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oking-cessation behavior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3초

행동수정의 단계적 변화론 모형(Transtheoretical Model)에 의한 일부 농촌성인의 흡연, 음주 및 운동행태 분포와 상호 관련성 (Distribution and Interrelationship of Smoking, Drinking, and Physical Exercising among Some Rural Adult, an Application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 이무식;이영성;신현화;이건세;윤석준;정기현;김은영;천병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1호
    • /
    • pp.113-131
    • /
    • 2000
  • 이 연구는 일개 군 지역 농촌주민을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사업 접근전략 개발을 위하여 흡연, 음주 및 운동에 대한 행태를 단계별로 그 분포를 기술함으로써 향후 건강증진사업의 기획과 평가에 적용 및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건강증진사업의 접근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조사의 대상자는 옥천군의 30세 이상 주민 중 남성 384명(43.1%), 여성 508명(56.9%)이었다. 조사는 1999년 8월중 6일간 다단계 추출법으로 선정된 세대별로 구조화된 면담지를 이용한 직접 방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사용된 설문지는 사회인구학적 조사변수로는 성, 연령, 학력, 직업, 총수입, 결혼상태 등을 포함하였으며, 흡연과 음주 그리고 운동은 행동변화 6단계로 측정하였다. 흡연경력자의 흡연의 행동수정 변화 6단계의 분포는 남자인 경우, 계획전 단계에 50.6%, 계획 단계에 32.5%인데 반해 여자의 경우 계획전 단계 60.6%, 계획 단계 28.8%로 계획전 단계와 계획단계에 집중된 분포 양상이었다. 음주 경력자에서는 남자인 경우 계획전 단계가 72.8%, 계획단계 19.3%였으며, 여자의 경우 계획전 단계 80.3%, 계획단계 15.5%로 계획전 단계의 분포가 집중되어 있었다. 운동의 경우에도 남자가 계획전 단계가 80.6%, 유지단계 1.8%, 완료단계가 10.2%였으며, 여자의 경우 계획전 단계 87.6%, 유지단계 1.2%, 완료단계 5.3%로 계획전 단계에서는 여성이 더 높았으나 준비단계 이상의 긍정적인 단계에서는 남자가 더 많아 성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성인들에서의 건강증진의 접근전략에서 위험요인별로 각기 다른 단계별 전략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특히 흡연, 음주, 운동의 건강증진 전략은 계획전 단계가 일차적으로 목표되어야 한다. 흡연과 음주 그리고 운동의 행동수정 변화 단계간에 유의한 일치도는 없었으나 상관 분석에서는 흡연과 음주, 음주와 운동이 유의한 상관을 다변수 분석에서 운동과 음주, 운동과 흡연간에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따라서 행동수정의 단계적 변화론 모형의 건강행태 측정에서 그 타당도가 재확인 되어야하며, 이러한 행동수정의 단계별 변화론의 적용결과는 추후 중재연구의 전향적 추적조사를 통하여 검정되어 건강행위로의 가능한 출입구(gateway)가 밝혀져야 할 것이다.

  • PDF

건강 앱 이용자들의 단계적 건강행위변화와 정보탐색행태 (Stages of Change to Health Behavior and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Health Application Users)

  • 이용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61-181
    • /
    • 2017
  • 본 연구는 모바일 건강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건강행위를 변화시키는 건강정보소비자 들이 그 역동적인 단계적 변화에 따라 추구하는 건강정보 탐색행태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변화단계모형(Stages of change)을 이론적 틀로 사용하여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건강정보소비자들의 인식, 정보요구 및 탐색행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총 30명의 대학생 이용자들이 참여하여 3개월 동안 건강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서 금연, 금주, 및 규칙적 운동 등의 건강행위의 변화를 시도하였으며, 그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서면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구 참여자들은 소셜 미디어와 인터넷을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원을 사용할 뿐 아니라 정보요구에 따라 상이한 정보원을 탐색했다. 특히, 실행단계에 접어든 소비자들의 본격적인 건강 앱 활용에서 나타나는 정보요구와 정보탐색행태는 특별히 건강 앱을 통한 건강정보서비스의 함의를 시사한다. 또한, 행위변화를 시행하면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관리와 퇴보(relapse), 그리고 행위변화의 긍정적 및 부정적 효과는 건강정보제공자에게 소비자의 건강행위변화를 지원할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한다.

