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Smartphone Depend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마트폰의존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 권혜민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보름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2.08.17
  • Accepted : 2022.10.04
  • Published : 2022.10.28

Abstract

The severity of smartphone dependence among early adolescents, known as the most vulnerable group to smartphone addiction, is increasing.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smartphone dependence of early adolescents were analyzed by separating into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1st data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2018) was us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607 4th grade from elementary school and 2,590 1st grade from middle school. Factors that affect to smartphone dependence of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common were gender, self-esteem, aggression, time spent with parents,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n the other hand, region(city size), economic level, health statu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were significant in the smartphone depend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not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middle school stud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mplications for policy establishment and social service provision were drawn to encourage the proper use of the by early youth.

스마트폰중독에 가장 취약한 집단으로 알려져 있는 초기청소년의 스마트폰의존에 대한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영향요인을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1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4학년 2,607명과 중학교 1학년 2,590명이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되었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마트폰의존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자아존중감, 공격성,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 부정적 양육태도로 나타났다. 한편 지역(규모), 경제수준, 건강상태, 학교생활만족도, 교사관계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의존도에는 유의하였으나 중학생에게는 유의하지 않았다. 중학생에게서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유의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초기청소년들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수립 및 사회서비스제공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부산대학교 4단계 BK21 대학원 혁신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방송통신위원회, 스마트폰.PC 이용행태 변화, 2020.
  2. 여성가족부,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 치료 매뉴얼, 2013.
  3. 이연정, 이소영, 이아름, 반건호, 최태영, 김지연, 김지훈, 박은진, 박준성, 방수영, 이문수, 이소희, 최상철, "아동과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의견 조사," 신경정신의학, 제54권, 제4호, pp.556-563, 2015.
  4. 박혜선, 김형모,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498-51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498
  5. 신성철, 백석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위기관리논집, 제9권, 제11호, pp.345-362, 2013.
  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2019.
  7. 여성가족부,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초등학생 증가 추세 뚜렷, 정책뉴스, 2022.
  8. 관계부처합동, 스마트폰.인터넷 과의존 예방 및 해소종합계획(2019~2021), 2018.
  9. https://www.kyci.or.kr/userSite/index.asp
  10. https://www.iapc.or.kr/kor/index.do
  11. http://gsiwill.or.kr/contents/main/
  12. J. S. Eccles, C, Midgley, A. Wigfield, C. M. Buchanan, D. Reuman, C. Flanagan, and D. MacIver, Development During Adolescence,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1993.
  13. R. M. Lerner, A. M. Freund, I. De Stefanis, and T. Habermas, "Understanding developmental regulation in adolescence: The use of the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model," Human Development, Vol.44, No.1, pp.29-50, 2001. https://doi.org/10.1159/000057039
  14. 박미진, 김광웅, "아동,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개념과 개인 심리적 요인 및 임상적 개입에 대한 논의: 2011년~2015년까지 발표된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8권, 제2호, pp.97-113, 2015.
  15. 성주희, 홍혜영, "대학생 완벽주의 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제13권, 제1호, pp.325-340, 2012. https://doi.org/10.15703/KJC.13.1.201202.325
  16. 김영민, 임영식,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잉적 양육, 자아탄력성,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2호, pp.343-366, 2013.
  17. 강민정, 이명순, "청소년 우울 및 자살관련 행태와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련성,"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1권, 제5호, pp.147-158, 2014.
  18. 박상규, 조혜선, "행복 및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3권, 제4호, pp.1095-1102, 2018.
