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ervical Muscles Depending on Using of a Smartphone

스마트 폰 사용에 따른 경추부 근육의 생체역학성

  • Received : 2016.03.14
  • Accepted : 2016.05.16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e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iomechanical properties of cervical muscles and smartphone addiction score in fifty healthy males using smartphone more than 60 minutes each day. The usage of smartphone was evaluated by smartphone addiction survey developed from Korean International Society Agency. Biomechanical properties of three major cervical muscles; splenius capitis, sternocleidomastoid and upper trapezius, were measured by Myoton, and conducted five parameters; frequency, decrement, stiffness, creep, and relaxation time. As results, all parameters had less than 2% of coefficient of variation(CV) between measurement intervals. Also,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 indicated a high reliability(ICC>.9, p<.01). Moreover, the smartphone addiction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frequency(r=.353, p<.05) and stiffness(r=.346, p<.05) on upper trapezius; in addition, in decrement(r=-.284, p<.05) and creep(r=.288, p<.05) on sternocleidomastoid. Especially, splenius capitis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overuse of smartphone(frequency, r=-.368, p<.01; decrement, r=-.405, p<.01; stiffness, r=-.424, p<.01). In conclusion, this study implied that the overuse of smartphone i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damage of cervical muscles, cervical pain, and headache; furthermore, Myoto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device to assess mechanical properties of cervical muscles.

본 연구는 스마트 폰을 사용(≥ 60분/일)하는 건강한 20대 남성 50명을 대상으로 두부의 움직임에 직접 관여하는 경추부 근육(두판상근, 흉쇄유돌근, 상부승모근)에 연부조직 측정기 Myoton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 사용정도와 경추부 근육의 기계적 속성의 관련성을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스마트 폰 사용정도는 전용의 중독 척도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경추부 근육의 기계적 속성은 Myoton을 이용하여 근 긴장도(frequency), 동강성(stiffness), 점탄성(decrement), 근변형률(creep) 및 회복시간(relaxation)의 반영지표를 각각 산출하였다. 스마트 폰 사용에 의한 중독 점수와 경추부 근육의 기계적 속성을 반영하는 각 지표와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계적 속성을 반영한 모든 parameters의 변동계수는 각각 2% 미만이었으며, 측정자 신뢰도인 급내상관계수 역시 높은 신뢰성이 도출되었다(ICC>.9, p<.01). 스마트 폰 중독점수는 상부승모근의 근 긴장도(r=.353, p<.05)와 동강성(r=.346, p<.05), 흉쇄유돌근의 점탄성(r=-.284, p<.05)과 근 변형률(r=.288, p<.05)과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고, 특히 두부 통증과 관련된 두판상근의 근 긴장도(r=-.368, p<.01), 점탄성(r=-.405, p<.01), 동강성(r=-.424, p<.01)과의 높은 상관계수로 스마트 폰 과사용과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젊은 남성들에 있어서 스마트 폰 과사용은 경추부 근 손상과 통증 및 두통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며, Myoton은 경추부 근육 성질을 예측 및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기기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