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phone Overus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1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매개적 역할 (The Mediating Roles of Preschoolers'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 박보경;박남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117-136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s of preschoolers'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Methods: A total of 268 mothers of preschool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three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First, maternal warmth/encouragement was nega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while maternal overprotectiveness/permission and rejection/neglect were posi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Second, maternal warmth/encouragement and limit setting were positively linked to preschoolers' self-regulation, but maternal overprotectiveness/permission and rejection/neglect were negatively linked to preschoolers' self-regulation. Thir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Finally, preschoolers' self-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warmth/encouragement and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veness/permission, rejection/neglect and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sitive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ffective self-regulation are important in order to decrease preschoolers' smartphone overuse.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develop program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preschoolers' smartphone addiction.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구강건강의 관련성: 제13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Time and Oral Health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13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17))

  • 김예은;김해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09-31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구강건강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2017년 제13차 청소년건강행태 설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62,276명의 대상자를 포함시켰다. 스마트폰 하루 총 사용시간은 사용하지 않음, 2시간 미만, 2시간 이상 4시간 미만, 4시간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구강질환증상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적 특성을 보정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전체 대상자 중 60.1%(37,305명)의 청소년이 최근 12개월 이내 구강질환증상 경험이 있었고, 스마트폰 사용자의 61.7%가 구강질환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4시간/일 이상인 청소년은 전체 대상자 중 27.4%, 주말의 경우 53.8%로 나타났고, 스마트폰의 4시간/일 이상 사용한 청소년은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청소년에 비해 구강질환증상을 경험할 위험이 주중(adjusted Odds ratio, aOR=1.78; 95% confidence interval, CI=1.67-1.91)과 주말(aOR=1.81, 95%CI=1.70-1.9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종합해보았을 때,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도한 사용은 구강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통제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구강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