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Roles of Preschoolers'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매개적 역할

  • 박보경 (경민대학교 아동보육과) ;
  • 박남심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Received : 2018.08.15
  • Accepted : 2018.10.04
  • Published : 2018.10.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s of preschoolers'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Methods: A total of 268 mothers of preschool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three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First, maternal warmth/encouragement was nega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while maternal overprotectiveness/permission and rejection/neglect were posi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Second, maternal warmth/encouragement and limit setting were positively linked to preschoolers' self-regulation, but maternal overprotectiveness/permission and rejection/neglect were negatively linked to preschoolers' self-regulation. Thir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Finally, preschoolers' self-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warmth/encouragement and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veness/permission, rejection/neglect and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sitive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ffective self-regulation are important in order to decrease preschoolers' smartphone overuse.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develop program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preschoolers' smartphone addiction.

Keywords

References

  1. 권미경, 박현숙, 유주희, 한경옥 (2016). 유아기 스마트폰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23(4), 121-138. doi:10.15284/kjhd.2016.23.4.121
  2. 권미영, 정윤주 (2018).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간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1(1), 153-169. doi:10.17641/KAPT.21.1.8
  3. 김경회, 정지나 (2014).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남녀 유아의 게임몰입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3(2), 219-229. doi:10.5934/kjhe.2014.23.2.219
  4. 김남선, 이규은 (2012).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7(2), 72-83.
  5. 김리진, 정옥분 (2012).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능력의 관계: 보육교사-유아 관계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인간발달연구, 19(1), 89-104.
  6. 김민석, 문혁준 (2015).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분석 및 부모 관련 변인 연구. 인간발달연구, 22(1), 77-99. doi:10.15284/kjhd.2015.22.1.77
  7. 김민희 (2015). 유아의 자기조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중독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33-151. doi:10.14698/jkcce.2015.11.133
  8. 김병년, 최홍일 (2013).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9(1), 1-25.
  9. 김송이, 김현수 (2016). 유아의 자극추구 및 위험회피 기질과 스마트폰 과다사용과의 관계에서 모-유아 애착안정성의 매개 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1(3), 45-63.
  10. 김수미, 최진아 (2015). 어머니의 놀이성, 유아의 놀이성, 자기조절 능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간의 관계. 놀이치료연구, 19(2), 39-54.
  11. 김영선, 이숙 (2013). 초등학생의 어머니 양육태도 지각과 자기조절에 관한 연구. 한국부모놀이치료학회지, 4, 57-72.
  12. 김영옥, 홍지명, 김세루, 김권일 (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205-228.
  13. 김윤나, 박희숙 (2016).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과 놀이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0(4), 337-353.
  14. 김정겸, 강영식 (2016).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경험이 정서조절과 주의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4), 97-109. doi:10.14257/AJMAHS.2016.04.13
  15. 김정희, 안귀여루 (2013).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4), 823-836. doi:10.17315/kjhp.2013.18.4.013
  16. 김지현 (2010). 유아의 인터넷 게임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조절.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8), 77-86.
  17. 김현수, 이미연 (2017).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관련 있는 유아 개인 변인 연구.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2(1), 1-21. doi:10.23931/kacp.2017.12.1.01
  18. 남경희 (2018).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미디어 중재역할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13(1), 117-137. doi:10.16978/ecec.2018.13.01.005
  19. 남궁령 (2014). 유아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정서표현성, 어머니 양육효능감, 유아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 검증. 열린유아교육연구, 19(3), 131-157.
  20. 박가화, 이지민 (2018). 과잉양육행동과 또래소외가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경향성의 매개효과 및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6(2), 145-156. doi:10.6115/fer.2018.011
  21. 박경선, 문혁준 (2014).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관적응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3), 135-157.
  22. 박라진, 박혜원 (2016. 9). 유아의 실행기능 및 부모중재가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2016 한국보육지원학회.한국생애학회 공동추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성남.
  23. 박주희 (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반하라, 신나리 (2017). 유아의 과잉행동성향과 자아탄력성이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8(4), 117-128. doi:10.5723/kjcs.2017.38.4.117
  25. 송주연, 장미연 (2014).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자기효능감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84, 121-142.
  26. 오윤경, 이미현, 최혜순 (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5(4), 169-191. doi:10.21183/kjcm.2016.12.15.4.169
  27. 유숙경, 김진숙, 박영진 (2018). 부모양육태도, 정신건강, 학교생활적응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7(2), 145-161. doi:10.17643/KJCE.2018.27.2.08
  28. 윤진주, 강신영, 이복주 (2005). 유아의 공격성과 관련변인들의 관계성 연구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4(5), 761-770.
  29. 윤태정 (2015). 만 3, 4,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평가 척도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수진, 문혁준 (2013). 중학생의 자기통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및 학교생활만족도가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2(6), 587-598. doi:10.5934/kjhe.2013.22.6.587
  31. 이연실 (2010).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과의 관계. 정서.행동장애연구, 26(3), 63-90.
  32. 이유진 (2016a). 유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에 대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생애학회지, 6(1), 57-71. doi:10.30528/jolss.2016.6.1.002
  33. 이유진 (2016b). 만 3-5세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요인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상대적 영향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1), 101-125.
