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phone Overus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2017년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활용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사용으로 인한 주관적 건강과 행복, 신체활동 및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of Self-Rated Health and Happiness,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by Smartphone Overuse using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7)

  • 문종훈;송이슬;성현용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515-524
    • /
    • 2019
  • 본 연구는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량에 따른 주관적 건강 및 행복감, 신체활동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7년(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성별, 주관적 건강 및 행복감, 신체활동, 정신건강(주관적 스트레스, 우울감, 자살계획)으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스마트폰 과사용 시간으로 하여, SPSS 22를 이용하여 각 변수에 대한 빈도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스마트폰 과사용이 1.49배~1.67배 높았으며, 주관적으로 건강한 자는 그렇지 않은 자보다 1.2배~1.35배, 신체활동이 많은 자는 그렇지 않은 자보다 스마트폰 과사용이 1.17배~1.18배 높았다(p<.001). 반면, 주관적 행복감은 스마트폰 사용량을 예측하지 못했다. 또한 주관적 스트레스와 우울감이 있는 자는 없는 자에 비해 스마트폰 과사용이 각각 1.13배~1.22배, 그리고 1.37배~1.54배, 자살계획이 있는 자는 없는 자보다 스마트폰 과사용이 1.17배~1.24배 높았다(p<.001).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과사용과 주관적 행복을 제외한 주관적 건강, 신체활동 및 정신건강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주의력결핍, 학습환경,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excessive smartphone use on attention deficit, learning environmen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health college students)

  • 임인철;장경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29-137
    • /
    • 2017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주의력결핍, 학습환경과 학습지연행동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을 파악하고자 2017년 3월 6일부터 6월 12일까지 부산광역시 보건계열 25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사용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과다사용정도, 주의력결핍, 학습환경, 학업지연행동 정도는 스마트폰의 하루 사용시간, 스마트폰 중독 인식과 수업시간 개인사용 경험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01). 스마트폰 과다사용은 주의력결핍(r=0.870, p<0.01), 학습환경(r=0.812, p<0.01), 학업지연행동(r=0.772, p<0.01)과 정적상관을 보였고, 주의력결핍은 학습환경(r=0.918, p<0.01), 학업지연행동(r=0.798, p<0.01)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학습환경은 학업지연행동(r=0.777, p<0.01)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미치는 영향요인은 주의력결핍(p<0.001), 학업지연행동(p<0.01)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예방과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으로 보건계열 대학생의 건강한 학습환경 조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스마트폰 사용 패턴 수집 및 분석을 통한 스마트폰 중독 및 질병 예방 시스템 (A Smartphone Addiction and Disease Prevention System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Smartphone Usage Patterns)

  • 류명운;류요한;현우석;임지영;유일선;정해덕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95-104
    • /
    • 2015
  •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과도한 스마트폰의 사용과 잘못된 이용습관은 '스마트폰 중독(smartphone addiction)'과 '스마트폰 질병(smartphone disease)'과 같은 새로운 사회적 문제점들을 야기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자의 패턴을 방향센서를 이용해서 수집하고 분석해서 스마트폰 중독 및 질병을 예방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형태와 사용시간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 줌으로써 사용자 자신이 사전에 위험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자신의 의지로 스마트폰 사용을 절제하도록 하여 스마트폰 중독 및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따른 정신건강과 신체건강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by College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 윤현서;권명순;유정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11-423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to form a healthy smartphone culture and serve as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by understanding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caused by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The data collected from 261 college students at G and S city universitie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consented to take part in the study were analyzed on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Chi square test and t-test using SPSS 20.0. Resul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type of college,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The smartphone addiction risk group showed higher score in life stress, depression,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than the general user group and the physical health was also higher in the risk group than the general user group.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customized intervention plan per each person's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addiction to prevent addiction and improve health condition from overuse of smartphone.

스마트 폰 사용에 따른 경추부 근육의 생체역학성 (Bi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ervical Muscles Depending on Using of a Smartphone)

  • 김용우;김맹규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3호
    • /
    • pp.543-551
    • /
    • 2016
  • 본 연구는 스마트 폰을 사용(≥ 60분/일)하는 건강한 20대 남성 50명을 대상으로 두부의 움직임에 직접 관여하는 경추부 근육(두판상근, 흉쇄유돌근, 상부승모근)에 연부조직 측정기 Myoton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 사용정도와 경추부 근육의 기계적 속성의 관련성을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스마트 폰 사용정도는 전용의 중독 척도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경추부 근육의 기계적 속성은 Myoton을 이용하여 근 긴장도(frequency), 동강성(stiffness), 점탄성(decrement), 근변형률(creep) 및 회복시간(relaxation)의 반영지표를 각각 산출하였다. 스마트 폰 사용에 의한 중독 점수와 경추부 근육의 기계적 속성을 반영하는 각 지표와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계적 속성을 반영한 모든 parameters의 변동계수는 각각 2% 미만이었으며, 측정자 신뢰도인 급내상관계수 역시 높은 신뢰성이 도출되었다(ICC>.9, p<.01). 스마트 폰 중독점수는 상부승모근의 근 긴장도(r=.353, p<.05)와 동강성(r=.346, p<.05), 흉쇄유돌근의 점탄성(r=-.284, p<.05)과 근 변형률(r=.288, p<.05)과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고, 특히 두부 통증과 관련된 두판상근의 근 긴장도(r=-.368, p<.01), 점탄성(r=-.405, p<.01), 동강성(r=-.424, p<.01)과의 높은 상관계수로 스마트 폰 과사용과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젊은 남성들에 있어서 스마트 폰 과사용은 경추부 근 손상과 통증 및 두통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며, Myoton은 경추부 근육 성질을 예측 및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기기임을 알 수 있었다.

