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City

검색결과 972건 처리시간 0.022초

스마트하우징 화재 서비스의 스마트시티 플랫폼 연계 데이터 교환용 메타데이터 스키마 연구 (Research on Metadata Schema for Data Exchange between Smart Housing Fire Service and Smart City Integration Platform)

  • 이대국;이대규;강현국;조충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13-122
    • /
    • 2024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AI), 블록체인(Blockchain),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ICT 기술을 적용하여 신규 서비스 창출 및 새로운 디지털 시대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과 더불어 우리나라도 "스마트시티"에서 "플랫폼 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도시 단위의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과 주거 단위의 스마트하우징 플랫폼과 연계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하우징 플랫폼과 스마트도시 안전망 중 하나인 스마트 119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와의 연계 시나리오를 정의하고, 스마트 119 긴급출동 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하우징 플랫폼과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간 데이터 전송 규약 및 데이터 교환을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제안한다.

스마트시티 위험요인과 저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City Risk Factors and Resistance)

  • 박현애;유영천;이환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5-28
    • /
    • 2020
  • 스마트시티는 기존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큰 기대를 받고 있으나, 보안위험 증가에 우려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보안위험 인식에 따른 스마트시티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4차산업혁명 기술 활성화 및 스마트시티의 발전을 위해서도 개선해야 하는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각된 위험 이론과 사용자 저항이론을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내 위험요인과 스마트시티 저항 태도 간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288명의 연구 표본을 대상으로 한 실증 분석결과에 따르면, 보안 위험, 사회적 위험, 신체적 위험요인은 스마트시티 저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경제적, 성능, 사생활 침해에 대한 위험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안위험이 다른 위험에 선행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스마트시티 환경에서는 사생활 침해 위험과 보안 위험에 대해 구분해서 논의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인들 관점에서 스마트시티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논의함으로써, 스마트시티 활성화를 위해 보안 및 안전 문제와 더불어 사회적 교류를 위한 정책적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한-아세안 민관 네트워크기반의 스마트시티 수출을 위한 거점 HUB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mart city Export HUB Platform based on Korea-ASEAN Public-Private Network)

  • 김대일;김정현;염춘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1908-1918
    • /
    • 2022
  • 최근 아세안은 우리나라의 새로운 생산기지이자 소비시장으로서 각 지역에서 생산 네트워크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아세안 국가의 도시화는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각 국가들은 주거, 교통, 물류, 방범, 방재 등 낙후된 기초 인프라 시설 개선을 위해 첨단 ICT와 결합한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우수한 스마트시티 솔루션을 보유한 기업들이 아세안 국가와의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시티 구축에 참여할 수 있도록 Web 기반의 스마트시티 수출 거점 HUB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플랫폼을 통해 아세안 국가의 스마트시티 구축에 대한 수요를 확보할 수 있으며, 한-아세안 민관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향후 아세안 국가에서 계획 중인 스마트시티를 보다 혁신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또한 국내 우수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실제 도시에 적용이 가능하게 되면, 세계적인 스마트시티 플랫폼 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기술과 정보기술 관점에서 바라본 세계 스마트시티의 형태적 진화 (Morphological Evolution of World Smart City in View of Environment Technolo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 한주형;이상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01-209
    • /
    • 2019
  • 본 연구는 세계 스마트시티의 미래상을 위해 형태적 진화과정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주요 연구내용과 방법은 스마트시티에 융합 된 환경기술과 정보기술을 4개 대륙과 우리나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연관성 분석과 시기별 디바이스/기술의 융합개수 분석을 하였다. 분석 자료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32개 스마트시티 사례이고, 시기는 4개의 범위 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기의 스마트시티는 환경의 보존, 기존도시의 고유형태 고수, 필요한 디바이스/기술을 충족하는 형태적 진화였다. 둘째, 2기의 스마트시티는 정보기술 중심 개발을 통한 형태적 진화였다. 셋째, 3기의 스마트시티는 정보기술의 고도화와 환경기술의 에너지생산 그리고 관련된 디바이스/기술이 융합된 형태적 진화였다. 넷째, 4기에는 모든 기술의 고도화 과정을 통해 융합, 소멸, 그리고 새로운 환경기술과 정보기술이 창조되는 형태적 진화였다. 결과적으로, 스마트시티의 형태적 진화는 환경기술과 정보기술 간의 차별적 개발이 아닌, 융합형태의 유기적인 도시구조로 변화될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반복적인 기술의 융합과정을 통해 스마트시티의 형태는 계속해서 진화될 것이다.

스마트시티 정책추진과 경기도 광역자치단체 전략 (Smart City Policy Promotion and Gyeonggi-do Strategy)

  • 김명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55-6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시티 정책에서 경기도 광역자치단체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스마트시티 정책 사업에 도내 기초지자체의 참여현황을 파악해보고 특성을 도출하여 경기도 광역자치단체가 마련해야 하는 세부과제를 제시한다. 현재 경기도 지역은 U-City 이후에 도내 기초지자체가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중앙정부 스마트시티 정책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경기도 광역자치단체는 2020년에 스마트시티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스마트도시 지방자치단체 협의회에 참가하는 정도이다. 향후 경기도는 법 개정을 건의하여 스마트시티 정책추진의 동력을 확보하고 경기도만의 거버넌스를 확립하여 효율적인 정책추진을 위한 체계마련을 고민한다. 또한 중앙정부 스마트시티 정책사업에 "광역자치단체 모델의 통합플랫폼 구축사업" 참여를 검토하여 재난 안전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정책의 사각지대를 중심으로 경기도 독자적인 스마트시티 정책추진을 검토해본다.