  34.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이정미, 김진경 (2017). 부모의 애착표상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8(1), 17-31. doi:10.5723/kjcs.2017.38.1.17
  36. 이종은, 김지윤, 박은혜, 강현아 (2017). 모-자녀 상호작용이 유아의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미디어 이용 정도를 매개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6), 163-179. doi:10.14698/jkcce.2017.13.06.163
  37. 이화선, 손수민 (2017).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2(1), 249-271. doi:10.20437/KOAECE22-1-10
  38. 임경심, 김수향, 홍혜경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자기조절력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203-221.
  39. 장영숙 (2009).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207-225.
  40. 전초원, 성현란 (2017. 8).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유아의 기억과 추론에 미치는 영향: 이야기 회상, 일반 추론 및 사회적 추론을 중심으로. 2017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논문, 서울.
  41. 조경서, 김은주 (2016).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53, 77-104.
  42. 조영숙, 이양희 (2009).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과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과의 관련성 탐색.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7(6), 51-66.
  43. 조유나, 최윤이 (2010). 유아의 식습관과 자기조절력의 관계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61, 217-233.
  44. 조윤미, 이형선 (2016).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1(2), 1-16.
  45. 조정진, 조안나 (2015).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0), 647-657. doi:10.5392/JKCA.2015.15.10.647
  46. 진미령, 신성만 (2016).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도피이론(Escape Theory)'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1(1), 31-53.
  47. 진은희, 이경순 (2017).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 간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3(4), 683-708. doi:10.15833/KAFEIAM.23.4.683
  48. 채경진, 유연옥 (2015). 유아의 활동성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7(1), 19-34.
  49. 한은애 (2013).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51. Cho, K. S., & Lee, J. M. (2017).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of young children on problematic behavi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ing self-assessment effects of parents using smartphon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6, 303-311. doi:10.1016/j.chb.2016.09.063
  52. Choe, D. E., Olson, S. L., & Sameroff, A. J. (2013). Effects of early maternal distress and parenting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externalizing behavior.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5(2), 437-453. doi:10.1017/S0954579412001162
  53. Colman, R. A., Hardy, S. A., Albert, M., Raffaelli, M., & Crockett, L. (2006). Early predictors of self-regulation in middle childhood.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5(4), 421-437. doi:10.1002/icd.469
  54. Garner, P. W., & Waajid, B. (2012). Emotion knowledge and self-regulation as predictors of preschoolers’ cognitive ability, classroom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30(4), 330-343. doi:10.1177/0734282912449441
  55. Genc, Z. (2014). Parents’ perceptions about the mobile technology use of preschool aged children.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46, 55-60. doi:10.1016/j.sbspro.2014.08.086
  56. Gokcearslan, S., Mumcu, F. K., Haslaman, T., & Cevik, Y. D. (2016). Modelling smartphone addiction: The role of smartphone usage, self-regulation, general self-efficacy and cyberloafing in university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3, 639-649. doi:10.1016/j.chb.2016.05.091
  57. Heimpel, N. F., Qian, X., & Song, W. (2018). Parenting and child self-regulation in Chinese families: A multi-informant study.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7(7), 2343-2353. doi:10.1007/s10826-018-1063-y
  58. Karreman, A., van Tuijl, C., van Aken, M. A. G., & Dekovic, M. (2006). Parenting and self-regulation in preschoolers: A meta-analysi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5(6), 561-579. doi:10.1002/icd.478
  59. Kwak, J. Y., Kim, J. Y., & Yoon, Y. W. (2018). Effect of parental neglect on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in South Korea. Child Abuse & Neglect, 77, 75-84. doi:10.1016/j.chiabu.2017.12.008
  60. Lee, S., Lee, K., Yi, S. H., Park, H. J., Hong, Y. J., & Cho, H. (2016).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child’s school life: Mobile phone dependency as mediator.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5(2), 407-418. doi:10.1007/s10826-015-0251-2
  61. Lonigan, C. J., Spiegel, J. A., Goodrich, J. M., Morris, B. M., Osborne, C. M., Lerner, M. D. et al. (2017). Does preschool self-regulation predict later behavior problems in general or specific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45(8), 1491-1502. doi:10.1007/s10802-016-0260-7
  62. McCloskey, M., Johnson, S. L., Benz, C., Thompson, D. A., Chamberlin, B., Clark, L. et al. (2018). Parent perceptions of mobile device use among preschool-aged children in rural head start centers.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50(1), 83-89. doi:10.1016/j.jneb.2017.03.006
  63. Russell, B. S., Lee, J. O., Spieker, S., & Oxford, M. L. (2016). Parenting and preschool self-regulation as predictors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in 1st grade.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30(2), 153-169. doi:10.1080/02568543.2016.1143414
  64. Sun, J., Liu, Q., & Yu, S. (2019). Child neglect, psychological abuse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Chinese adolescents: The ro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yl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90, 74-83. doi:10.1016/j.chb.2018.08.032
  65. Suchodoletz, A. v., Trommsdorff, G., & Heikamp, T. (2011). Linking maternal warmth and responsiveness to children's self-regulation. Social Development, 20(3), 486-503. doi:10.1111/j.1467-9507.2010.00588.x
  66. Willoughby, M., Kupersmidt, J., Voegler-Lee, M., & Bryant, D. (2011). Contributions of hot and cool self-regulation to preschool disruptive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36(2), 162-180. doi:10.1080/87565641.2010.549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