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oke production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1초

알킬렌디아미노알킬-비스-포스폰산으로 처리된 목재의 연소특성 (Combustive Characteristics of Wood Specimens Treated with Alkylenediaminoalkyl-Bis-Phosphonic Acids)

  • 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57-63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피페라지노메틸-비스-포스폰산(PIPEABP), 메틸피페라지노메틸-비스-포스폰산(MPIPEABP), N,N-디메틸렌디아미노메틸-비스-포스폰산(MDEDAP)으로 처리된 리기다 소나무의 연소성을 시험하였다. 15 wt%의 알킬렌디아미노알킬-비스-포스폰산 수용액으로 리기다 소나무에 3회 붓칠하여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여 그의 연소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알킬렌디아미노알킬-비스-포스폰산으로 처리한 시험편은 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 포스피닉산(DMDAP) (280 s)을 제외하고, 연소속도 감소에 의하여 무처리한 시험편에 비해 최대질량감소율 도달시간 ($TMLR_{peak}$) = (315~420) s을 지연시켰다. 그리고 그의 화학 합성물로 처리한 시험편은 무처리한 시험편보다 높은 연기발생률(TSRR) = (407.3~902.0) $m^2/m^2$과 높은 $CO_{mean}$ (0.0765~0.0832) kg/kg 값을 보였다. 특별히 피페라지노메틸-비스-포스폰산으로 처리한 시험편에 대하여 1차 연기발생속도(1st-SPR) = 0.0124 g/s 피이크는 무처리한 시험편에 비하여 낮았다. 이에 반하여 2차 연기발생속도(2nd-SPR) = 0.183 g/s 피이크는 높았다. 따라서 알킬렌디아미노알킬-비스-포스폰산으로 처리한 시험편은 처리하지 않은 시험편에 비하여 그의 연소 억제성을 부분적으로 향상시켰다.

비스-디알킬아미노알킬 포스핀산으로 처리된 목재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racteristics of Wood Treated with Bis-(dialkylaminoalkyl) Phosphinic Acids)

  • 진의;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21-2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 포스핀산, 비스-디에틸아미노메틸 포스핀산, 비스-디부틸아미노메틸 포스핀산을 처리한 리기다 소나무의 연소성을 시험하였다. 시험편은 15 wt%의 비스-디알킬아미노알킬 포스핀산 수용액으로 리기다 소나무에 3회 붓칠하여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여 그의 연소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비스-디알킬아미노알킬 포스핀산으로 처리한 시험편은 처리하지 않은 시험편에 비하여 그의 연소 억제성을 부분적으로 향상시켰다. 비스-디알킬아미노알킬 포스핀산으로 처리한 시험편은 무처리한 시험편에 비해 총연기방출률($16.94{\sim}18.92m^2/m^2$)과 $CO_{2mean}$ 발생량(1.98~2.09 kg/kg)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무처리한 시험편에 비해 최대질량감소율($16.94{\sim}18.92m^2/m^2$)과 1차-연기발생속도(0.0153~0.0167 g/s)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비스-디알킬아미노알킬 포스핀산으로 처리한 시험편은 순수 리기다 소나무 시험편에 비하여 부분적으로 낮은 연소성질을 나타내었다.

자동차 내장재의 화재위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isk of Car Interior Materials)

  • 이해평;김영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82-8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내장재에 적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합성물질의 화재위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한 열방출특성, 연기밀도시험기를 이용한 연기발생특성 및 독성지수시험기를 이용한 유 독성을 측정하였다. 자동차 내장재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부위별로 3종류씩 총 12개의 시편을 준비하여 실험하였다. 콘칼로리미터 실험결과, PVC sheet 및 PVC leather가 약 2초의 가장 빠른 착화시간을 보였으며, 12개의 시편 중 8개의 시편이 10초 이내의 착화시간을 나타냈다. 최대열방출률은 232~635$kW/m^2$ 정도로서 나일론과 PE로 구성된 플로우매트가 $635kW/m^2$의 가장 큰 최대열방출률을 보였다. Rubber로 구성된 보조매트는 최대열방출률은 가장 낮았지만 총열방출은 가장 큰 값을 보였다. 연기밀도시험기 실험 결과, rubber로 구성된 보조매트는 약 924의 가장 큰 연기밀도값을 보였으며, 초기연기발생량을 확인할수 있는 VOF4값은 PVC leather로 구성된 시트가 가장 큰 값을 나타냈다. 독성지수시험기 실험결과, 대부분의 시편에서 이산화탄소의 치사농도를 초과하였고, PVC를 포함하고 있는 시편에서 염화수소 및 브롬화수소의 검출수치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치사농도를 초과하였다. 13가지 특정가스의 치사농도와 발생농도를 이용한 독성지수는 PVC sheet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시편의 독성지수 1을 초과하는 결과를 보였다.