음악의 정서안정 효과에 대한 분석 -청소년기 스마트 폰 과다 사용으로 인한 공격적 성향 완화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for emotion stability though music - In prioirty of relieve the adolescent's aggression from smartphone overuse)

  • 김관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37-244
    • /
    • 2017
  • 본 연구는 이용자들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해주는 반면 정신적, 신체적 장애는 물론 학습능력 저하, 사회 부적응, 충동적 행동 등을 유발하는 스마트 폰 사용에 의한 병리현상과 그 예방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스마트 폰 중독 요인을 살펴보고 요인간의 분석을 통해 신체적, 언어적 공격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WIN 22.0 통계프로그램의 사용으로 연구 대상자들에 대하여 빈도분석, 주성분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 희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스마트 폰 사용 시간에 따라 '가상지향', '일상장애', '내성', '금단' 증상으로 판별 요인이 요약되었으며, '적대감', '언어적 공격성', '신체적 공격성'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적공격성 r=.668, 언어적공격성 r=.704, 적대감 r=.481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본 연구는 스마트폰 과다 사용에 대한 공격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함 이였으며 청소년들의 정서함양에 음악이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근거로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향후 스마트 폰 과다 사용에 따르는 병리현상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예방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청소년들의 안정적인 정서에 도움이 되는 연구의 기초적 이론을 제공하기 위함 이다.

스마트폰 과사용이 청소년의 건강과 학업에 미치는 영향 :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Influences of Smartphone Overuse on Health and Academic Impairment in Adolescents : Using Data from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2017)

  • 문종훈;전민재;송이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77-186
    • /
    • 2019
  • 본 연구는 스마트폰 과사용이 청소년의 건강과 학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도에 시행한 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조사는 청소년(중학생과 고등학생) 64,99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62,276명이 조사에 참여해 참여율 95.8%를 나타냈다. 연구자는 SPSS 22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 t 검정, 카이제곱 검정,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62,276명 중 54,603명으로 87.7%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사용목적은 메신저(1순위, 27.3%), SNS(2순위, 18.7%), 게임(3순위, 13.3%)으로 나타났다. 하루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206.68±194.73분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유의하게 더 많았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206분 이상인 학생은 206분 미만인 학생보다 건강과 학업수행에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학업능력은 약한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r=.245).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사용량이 높을수록 건강수준과 학업능력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고 저자는 이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차이 (Comparing the Mobile-phone Overuse by Gender and School Levels)

  • 윤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1-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성별과 학교급별 휴대전화 과다사용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남녀공학 중 고등학교를 각 1개씩 편의표집하고, 휴대전화 과다사용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검사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으며, 565명의 자료 중 휴대전화 과다사용 수준이 표본 평균보다 높은 253명을 추출하여 일원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다변량분산분석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추가적인 단변량 분석 결과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일상생활장애'와 '내성' 요인에, 학교급에 따른 차이는 '학교생활장애', '일상생활장애', '긍정적기대' 요인에 대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단계적 분석을 적용할 경우 성별 차이는 '일상생활장애'에서, 학교급별 차이는 '긍정적기대'를 제외한 4개 요인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휴대전화 과다사용 예방과 치료에 있어서 성별과 학교급과 같은 사용자의 기본 특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Association Between Screen Overuse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Choi, Yeonkyu;Lee, Dong Yun;Lee, Sangha;Park, Eun-Jin;Yoo, Hee Jeong;Shin, Yunmi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2권4호
    • /
    • pp.154-160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d the association between excessive exposure to screen media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A total of 331 parents of children aged 7-10 years were recruited from "The Kids Cohort for Understanding of Internet Addiction Risk Factors in Early Childhood (K-CURE)" study. Children's demographics, household media ownership, screen time, and behavioral/emotional problems were assessed using a parental questionnaire. Children's behavior/emotional problem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the of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score. Results: The total K-CBCL score in the screen overuse group was 51.18±9.55, significantly higher than 47.28±10.09 in the control group (t=2.14, p=0.05). For each subscale, the externalization score (51.65±10.14, 48.33±8.97, respectively; t=2.02, p<0.05), social problem score (55.41±6.11, 53.24±5.19, respectively; t=2.27, p<0.05), and rule breaking behavior score (55.71±6.11, 53.24±5.19, respectively; t=2.27,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creen overus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screen overuse group also had a significantly higher usage rate than the control group, even if limited to smartphones, not only on weekdays (3.56±2.08, 1.87±2.02, respectively; t=-4.597, p<0.001) but also weekends (1.62±0.74, 1.19±0.83, respectively; t=-3.14, p=0.003). Conclusion: The study suggested that screen media overuse patterns in children in Korea are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and are related to higher risk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