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8.14.05.117

The Mediating Roles of Preschoolers'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Park, Bokyung (경민대학교 아동보육과)
Park, Nam-Shim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4, no.5, 2018 , pp. 117-13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s of preschoolers'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Methods: A total of 268 mothers of preschool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three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First, maternal warmth/encouragement was nega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while maternal overprotectiveness/permission and rejection/neglect were posi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Second, maternal warmth/encouragement and limit setting were positively linked to preschoolers' self-regulation, but maternal overprotectiveness/permission and rejection/neglect were negatively linked to preschoolers' self-regulation. Thir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Finally, preschoolers' self-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warmth/encouragement and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veness/permission, rejection/neglect and preschooler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sitive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ffective self-regulation are important in order to decrease preschoolers' smartphone overuse.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develop program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preschoolers' smartphone addiction.
Keywords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self-regulation;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s; preschool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윤태정 (2015). 만 3, 4,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평가 척도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이수진, 문혁준 (2013). 중학생의 자기통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및 학교생활만족도가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2(6), 587-598. doi:10.5934/kjhe.2013.22.6.587   DOI
3 이연실 (2010).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과의 관계. 정서.행동장애연구, 26(3), 63-90.
4 이유진 (2016a). 유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에 대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생애학회지, 6(1), 57-71. doi:10.30528/jolss.2016.6.1.002
5 이유진 (2016b). 만 3-5세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요인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상대적 영향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1), 101-125.
6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이정미, 김진경 (2017). 부모의 애착표상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8(1), 17-31. doi:10.5723/kjcs.2017.38.1.17   DOI
8 이종은, 김지윤, 박은혜, 강현아 (2017). 모-자녀 상호작용이 유아의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미디어 이용 정도를 매개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6), 163-179. doi:10.14698/jkcce.2017.13.06.163   DOI
9 이화선, 손수민 (2017).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2(1), 249-271. doi:10.20437/KOAECE22-1-10
10 김경회, 정지나 (2014).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남녀 유아의 게임몰입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3(2), 219-229. doi:10.5934/kjhe.2014.23.2.219   DOI
11 Lee, S., Lee, K., Yi, S. H., Park, H. J., Hong, Y. J., & Cho, H. (2016).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child’s school life: Mobile phone dependency as mediator.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5(2), 407-418. doi:10.1007/s10826-015-0251-2
12 Lonigan, C. J., Spiegel, J. A., Goodrich, J. M., Morris, B. M., Osborne, C. M., Lerner, M. D. et al. (2017). Does preschool self-regulation predict later behavior problems in general or specific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45(8), 1491-1502. doi:10.1007/s10802-016-0260-7   DOI
13 McCloskey, M., Johnson, S. L., Benz, C., Thompson, D. A., Chamberlin, B., Clark, L. et al. (2018). Parent perceptions of mobile device use among preschool-aged children in rural head start centers.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50(1), 83-89. doi:10.1016/j.jneb.2017.03.006   DOI
14 Russell, B. S., Lee, J. O., Spieker, S., & Oxford, M. L. (2016). Parenting and preschool self-regulation as predictors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in 1st grade.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30(2), 153-169. doi:10.1080/02568543.2016.1143414   DOI
15 Sun, J., Liu, Q., & Yu, S. (2019). Child neglect, psychological abuse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Chinese adolescents: The ro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ping styl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90, 74-83. doi:10.1016/j.chb.2018.08.032   DOI
16 Suchodoletz, A. v., Trommsdorff, G., & Heikamp, T. (2011). Linking maternal warmth and responsiveness to children's self-regulation. Social Development, 20(3), 486-503. doi:10.1111/j.1467-9507.2010.00588.x   DOI
17 조경서, 김은주 (2016).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53, 77-104.
18 임경심, 김수향, 홍혜경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자기조절력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203-221.
19 장영숙 (2009).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207-225.
20 전초원, 성현란 (2017. 8).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유아의 기억과 추론에 미치는 영향: 이야기 회상, 일반 추론 및 사회적 추론을 중심으로. 2017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논문, 서울.
21 Karreman, A., van Tuijl, C., van Aken, M. A. G., & Dekovic, M. (2006). Parenting and self-regulation in preschoolers: A meta-analysi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5(6), 561-579. doi:10.1002/icd.478   DOI
22 Willoughby, M., Kupersmidt, J., Voegler-Lee, M., & Bryant, D. (2011). Contributions of hot and cool self-regulation to preschool disruptive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36(2), 162-180. doi:10.1080/87565641.2010.549980   DOI
23 Choe, D. E., Olson, S. L., & Sameroff, A. J. (2013). Effects of early maternal distress and parenting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externalizing behavior.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5(2), 437-453. doi:10.1017/S0954579412001162   DOI
24 Colman, R. A., Hardy, S. A., Albert, M., Raffaelli, M., & Crockett, L. (2006). Early predictors of self-regulation in middle childhood.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5(4), 421-437. doi:10.1002/icd.469   DOI
25 Garner, P. W., & Waajid, B. (2012). Emotion knowledge and self-regulation as predictors of preschoolers’ cognitive ability, classroom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30(4), 330-343. doi:10.1177/0734282912449441   DOI
26 Genc, Z. (2014). Parents’ perceptions about the mobile technology use of preschool aged children.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46, 55-60. doi:10.1016/j.sbspro.2014.08.086   DOI
27 Gokcearslan, S., Mumcu, F. K., Haslaman, T., & Cevik, Y. D. (2016). Modelling smartphone addiction: The role of smartphone usage, self-regulation, general self-efficacy and cyberloafing in university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3, 639-649. doi:10.1016/j.chb.2016.05.091   DOI
28 Heimpel, N. F., Qian, X., & Song, W. (2018). Parenting and child self-regulation in Chinese families: A multi-informant study.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7(7), 2343-2353. doi:10.1007/s10826-018-1063-y   DOI
29 Kwak, J. Y., Kim, J. Y., & Yoon, Y. W. (2018). Effect of parental neglect on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in South Korea. Child Abuse & Neglect, 77, 75-84. doi:10.1016/j.chiabu.2017.12.008   DOI
30 조유나, 최윤이 (2010). 유아의 식습관과 자기조절력의 관계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61, 217-233.