암모늄염으로 처리된 리기다 소나무의 난연성 (Combustion-Retardation Properties of Pinus rigida Treated with Ammonium Salts)

  • 정영진;진의
    • 공업화학
    • /
    • 제21권6호
    • /
    • pp.627-63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암모늄염 처리에 의하여 리기다 소나무를 바탕으로한 재료의 난연성을 시험하였다. 실온에서 3종류의 암모늄염 즉, ammonium sulfate, monoammonium phosphate, 그리고 diammonium phosphate의 20 wt% 수용액에 각각 리기다 소나무를 함침시켜 건조시킨 후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여 그들의 연소성을 조사하였다. 암모늄염으로 처리한 시험편들은 미처리된 시험편에 비하여 연소억제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CO의 발생량은 증가하여 정도에 따라 독성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졌다. 또한 미처리된 순수 시험편에 비해 총연기방출율과 총연기량이 모두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처리된 시험편 중 diammonium phosphate로 처리된 것이 가장 연소억제 효과가 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한 소나무와 밤나무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Pinus Rigida and Castanea Savita Using Cone Calorimeter)

  • 정영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3호
    • /
    • pp.319-323
    • /
    • 2009
  • 건자재로서 나무 결함중의 하나는 그의 가연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자란 리기다 소나무와 밤나무의 연소성질을 시험하는 것과 건자재로서의 사용에 대한 바람직한 특성을 알아내는 것이다. 콘칼로리미터(ISO 5660-1)는 열방출율과 CO, $CO_2$ 발생과 연기차폐와 같은 연기지수를 측정하는 데 이용되어 졌다. $50kW/m^2$의 열속하에서 밤나무의 평균열방출율은 소나무의 평균열방출율 $150.77kW/m^2$ 과 비교하여 $160.7kW/m^2$ 을 나타내었다. 밤나무는 소나무에 비해 숯생성으로 인한 증대된 난연성을 보였다. 밤나무는 소나무에 비하여 높은 CO 수율과 높은 CO/$CO_2$ 수율을 나타내었다.

Capsaicin과 규소수지 처리가 튀김유의 가열산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psaicin and Silicone Resin Treatment on Inhibition of Thermal Oxidation in Frying Oil)

  • 이미숙;이근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34-538
    • /
    • 2000
  • 대두유를 기초로 한 튀김유에 capsicum, butter flavor, 규소수지를 각각 0.20, 0.15%($\omega$/$\omega$) 및 10ppm 처리하여 가열안정성의 향상 및 육두향 약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capsicum과 규소수지를 병행처리한 튀김유는 185$\pm$2$^{\circ}C$의 온도조건 하에서 3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열처리할 경우 AV 및 SP가 각각 무처리군의 0.385, 22$0^{\circ}C$에 비하여 크게 향상된 0.301, 232$^{\circ}C$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효과는 capsicum의 항산화 효과와 함께 소포제의 일종인 규소수지의 작용에 따라 가열처리에 따른 튀김유의 표면적 팽창을 방지하여 유리지방산생성 및 연기발생을 억제한데 따른 효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0.15%($\omega$/$\omega$)의 butter flavor처리에 따라 튀김유 및 튀김물에서 발생하는 육두향 및 기름타는 냄새를 막아주는 효과가 인정되어 새로운 형태의 튀김유 제품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실온에서 건조된 리기다 소나무와 밤나무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racteristics of the Pinus rigida and Castanea savita Dried at Room Temperature)

  • 정영진;진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86-92
    • /
    • 2010
  • 건자재로서 나무 결함중의 하나는 화재에 대한 취약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자란 리기다 소나무와 밤나무의 연소성질을 시험하는 것과 건자재로서의 사용에 대한 바람직한 특성을 알아내는 것이다. 콘칼로리미터(ISO 5660-1)는 열방출율과 CO, $CO_2$ 발생과 연기차폐와 같은 연기지수를 측정하는 데 이용되었다. $50kW/m^2$의 외부 열유속하에서 밤나무의 평균열방출율($HRR_{mean}$)은 소나무의 평균열방출율 $68.5kW/m^2$과 비교하여 $70.4kW/m^2$을 나타내었다. 게다가 총열방출율(THR)은 밤나무($120.8MJ/m^2$)가 소나무($81.9MJ/m^2$)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시험된 나무종의 체적밀도에 의존된다. 밤나무는 소나무에 비하여 높은 $CO_{mean}$ 수율과 높은 CO/$CO_2$ 수율을 나타내었다.