생활습관 중재프로그램이 성인의 건강생활습관실천과 대사증후군 개선에 미치는 효과 분석 (Effectiveness of lifestyle intervention on the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 이은희;이윤희;문순영;권은주;지선하;김혜경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9
    • /
    • 200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evaluate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treat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Method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0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who took health examinations in health promotion centers of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between May 1 and June 30, 2006.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intensive 3-month lifestyle modification intervention and participants in the comparison group received minimal information on lifestyle modification. Pre test and Post test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Results: After the intensive intervention on lifestyle modification(healthy diet, physical activity, moderate drinking, stress management, and smoking cessation), the levels of blood pressure, waist circumference, fasting blood glucose and triglycerid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for those in experimental group(P<0.001). For those in comparison group, the levels of blood pressure(P<0.001), waist circumference(P<0.001), and triglycerides(P<0.01)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he intervention. No change in the levels of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ere observed in both groups. After 3-month interventio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reduced to 35.7% in experimental group and 48.5% in comparison group. Conclusion: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e efficacy of therapeutic lifestyle intervention for the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우리나라 종합병원 사업장의 근로자 건강관리 현황 분석 (Worker's Health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of General Hospitals in Korea)

  • 김광숙;이정렬;강희철;원종욱;김봉정;조윤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6-179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general hospital worker's health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Method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health management in the hospital,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22 occupational health providers by post. About 79% hospitals return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chi}^2$-test by SPSS 12.0 program. Results: A quarter hospitals responded set up separated health care office for workers, 87.5% provided health educations, and 56.5% ope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s. In the contents of health promotion program embraced both health behavior practice and disease prevention, musculoskeletal disease control, infection control, smoking cessation, and exercise program were most commonly provided to the workers in order. Occupational health care provider chose the item such as budget limitation, manager's apathy, lack of employee's participation, cooperation provider, and so on as the reason of difficulty to run health promotion program in the hospital setting. Conclusion: Hospital managers need to construct infra to manage and promote worker's health. For example, establishing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committee in hospital and arranging nurses who being fully responsible to worker's health. And occupational health care provider should advertise health promotion projects both managers and workers actively.

  • PDF

고등학생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articipative Inten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High School)

  • 김미련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9-74
    • /
    • 2006
  • Purpose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dequate health promotion programs satisfying the needs of high school students by exploring a variety of factors that affected their participation in these programs. This research was also designed to serve as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that will encourage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Methods : The study us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658 coedu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onsisting of 317 9th graders and 341 10th graders. For this study, 599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eriod from December 12, 2005 to December 23, 2005. Results : Overall, students surveyed in this research showed relatively active participation in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5 dimensions, interpersonal support received the highest score while health responsibility ranked the lowest. Another finding was that posture correction program enjoyed the strongest student participation (75.5%) followed by stress management program(70.1%) and weight control program (56.6%). On the other hand, the participation rates for no-drinking(12.9%), smoking cessation program(17.0%), and influenza prevention program(22.9%) were at the low e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er interpersonal support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gets, the higher student participation becomes. Conclusion : The study demonstrated that student participation was determined by the nature of health-promoting program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It also showed that the sub-scales of the programs played a bigger role in student participation. Keeping this in mind, a wealth of health-enhancing programs of distinguishing qualities need to be tailored to meet various needs of students. In addition, serious efforts should be made to motivate them to seek relevant health promotion programs.

