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phone dependence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초

Smartphone Use Patterns of Smartphone-dependent Children

  • Park, Jeong Hye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47-54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martphone use patterns of smartphone-dependent children.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The data were derived from the 2017 survey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e study sample was 59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dentified as being smartphone-dependent.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he independent t-test, the x2 test,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frequency of smartphone use was the factor strongly associated with more severe smartphone dependence in participants. Game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application type among participants, regardless of their degree of dependence. More severe smartphone dependence was associated with greater use of applications such as learning and television/video. Conclusion: As smartphone dependence becomes more severe, children tend to use their smartphones more frequently and to use applications that involve solitary play for the purposes of entertainment and pleasur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arents should attentively monitor their children's smartphone use patterns and provide consistent discipline in a way that ensures appropriate smartphone use.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과의존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for Influential factor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elder and older Group)

  • 배성만;고영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111-121
    • /
    • 2017
  • 스마트폰의 사용은 청소년뿐만 아니라 장, 노년층에서도 일상의 한 부분이 되고 있는 것에 비해 이들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과의존 관련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의 장 노년층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과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변인, 스마트폰 사용 양, 스마트폰 사용 유형과 심리 정서적 변인이 장 노년층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6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자료 중 50대와 60대에 해당하는 562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스마트폰 주중사용횟수, 주말 사용횟수, 주중사용시간이 많을수록 그리고 정보추구와 게임을 위한 스마트폰 사용이 증가할수록 스마트폰 과의존이 높았다. 반면, 오락추구와 커뮤니케이션 유형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외로움과 불안이 증가할수록 스마트폰 과의존이 증가한 반면, 사회적 자본이 클수록 스마트폰 과의존이 낮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장, 노년층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관련된 특성들을 이해하고, 이러한 지식을 장, 노년층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할 필요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장, 노년층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검증도 필요해 보인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의존 자각과 대처 행동 (Self-Awareness and Coping Behavior of Smartphone Dependence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 박정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36-34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의 스마트폰 의존에 대한 자각과 관련 요인, 자각 후 대처 행동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서 실시한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참여자 중 대학에 재학 중인 1,735명이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교차분석, 독립표본 T 검증, Pearson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22.3%가 스마트폰 의존 위험에 있었고, 의존 위험자의 63.6%는 의존을 자각하지 못하였다. 의존 자각과 관련된 요인은 스마트폰 의존 위험의 증가(��=.35, p=.000), 게임(��=.19, p=.000), 영상(��=.11, p=.000), 학업(��=.11, p=.000) 애플리케이션 사용의 증가였다. 의존을 자각한 대상자가 문제해결에 필요한 관련 공공기관을 알고 있는지 확인한 결과, 22.8%가 스마트쉼센터를 알고 있었고,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36.6%, 아이윌센터는 14.1%가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응답자 중 이용경험자는 스마트 쉼센터 5명, 아이윌센터 1명,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없었다. 응답자들은 의존을 극복하기 위해 더 많은 상담센터(26.8%),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23.2%), 스마트폰 의존에 대한 정보(14.9%), 가족과 주변 사람들의 도움(10.9%)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학생 5명 중 1명이 의존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의존 위험 대상자 3명 중 2명은 자신의 의존을 자각하지 못하며, 의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의존을 자각하더라도 실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공공기관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향후 이들이 스마트폰 의존에 대한 올바른 정보에 쉽게 접근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공공서비스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20대 성인의 스마트폰 의존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Smartphone Dependence among Adults in Their 20s)

  • 박정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95-204
    • /
    • 2020
  • 본 연구는 20대 성인의 스마트폰 의존 관련 요인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한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중 20대, 3,68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 검증, Pearson 상관관계, 가중치를 적용한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들은 스마트폰 의존도가 증가할수록 스마트폰 사용시간(β=.18, p=.000)과 빈도(β=.04, p=.000), 게임(β=.15, p=.000), 영상시청(β=.09, p=.000), 모바일 쇼핑(β=.05, p=.000), 업무(β=.05, p=.010), 이메일(β=.13, p=.000), 스포츠 배팅(β=.07, p=.000)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듣는 것(β=-.07, p=.000), 성인물 사용(β=-.07, p=.000)은 스마트폰 의존을 감소시키는 요인이었고, SNS(Social Networking Services)(β=.01, p=.358)와 메신저(β=-.02, p=.330)는 스마트폰 의존도의 유의한 관련 요인이 아니었다. 그러나 메신저는 대상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 유형이었고, 업무와 강한 상관관계를 가졌다(r=.55, p=.000). 본 연구를 통하여 20대 성인의 스마트폰 의존과 관련된 스마트폰 사용행태가 아동이나 청소년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20대 성인의 스마트폰 의존을 올바로 이해하고, 의존 조기발견과 예방 및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과 주의집중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phone Dependence and Attention)