31 조윤미, 이형선 (2016).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1(2), 1-16.
32 조정진, 조안나 (2015).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0), 647-657. doi:10.5392/JKCA.2015.15.10.647   DOI
33 진미령, 신성만 (2016).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도피이론(Escape Theory)'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1(1), 31-53.
34 조영숙, 이양희 (2009).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과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과의 관련성 탐색.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7(6), 51-66.
35 진은희, 이경순 (2017).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 간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3(4), 683-708. doi:10.15833/KAFEIAM.23.4.683
36 채경진, 유연옥 (2015). 유아의 활동성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7(1), 19-34.
37 한은애 (2013).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DOI
39 Cho, K. S., & Lee, J. M. (2017).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of young children on problematic behavi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ing self-assessment effects of parents using smartphon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6, 303-311. doi:10.1016/j.chb.2016.09.063   DOI
40 김리진, 정옥분 (2012).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능력의 관계: 보육교사-유아 관계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인간발달연구, 19(1), 89-104.
41 김민석, 문혁준 (2015).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분석 및 부모 관련 변인 연구. 인간발달연구, 22(1), 77-99. doi:10.15284/kjhd.2015.22.1.77
42 김수미, 최진아 (2015). 어머니의 놀이성, 유아의 놀이성, 자기조절 능력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간의 관계. 놀이치료연구, 19(2), 39-54.
43 김민희 (2015). 유아의 자기조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중독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33-151. doi:10.14698/jkcce.2015.11.133   DOI
44 김병년, 최홍일 (2013).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9(1), 1-25.
45 김송이, 김현수 (2016). 유아의 자극추구 및 위험회피 기질과 스마트폰 과다사용과의 관계에서 모-유아 애착안정성의 매개 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1(3), 45-63.
46 김영선, 이숙 (2013). 초등학생의 어머니 양육태도 지각과 자기조절에 관한 연구. 한국부모놀이치료학회지, 4, 57-72.
47 김남선, 이규은 (2012).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7(2), 72-83.
48 김영옥, 홍지명, 김세루, 김권일 (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205-228.
49 김윤나, 박희숙 (2016).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과 놀이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0(4), 337-353.
50 김정겸, 강영식 (2016).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경험이 정서조절과 주의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4), 97-109. doi:10.14257/AJMAHS.2016.04.13
51 김정희, 안귀여루 (2013).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4), 823-836. doi:10.17315/kjhp.2013.18.4.013
52 김지현 (2010). 유아의 인터넷 게임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조절.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8), 77-86.
53 박가화, 이지민 (2018). 과잉양육행동과 또래소외가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경향성의 매개효과 및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6(2), 145-156. doi:10.6115/fer.2018.011   DOI
54 김현수, 이미연 (2017).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관련 있는 유아 개인 변인 연구.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2(1), 1-21. doi:10.23931/kacp.2017.12.1.01
55 남경희 (2018).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미디어 중재역할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13(1), 117-137. doi:10.16978/ecec.2018.13.01.005
56 남궁령 (2014). 유아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정서표현성, 어머니 양육효능감, 유아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 검증. 열린유아교육연구, 19(3), 131-157.
57 박경선, 문혁준 (2014).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관적응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3), 135-157.
58 박라진, 박혜원 (2016. 9). 유아의 실행기능 및 부모중재가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2016 한국보육지원학회.한국생애학회 공동추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성남.
59 박주희 (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0 반하라, 신나리 (2017). 유아의 과잉행동성향과 자아탄력성이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8(4), 117-128. doi:10.5723/kjcs.2017.38.4.117
61 송주연, 장미연 (2014).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자기효능감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84, 121-142.
62 오윤경, 이미현, 최혜순 (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5(4), 169-191. doi:10.21183/kjcm.2016.12.15.4.169
63 유숙경, 김진숙, 박영진 (2018). 부모양육태도, 정신건강, 학교생활적응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7(2), 145-161. doi:10.17643/KJCE.2018.27.2.08
64 권미영, 정윤주 (2018).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간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1(1), 153-169. doi:10.17641/KAPT.21.1.8
65 윤진주, 강신영, 이복주 (2005). 유아의 공격성과 관련변인들의 관계성 연구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4(5), 761-770.
66 권미경, 박현숙, 유주희, 한경옥 (2016). 유아기 스마트폰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23(4), 121-138. doi:10.15284/kjhd.2016.23.4.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