no regular assimilation rules of Korean apply to the affix boundary, which would otherwise be mandatory to such syllable contact contexts. Last but not least, the affix form has no correspondence to the donor language, and therefore it is claimed to be derived through secretion and taken as a case of pseudo-anglicisms.

The Shifts of Masculine Domination in Vietnam: Examining Mixed and Hybrid Characteristics in Feminist Texts on Vietnamese Newspaper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 CAO Kim-Lan
    • 수완나부미
    • /
    • 제15권2호
    • /
    • pp.155-185
    • /
    • 2023
  •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shifts of masculine domination, illuminating Vietnamese men and women's actual position in society through surveying the mixed and hybrid characteristics described in the feminist text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feminist writings of the two exceptionally male intellectuals Nguyễn Văn Vĩnh (1882-1936) and Phan Khôi (1887-1959). in order to implement these goals,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popular phenomenon of ventriloquism among Vietnamese male intellectuals, whose dominant attitudes may still be unveiled in feminist texts. Secondly, the paper focuses on surveys of men's direct discourse in constructing the model of women's liberation. From these two contents, this paper answers the following questions: Why have Vietnamese men become feminists? What were the causes, purposes, and effects of this phenomenon? To look at the nature of Vietnamese feminism, this paper will show the shifts of masculine domination in Vietnam as another form of protecting men's privileges. All analyses in this study will ground discussion on the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and conditions of Vietnam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일화기억을 구성하는 맥락 요소에 대한 탐구: 시공간적 맥락과 구분되는 사회적, 행동적, 의도적 맥락의 내측두엽-대뇌피질 네트워크 특징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contextual factors of episodic memory: dissociating distinct social, behavioral, and intentional episodic encoding from spatio-temporal contexts based on medial temporal lobe-cortical networks)

  • 박종현;나윤진;유수민;이승구;한상훈
    • 인지과학
    • /
    • 제33권2호
    • /
    • pp.109-133
    • /
    • 2022
  • 일화기억은 핵심 이벤트와 그에 연합된 맥락으로 구성된다. 해마와 해마 주변 영역이 일화기억의 부호화에서 맥락을 표상하는 역할에 관해 연구되어왔지만, 시공간적 맥락 외에 다양한 맥락-특이적 정보들에 대한 표상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자기기능공명기법을 이용하여 여러 맥락정보(예, 육하원칙 - 누가, 왜, 무엇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의 부호화에 관여하는 내측두엽 및 대뇌피질 신경연결성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참가자들은 두 명의 얼굴과 하나의 사물로 구성된 실험 이벤트를 보면서 여섯가지 맥락 부호화 과제를 수행하였다. 휴지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정보를 활용해 내측두엽의 세부 영역을 기능적으로 구분하였고 맥락 기억 과제별 기능적 신경연결성 네트워크를 탐색하였다. 일반선형화 모델 분석을 통해 시공간적 맥락정보를 처리할 때보다 사회적, 행동적, 의도 맥락을 연합할 때 내측두엽의 세부영역, 전전두엽, 하부두정엽 영역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활성화를 보이며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이 영역들과 내측두엽 영역이 맥락조건간 차이에 관여하는 기능적 연결성 특징을 탐색하기 위하여 맥락부호화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의 해마세부영역들과 전전두엽, 하부두정엽 등 간의 과제기반 기능적 연결성 정보들을 다변량 패턴분석의 주요입력변수로 선정하였고, 기계학습을 통해 맥락 조건 간 연결성 패턴분류를 시도하였다. 네트워크 패턴분류에서도 시공간 맥락 조건과 각 사회적, 행동적, 의도 맥락처리 조건 간에는 기능적 연결성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일화기억에서 특정 맥락을 처리하는 신경학적 기제의 특성과 맥락 조건 간 차이를 제시하였다.

고등학교 사회 수학 융합 프로그램이 수학 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Effectiveness of math-social science conjoined program on students' attitudes toward in mathematics)

  • 김형원;고호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39-254
    • /
    • 2017
  •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 및 흥미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일환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단편적 교과 지식의 학습 보다는 융합적인 접근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지식을 적용할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따라 사회와 수학을 융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한 데이터 수집은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 수학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사전 사후 설문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사회 수학 프로그램은 실생활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현상을 수학적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적용 결과 학생들은 수학 학습 및 사회 학습에 대한 태도, 수학 학습 및 사회 학습 가치 인식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디지털 융합시대의 디자인 사고 기반 사회문제 해결 아이디어 구체화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Refining Ideas for Social Problem Solving Based on Design Thinking in Digital Convergence Era)