Color Change and Resistance to Subterranean Termite Attack of Mangium (Acacia mangium) and Sengon (Falcataria moluccana) Smoked Wood

  • HADI, Yusuf Sudo;MASSIJAYA, Muh Yusram;ABDILLAH, Imam Busyra;PARI, Gustan;ARSYAD, Wa Ode Muliastuty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1-11
    • /
    • 2020
  • Indonesian log production is dominated by young trees harvested from plantation forests. The timber contains of sapwood and juvenile wood, which are not resistant to termite attack. Smoking treatment can enhance wood resistance to termite attack, but it also changes the color. Specimens of mangium (Acacia mangium) and sengon (Falcataria moluccana) wood were exposed for 1, 2, and 3 weeks to smoke produced from the pyrolysis of salam (Syzygium polyanthum) wood. The color change of the wood was measured using the CIELab method. In addition, wood specimens were exposed to subterranean termites (Coptotermes curvignathus Holmgren) under laboratory conditions. Untreated and imidacloprid-preserved wood samples were also prepared for comparison purpo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lor of smoked wood differed from that of untreated wood, and the color change for sengon was greater than for mangium. In addition, the 1-week smoking period changed the wood color less than the 2- and 3-week periods, which did not differ. Imidacloprid-preserved wood had distinctive color changes compared to untreated wood. Untreated mangium wood had moderate resistance to subterranean termite attack (resistance class III), while sengon had very poor resistance (resistance class V). Salam wood smoke enhanced wood resistance to termite attack, and smoke treatment of 1 week for mangium and 2 weeks for sengon resulted in the wood becoming very resistant (resistance class I). Both types of smoked wood were more resistant to subterranean termite attack than imidacloprid-preserved wood (average class II resistance).

탄소재료의 적용 방법에 따른 파티클 보드의 연소 특성 (Evaluation of Fire Characteristics for Particle-board with Exfoliated Graphite Nanoplatelets Added)

  • 서현정;조정민;황욱;이민철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8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ire retardant performance of exfoliated graphite nanoplatelets (xGnP) applied for particleboard. This work measured heat release rate(HRR), total heat release(THR) and smoke production rate(SPR) of xGnP added particleboard, using cone calorimeter to assess its fi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KS F ISO 5660-1 standard code. Heat release rates of all specimens treated by xGnP were less than the $200kW/m^2$ for a total experiment period of five minutes. Heat release rates of the specimens coated with xGn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specimens made by mixing wood particles with xGnP directly. Meanwhile, the total heat release rates of xGnP coated specimen maintained quite lower level than the uncoated so the xGnP coating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fire retardant performance of particleboard. However, the smoke emission peaking problem at the initial combustion period, which was caused by adding base coating materials, should be resolved for further satisfaction as a fire retardant materials.

왕겨의 heat flux별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rice-husk according to the change of heat flux)

  • 박은영;박덕신;조영민;박병현;이철규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90-1195
    • /
    • 2005
  • Biomass burning is a source of greenhouse gases, carbon dioxide, methane, and nitrous oxide. Under the ideal conditions of complete combustion, the burning of biomass produces carbon dioxide and water vapor. Since complete combustion is not achieved under any conditions of biomass burning, other carbon species, including carbon monoxide, methane, non-methane hydrocarbons and particulate carbon are produced.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rice-husk, such as heat release rate, smoke production rate, the percentage variation of CO and $CO_2$, oxygen consumption rate, and mass loss under different heat fluxes (20, 50 and 70kW). As a result, at 20kW incomplete combustion is occurred so that the percentage of CO is high in initial burning and total smoke release is higher than the others. At 50kW and 70kW, the combustion behaviors is very similar except the variation of CO percent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