제로 트러스트(Zero-Trust) 기반의 스마트시티 공급망 보안모델 연구 (A Study on a Smart City Supply Chain Security Model Based on Zero-Trust)

  • 이현진;손경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123-140
    • /
    • 2022
  • 최근 다양한 도시문제로 세계적으로 국가와 기업에서 스마트시티 개념을 도입한 문제 해결 연구가 진행 중이다. 스마트시티는 도시의 ICT를 융합하고 도시의 모든 구성요소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수집·전달하며, 다양한 IoT 제품이나 서비스로 구성된 공급망으로 이뤄져 있다. 스마트시티의 여러 사이버 보안 위협 및 공급망(Supply-Chain) 위협 증가는 불가피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공급망 보안 정책 등 프레임워크 수립과 더불어, 제로 트러스트(Zero-Trust) 관점에서 데이터 연계에 따른 각 데이터 제공자·서비스 등의 인증과 적절한 접속통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도 스마트시티 보안 위협을 위한 스마트시티 보안모델이 개발되었으나, 공급망 보안과 제로 트러스트와 관련된 보안 요구사항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 스마트시티 보안 동향을 살펴보고,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ISMS-P)와 국제표준으로 등록된 ICT 공급망 보안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을 비롯해, Zero-Trust 관련 기술을 국내 스마트시티 보안모델에 적용하기 위한 보안 요구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Digital Outdoor Advertising Tecoration for the Metaverse Smart City

  • Yoo, Seung-Chul;Piscarac, Diana;Kang, Seungmi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196-203
    • /
    • 2022
  • Developing smart cities increasingly relies on metaverse technology. This has become much more apparent in the post-COVID-19 pandemic urban environment. The demand for fast processing of huge amounts of data and the convergence of various media types is essential for keeping city residents well-informed and safe. This paper builds on recent research on metaverse, smart cities, and digital outdoor advertising media. It proposes that "space culture media", which collectively functions by using physical or virtual spatial information, will play a key role in the smart city, functioning as an augmented city. Specifically, this paper deals with significant issues related to the smart city changes created by tecoration, a metaverse urban media space facilitated and enhanced through digital outdoor advertising.

스마트관광의 경제적 지속성을 위한 스마트관광 체험의 지불가치 추정: CVM을 이용하여 (Estimating the WTP of Smart Tourism Experience for Economic Persistence of Smart Tourism Using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정희정;구철모;정남호
    • 지식경영연구
    • /
    • 제20권1호
    • /
    • pp.215-230
    • /
    • 2019
  • Numerous city problems have arisen in some tourist cities as tourists enter the city beyond the limits of its capacity. As an alternative to this problem, the discussion of smart tourism cities has led many cities to pursue urban planning with the aim of transforming them into smart tourism citi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iscuss the city self-reliance that smart tourism cities need to solve a number of problems and grow as a happy city, both residents and tourists, who are the ultimate goal in the long-term goal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conomic growth of cities that are most fundamental in city's self-reliance by assessing the economic value of smart tourism.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economic value of smart tourism was estimated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and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person is willing to pay 220,709 won. This is about 10,000 won higher than the 211,163 won announced by the National Travel Survey in 2017, which is estimated to be of higher economic value when recognized as smart tourism.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basic policy data in promoting smart tourism cities as well as expanding understanding of smart tourism.

스마트도시의 이슈와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 뉴스, 블로그, 트위터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 of Smart City's Issues and Perception : Focus on News, Blog, and Twitter)

  • 장환영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9권2호
    • /
    • pp.67-82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스마트도시의 이슈와 인식변화를 분석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빅데이터 분석플랫폼을 기반으로 스마트도시 관련 빅데이터 분석을 시행하여 연도별 주요키워드, 워드클라우드, 연도별 스마트도시 키워드 발생빈도 등을 도출하였다. 둘째, 연도별 주요키워드를 메타키워드기반으로 분류하여 그 추이와 흐름을 분석하였다. 셋째, 스마트도시에 대한 감성인식 흐름, 주요 감성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과거의 U-City가 대부분 신도시 위주의 인프라 조성 중심이었다면 최근의 스마트도시는 시민이 주도하는 지속가능한 도시건설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거에는 인프라, 서비스, 기술 분야가 강조되었다면, 최근에는 관리운영, 방법론 등이 강조되고 있으며 스마트도시에 대한 긍정적 인식도 점차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국토전역에 스마트도시 서비스가 구축되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국내 스마트도시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urvey on Sustainable Smart Cities Development: Challenges and Solutions

  • Alotaibi, Youseef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7호
    • /
    • pp.108-118
    • /
    • 2021
  • This paper aims to presents the overview of research in the sustainable smart cities development domain. It investigates the key challenges of the sustainable smart cities development that faced by the developers from different countrie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via the interview i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10 experts on the sustainable smart cities development project were interviewed in this stud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12 sustainable smart cities development challenges named: (1) budgetary constraint; (2) lack of resources; (3) lack of institutional capacity to deliver technology; (4) lack of systems integration; (5) social acceptability; (6) lack of awareness level in the smart city development among residents; (7) the need to drive towards content development; (8) lack of strategically approach in the smart city transformation; (9) disagreement on standardizing the smart city model; (10) lack of overarching institution to create the governance structure; (11) lack of sustainable focused strategies; and (12) lack of the smart city operational framework. Furthermore, the solutions framework for these challenges was proposed as the guidelines to overcome or minimize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