  • 백승철;조성혜;김남희;노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155-163
    • /
    • 2017
  •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발전 과정에서 양극화, 저출산, 고령화, 자원 문제, 환경문제 등 사회문제들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며 경제, 문화, 교육 등에서의 사회적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이로 인한 사회문제 발생과 복지예산의 증가는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러한 전망에서 정부와 기업들은 기술 개발과 경제 활성화를 통한 사회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은 단순한 현상이 아닌 본질적인 발생 원인과 이해관계자, 지역성과 문화에 대한 복합적 조사를 기반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사회문제 해결형 아이디어 구체화 프로세스를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국의 혁신회사 IDEO, 스텐포드 d.school등의 디자인 사고 기반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하고 아이디어 구체화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고려 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제품/서비스화를 위한 아이디어 구체화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소셜벤처, NGO, 공익활동가 등이 자신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일본 이주노동자의 유입 배경과 사회공간적 특성 - 히로시마현을 사례로 - (Contexts of Inflow and Socio-spatial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Workers in Japan: Focusing on the Case of Hiroshima Prefecture)

  • 최병두;이동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90-413
    • /
    • 2010
  • 일본은 1980년대 중반 이후 지구화 과정에 따른 세계경제질서의 재편과 국내 사회경제적 조건의 변화에 따라, 외국인 이주자들의 급속한 유입과 이에 따른 노동시장의 재편 및 인종적 문화적 혼합을 경험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일본의 외국인 이주자들, 특히 이주노동자들의 유입 배경과 노동시장의 계층화 및 공간적 분포의 차별성에 초점을 두고 이들의 사회공간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이 논문은 일본의 외국인 이주자들의 유입 배경으로서 지구적 차원으로 지역불균등발전과 국내적 차원으로서 유연적 축적체제로의 전환, 동원가능한 노동력의 고갈, 고학력화와 저출산 고령화 등을 지적하고, 이들에 의한 체류조건별, 출신국적별 노동시장의 계층화 및 공간적 분포의 차별화를 고찰하였다. 또한 히로시마현을 사례로 지역 내에서도 이들의 공간적 분포의 차별화, 즉 주거지 분화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이들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봉착하게 되는 문제들을 임금체불과 해고, 체류자격, 결혼 및 이혼 등과 같은 개별적(경험적) 차원과 노동의 상품화와 신자유주의적 초국적 이주, 이주 및 취업과정에서의 비리와 불법, 파견근무제에 의한 고용불안, 외국인 이주자들의 유형별 분리통제 등 구조적 제도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지적하고자 한다.

창업자의 전략적 지향성과 사회적 자본의 역할 (The Role of Strategic Orientation and Social Capital of Founders in the Performance of Korean Startups)

  • 손권상;허원창;손동원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1호
    • /
    • pp.125-141
    • /
    • 2020
  • 본 연구는 창업자의 전략적 지향성과 사회적 자본이 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략적 지향성은 기업가적 지향성, 시장 지향성, 기술 지향성으로 구분하고 사회적 자본은 외부 네트워크의 지원과 창업팀에 대한 신뢰 및 응집력으로 정의하여 그 효과를 실증하였다. 또 사회적 자본이 전략적 지향성의 효과를 조절하는 조절효과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설립 5년 미만의 79개 스타트업을 대상으로한 실증분석에서, 기술 지향성만이 창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은 모두 창업성과에 유의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증거 중심의 스타트업 지원책을 수립하는데 공헌할 것으로 기대된다.

Information Credibility between Social Media Site and Review Site : Which One Do I Trust More?

  • Seo, DongBack;Lee, Jung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1권3호
    • /
    • pp.35-52
    • /
    • 2014
  •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relationship with an information source affects people to perceive credibility of online information. We developed a conceptual framework that explained how people perceived information credibility when they were familiar with the information source and/or when the information source seemed credible. We then compared the models in two different contexts, namely, online review and social media sites, to examine differences. We surveyed 136 online social media users with their online shopping experiences. Among our eight hypotheses, three (H6: the personality similarity between an information provider and an information seeker enhances the perceived credibility of the former; H7: the credibility of an information provider produces a much stronger mediating effect in review sites than in social media sites; H8: the familiarity of an information seeker with an information provider produces a stronger mediating effect in social media sites than in review sites) are fully supported and four (H1: the credibility of an information provider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ived credibility of the online information; H2: the familiarity of an information seeker with an information provider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ived credibility of the online information; H3: the goal similarity between an information provider and an information seeker enhances the perceived familiarity of the latter with the former; H5: the personality similarity between an information provider and an information seeker enhances the perceived familiarity of the latter with the former) are partially supported. The hypothesis of H4: the goal similarity between an information provider and an information seeker enhances the perceived credibility of the former is rejected. The result confirms that credibility of information is strongly mediated by credibility of information source than familiarity with information source in online review sites and vice versa in social media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