  19. 우수정, "부모의 아동학대와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인터넷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pp.771-789, 2018.
  20. 장성화,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또래관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자기통제력을 매개변인으로," 아동교육, 제28권, 제2호, pp.167-179, 2019.
  21. 아영아, 이명희, 이화명, 김진영, 고영희, 최미숙, 아동복지론, 양서원, 경기, 2018.
  22. 배성만, "가족관계, 스마트폰의 중독적 사용 및 정서적 문제간의 인과관계," 정보화정책, 제22권, 제3호, pp.36-46, 2015. https://doi.org/10.22693/NIAIP.2015.22.3.036
  23. 이현정, 김세경, 천성문, "부모자녀관계 변인과 청소년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 재활심리연구, 제23권, 제2호, pp.329-348, 2016.
  24. 김남희, 윤명숙, "과잉간섭과 방임이 청소년의 또래 소외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제41권, 제2호, pp.283-312, 2017.
  25. 장미경, 이은경, "초등학생의 인터넷사용욕구와 부모 관련변인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4호, pp.1125-1138, 2007.
  26. 정인경, 김정현,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 과학지, 제28권, 제2호, pp.289-300, 2017.
  27. 노충래, 김소연,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 효과," 한국청소년연구, 제27권, 제4호, pp.87-114, 2016. https://doi.org/10.14816/SKY.2016.27.4.87
  28. 주소희, "개인요인, 부모요인, 또래요인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스마트폰 과다 사용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제10권, 제4호, pp.1651-1662, 2019.
  29. 신하나, 정세훈, "아동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및 사회환경적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5권, 제3호, pp.4-50, 2018.
  30. 유숙경, 김진숙, 박영진, "부모양육태도, 정신건강, 학교생활적응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제27권, 제2호, pp.145-161, 2018.
  31. 류세인, 조인숙,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9호, pp.6180-6189,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9.6180
  32. 김형지, 정세훈,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부모중재, 학교교육 및 심리적 반발심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2권, 제1호, pp.87-120, 2015.
  33. 이규현, 권윤희,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영향요인,"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21권, 제5호, pp.783-790, 2014,
  34. 권태연,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휴대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 비교," 사회과학연구, 제14권, 제1호, pp.57-86, 2021.
  35. 김병성, 홍세중, 최현림, 원장원, "초등 및 중학생의 인터넷중독 실태와 관련요인," 경희의학, 제24권, 제1호, pp.30-40, 2008.
  3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 유저가이드, 2020.
  37. 이시형, 김학수, 나은영, 이세용, 김선남, 배진한,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제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2002-1호, 2002.
  38. M. Ros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9. 조붕환, 임경희,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5권, 제4호, pp.729-746, 2003.
  40.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간이 정신진단검사 실시 요강, 중앙적성연구소, 1984.
  41. 김태명, 이은주,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부모양육태도척도 (PSCQ_KA) 의 타당화,"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3호, pp.313-333, 2017.
  42. 배성만, 홍지영, 현명호, "청소년 또래관계 질 척도의 타당화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5호, pp.325-344, 2015.
  43. 김종백, 김남희, "교원평가를 위한 지표로서 학생-교사 애착관계도구 (STARS) 개발과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제23권, 제4호, pp.697-714, 2009.
  44. 김기태, 이현주, 문신일, "청소년의 스마트폰 네트워크 크기, 이용행태, 또래친구와의 관계지향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30권, 제4호, pp.5-40, 2016.
  45. 김도연, 양혜정, "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의 변화에 대한 생태학적 요인의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제25권, 제3호, pp.169-197, 2014. https://doi.org/10.14816/SKY.2014.25.3.169
  46. 김현순, 최영준,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 에 대한 성차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340-35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340
  47. L. Armstrong, J. G. Phillips, and L. L. Saling, "Potential determinants of heavier internet usag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53, No.4, pp.537-550, 2000. https://doi.org/10.1006/ijhc.2000.0400
  48. J. Colwell and J. Payne, "Negative correlates of computer game play in adolescent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ol.91, No.3, pp.295-310, 2000. https://doi.org/10.1348/000712600161844
  49. 배성만, "중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 만족도가 휴대폰 중독적 사용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1호, pp.271-290, 2014.
  50. 백소진, 오홍석,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4 권, 제5호, pp.31-54, 2017.
  51. 조영윤, 고윤순, "사회적지지가 빈곤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제36권, pp.175-199,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