  • 조은숙;황인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31-143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과 주의집중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3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4.0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은 자아탄력성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은 주의집중력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과 주의집중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자아탄력성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스마트폰 사용의 선용(善用) 교육, 스마트폰 활용과 관련한 가족모델의 정립과 보급,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실천적 노력과 훈련 병행 등의 제언을 하였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마트폰의존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Smartphone Depend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권혜민;김보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827-839
    • /
    • 2022
  • 스마트폰중독에 가장 취약한 집단으로 알려져 있는 초기청소년의 스마트폰의존에 대한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영향요인을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1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4학년 2,607명과 중학교 1학년 2,590명이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되었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마트폰의존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자아존중감, 공격성,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 부정적 양육태도로 나타났다. 한편 지역(규모), 경제수준, 건강상태, 학교생활만족도, 교사관계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의존도에는 유의하였으나 중학생에게는 유의하지 않았다. 중학생에게서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유의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초기청소년들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수립 및 사회서비스제공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의존이 건강, 수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KCYPS 2018)을 중심으로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e on health, sleep, and depression according to gender in adolescents: Focusing o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data 2018(KCYPS 2018))

  • 김무현;김준호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1-34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observe change in factors over time in the first cohort of the 2018 Children and Adolescent Panel Middle School.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variables by setting a time ga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Methods: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e on health,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After inputting the control variables (Model 2),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was identified based on the input model. Results: Smartphone dependence positively impacted depression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negatively impacted sleep and health. Conclusion: Smartphone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eenagers' lives. Additionally, as adolescents experience various psychological anxieties owing to rapid physical changes, there are concerns that psychological dependence may increase, considering that adolescence is the most emotionally unstable perio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sistently prove that smartphone dependence has a causal relationship with emotion-related variables, such as emotional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부모의 자존감이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녀가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al Self-esteem on Adolesc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Attitude)

  • 최혜리;박승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734-74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 자존감이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사이를 부모 양육태도가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8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 1차년도(2018) 중학교 1학년과 그들의 부모 2,590쌍의 자료를 추출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부모 자존감과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 자존감이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의 양육태도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양육태도의 6개 하위 요인 중 비일관성만이 유의미하였다. 결론적으로,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하기 위한 부모 측면의 요소로서, 부모 자신의 자존감 고취, 그리고 부모의 일관성 있는 양육태도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요소로서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을 위한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20대 성인의 의존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Dependence among Smartphone-Dependent Adults in Their 20s)

  • 박정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66-37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20대 성인의 의존 관련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한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자료 중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20대, 879명을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 검증,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유형은 메신저였고, 의존이 심각한 고위험군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s), 음악, 게임도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의존이 증가할수록 스마트폰 사용빈도가 매우 잦아지고(β=.16, p=.000), 게임(β=.10, p=.028), 웹툰(β=.14, p=.004), SNS(β=.09, p=.047), 금융거래(β=.17, p=.000) 애플리케이션 사용정도가 유의하게 높아졌다. 그러나 대상자들은 의존도가 비교적 낮을 때 자신의 스마트폰 의존에 대해 거의 인식하지 못하였고, 의존이 더욱 심각해진 후 자신이 다른 사람에 비해 좀 더 스마트폰에 의존한다고 인식하였다. 이것은 성인이 스스로 자신의 스마트폰 의존을 인식하기가 쉽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성인이 자신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첫 단계는 문제를 인식하는 것이다. 모든 스마트폰에 자신의 스마트폰 사용행태를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이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친구관계의 병렬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on Smartphone Dependence: Verifying the Paralle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Friendships)

  • 권이재;박순진;홍서준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7호
    • /
    • pp.65-73
    • /
    • 2023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무기력과 스마트폰 의존의 관계를 파악하고 자아존중감과 친구관계의 병렬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KCYPS) 4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에 응답한 청소년 중 무응답 및 이상 값 346명을 제거한 뒤 2,244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통계패키지 프로그램 SPSS WIN 25.0과 Hayes(2013)의 PROCESS Macro V 3.5를 활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은 스마트폰 의존에 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학업무기력과 스마트폰 의존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학업무기력과 스마트폰 의존의 관계에서 친구관계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제언과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