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and Interrelationship of Smoking, Drinking, and Physical Exercising among Some Rural Adult, an Application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행동수정의 단계적 변화론 모형(Transtheoretical Model)에 의한 일부 농촌성인의 흡연, 음주 및 운동행태 분포와 상호 관련성

  • Lee, Moo-Si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Lee, Young-Sung (Department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College of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Shin, Hyun-Hwa (Department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College of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Kun-Sei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kuk University) ;
  • Yoon, Seok-J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ankuk University) ;
  • Jung, Ki-Hweon (Okchun Community Health Center) ;
  • Kim, Eun-Y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Chun, Byung-Chu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이무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영성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 신현화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 이건세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윤석준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정기현 (옥천군 보건소) ;
  • 김은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천병철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Transtheoretical model of change has been proven very effective in explaining both the acquisition and cessation of many health related behavio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the distribution of smokers by stage of change of smoking, alcoholic drinking, and exercising in rural residents and to develope health promotion strategies. This study was done in Okchun County of Chungbuk Province. The representative sample were 892 residents over 30 years old. The questionnaires of interview included socio-demographic, the six stage distribution of smoking, alcoholic drinking, and exercising. In male, 50.6% of smokers were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32.5% in the contemplation. In female, corresponding figures were 60.6% and 28.8%. Precontemplation and contemplation stage of drinker were 72.8%, 19.3% in male and 80.3%, 15.5%. Distribution of exercise were 80.6%, 1.8% in male, 87.6%, 1.2% in female, respectively. The stage distribution of smoker, alcoholic drinker, and exerciser was shift to left of the distribution. And the stage distribution was slightly differ with each health behavior. The stage of change with smoking, drinking and exercising was correlated with each other but not concordant. So interventions in rural residents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large proportion of precontemplators repeatedly observed among smoker, drinker, and non-exerciser. And intervention strategies of each risk behavior should be different approach. Result of concordance analysis suggest reconstruct validity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in our country due to ethnic and sociocultural difference. This results and theory should be tested in prospective intervention studies for seeking the possible gateway of health behavior.

이 연구는 일개 군 지역 농촌주민을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사업 접근전략 개발을 위하여 흡연, 음주 및 운동에 대한 행태를 단계별로 그 분포를 기술함으로써 향후 건강증진사업의 기획과 평가에 적용 및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건강증진사업의 접근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조사의 대상자는 옥천군의 30세 이상 주민 중 남성 384명(43.1%), 여성 508명(56.9%)이었다. 조사는 1999년 8월중 6일간 다단계 추출법으로 선정된 세대별로 구조화된 면담지를 이용한 직접 방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사용된 설문지는 사회인구학적 조사변수로는 성, 연령, 학력, 직업, 총수입, 결혼상태 등을 포함하였으며, 흡연과 음주 그리고 운동은 행동변화 6단계로 측정하였다. 흡연경력자의 흡연의 행동수정 변화 6단계의 분포는 남자인 경우, 계획전 단계에 50.6%, 계획 단계에 32.5%인데 반해 여자의 경우 계획전 단계 60.6%, 계획 단계 28.8%로 계획전 단계와 계획단계에 집중된 분포 양상이었다. 음주 경력자에서는 남자인 경우 계획전 단계가 72.8%, 계획단계 19.3%였으며, 여자의 경우 계획전 단계 80.3%, 계획단계 15.5%로 계획전 단계의 분포가 집중되어 있었다. 운동의 경우에도 남자가 계획전 단계가 80.6%, 유지단계 1.8%, 완료단계가 10.2%였으며, 여자의 경우 계획전 단계 87.6%, 유지단계 1.2%, 완료단계 5.3%로 계획전 단계에서는 여성이 더 높았으나 준비단계 이상의 긍정적인 단계에서는 남자가 더 많아 성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성인들에서의 건강증진의 접근전략에서 위험요인별로 각기 다른 단계별 전략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특히 흡연, 음주, 운동의 건강증진 전략은 계획전 단계가 일차적으로 목표되어야 한다. 흡연과 음주 그리고 운동의 행동수정 변화 단계간에 유의한 일치도는 없었으나 상관 분석에서는 흡연과 음주, 음주와 운동이 유의한 상관을 다변수 분석에서 운동과 음주, 운동과 흡연간에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따라서 행동수정의 단계적 변화론 모형의 건강행태 측정에서 그 타당도가 재확인 되어야하며, 이러한 행동수정의 단계별 변화론의 적용결과는 추후 중재연구의 전향적 추적조사를 통하여 검정되어 건강행위로의 가능한 출입구(gateway)가 밝혀져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