한국 중년의 고밀도지단백(HDL) 콜레스테롤과 관련요인 (The High-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middle-aged)

  • 김상락;감신;김명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23-432
    • /
    • 2018
  • 이 연구는 40-59세의 중년들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건강행태 중에서 고밀도지단백(HDL) 콜레스테롤에 영향을 명확히 미치는 건강행태를 파악함으로써 한국 중년의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되고자 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제4기 3차년도(2009), 제5기의 1차년도(2010), 2차년도(2011), 3차년도(2012), 제6기의 1차년도(2013) 등 총 5개년의 원시데이터를 합하여 사용하여 7,406명을 최종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을 40mg/dl 미만과 40mg/dl 이상으로 두 집단으로 구분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여자보다 남자일 경우 OR=3.916배, 비만 유병이 저체중에서 정상일 경우 OR=3.439배, 비만일 경우 OR=7.336배, 음주자일 때 OR=1.629배, 흡연자일 때 OR=1.498배, 중등도 신체활동 미실천일 시 OR=1.426배, 걷기 미실천일 시 OR=1.264배, 탄수화물을 과소 섭취할 때보다 적정 섭취할 때 OR=1.510배, 과다 섭취할 때 OR=1.787배 고밀도지단백(HDL) 콜레스테롤이 40mg/dl 이상에서 40mg/dl 미만으로 될 확률이 증가하였다. 한국 중년의 고밀도지단백(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적절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산소 운동, 금연, 절절한 음주, 비만 해소, 건강한 식습관과 건강한 식품 선택으로 인한 외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에서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며, 건강행태를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환경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조직화 전략의 중간 결과평가: 경남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 3년 경험 (The Mid-Term Outcome Evaluation of Community Organization: Three-year Experience of Health Plus Happiness Plus Projects in Gyeongsangnam-Do)

  • 김장락;정백근;박기수;강윤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9권3호
    • /
    • pp.146-160
    • /
    • 2014
  • 이 연구는 주민이 주도하는 건강증진사업으로서 지역사회 조직화 전략인 경상남도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 4년차 지역에서 건강행태를 중심으로 사업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은 건강불평등 완화를 목적으로 표준화사망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17개 읍(면, 동)에서 2010년부터 추진되고 있으며, 15-20명으로 구성된 건강위원회가 보건소와 자문교수의 도움을 받아 우선순위 건강문제를 선정하고, 구체적인 세부 사업 실행을 주도하는 사업이다. 사업 대상 17개 읍(면, 동) 지역에서는 사업 시작연도인 2010년에, 이 중 6개 지역에서는 사업 4년차인 2013년에도 계통적 표본추출 가구의 19세 이상 성인(가구당 생월일이 가장 빠른 한 명)을 대상으로 가정방문 건강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제 조사율은 2010년 73.9%(범위 45.9-93.2%), 2013년 75.9%(64.5-89.5%)였다. 최종 조사대상자는 2010년 1,320명(지역별 220명), 2013년 1,200명(지역별 200명)이었다. 조사는 2010년과 2013년의 8-10월 사이에 면, 동 지역별로 이루어졌다. 전체 대상자 및 6개 지역 각각에서 주요 건강행태 결과 변수인 남자의 흡연율, 일주일에 5일 이상 걷기 실천율, 2년 내 건강검진율, 40세 이상의 2년 내 위암검진율, 지역사회 행사 참여율, 그리고 인지된 통제력 설문으로 측정된 개인 및 지역사회 수준의 임파워먼트 점수[14]에 대해 2010년과 2013년을 비교하였다. 남자 흡연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47.7%, 2013년 47.4%로 비슷하였다. 일주일에 5일 이상 걷기 실천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46.2%, 2013년 35.6%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최근 2년 내 건강검진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57.7%, 2013년 63.6%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0세 이상에서 최근 2년 내 위암 검진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49.3%, 2013년 55.0%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개인수준의 임파워먼트 평균점수는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7.3, 2013년 7.0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지역사회수준의 임파워먼트 평균점수는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12.6, 2013년 14.0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3년간의 지역사회조직화 전략은 지역주민의 흡연율 감소나 걷기 실천율의 증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암검진을 포함한 건강 검진율의 향상에는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신뢰성 있는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