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mart-Work

검색결과 1,322건 처리시간 0.028초

스마트워크 지원을 위한 조직적 준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Support for Smart Work)

  • 오상조;이종만;김용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31-238
    • /
    • 2020
  • 스마트워크와 같이 정보통신기술 주도적 조직 변화의 경우 적절한 변화 관리가 필요하다. 일과 삶의 균형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 변화 관리는 구조적 관점뿐만 아니라 문화적 관점에서도 지원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ICT 주도 변화 관리 관점에서 스마트워크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조직적 지원 요인을 구조적·문화적 요인으로 나눠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2019년 11월부터 12월에 걸쳐 A사의 8명의 스마트워크 이용자를 인터뷰하여, 조직적 지원에 대해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구조적 지원((1) 스마트워크 제도화, (2) 정보기술 인프라, (3) 테이블 책상으로 사무 환경 변경, (4) 스마트워크센터 구축) 뿐만 아니라 문화적 지원((1) 자율성 제고, (2) (중간)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3) 신뢰를 주는 조직분위기)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스마트워크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 구조적 지원과 더불어 문화적 지원이 제공될 수 있는 균형적 조직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구조적·문화적 지원 요인과 결과요인인 일과 삶의 균형 및 성과 간 인과관계를 실증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형 스마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IT 시스템 모델 (The IT System Model for The SME-Type Smart Work System)

  • 김봉기;손진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27-830
    • /
    • 2013
  • 스마트폰 열풍에 따른 인간 생활의 변화는 21세기 새로운 혁명을 맞고 있다. 2012년말 우리나라 스마트폰 보급률 58.8%를 기록해 세계 1위를 차지하며 IT강국의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세계 최고의 IT 기반을 자랑하며 급속도로 발전해가는 IT강국이지만, OECD 회원국 중 최장 근로시간을 가진 국가이면서도 노동생산성은 하위권에 위치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저탄소 녹색성장, 저 출산 고령화, 노동생산성 증대, 온실가스 감축 등 공통된 사회적 현안이 지속 늘어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마트워크(Smart Work)'가 주목 받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이 지방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중소기업의 정보화 실태를 통계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스마트워크 추진을 위한 세부 추진요소 및 모델 제안을 통해 중소기업의 스마트워크 대응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워크를 위한 중소기업 IT시스템 구성 모델를 제시한다.

  • PDF

ooCBD방법론을 적용한 조선소의 HSE관리시스템 설계 (Design of HSE Management System in a Shipyard using object-oriented Component-Based Development Method)

  • 오현수;장성록;김동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1-77
    • /
    • 2013
  • Smart work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근로자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유연한 근무형태를 의미한다. 스마트워크의 유형에는 모바일 오피스, 홈 오피스, 센터근무, 원격협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태블릿PC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스마트워크 방식을 모바일 오피스라고 하며, 이동통신망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모바일 오피스는 무선환경과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사무실을 구현하는 것으로 언제, 어디서나 사내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보 검색은 물론 결재, 승인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을 조선소에 적용한다면, 실시간 처리로 근로자들의 생산성과 업무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업을 위한 HSE관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기능을 추출하고 설계하는 것이 목적이다. 모바일용 HSE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10개의 기능들을 추출하였고, ooCBD 방법론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조직의 혁신성과 사용자 특성이 스마트워크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 (An Empirical Study on Users' Resistance against the Smart work: Based on the Organization's Innov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User Characteristics)

  • 오승훈;채명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91-200
    • /
    • 2017
  • 본 연구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을 만들어 주는 스마트워크의 도입이 기대한 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 하는 것에 대해, 성공적 안착을 위해 가장 주요한 요소로 간주되는 스마트워크에 대한 사용자의 저항을 연구 하였다. 이에 혁신저항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업무의 혁신성과 사용자 특성을 사용자 저항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설정하였고 이 두 요인과 사용자들의 스마트워크에 대한 저항의 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사용자가 하는 일의 공간적, 시간적 차원의 자유도를 설정하였다. 검증결과 업무효율성이 낮을수록, 조직의 평가방식이 사용자에게 불리할수록, 그리고 사용자의 기존 업무방식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용자의 저항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시간적 자유는 사용자의 특성과 저항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반대로 공간의 자유는 업무의 혁신적인 특성과 저항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공적인 스마트워크 도입을 위해 기업은 우선적으로 스마트워크 근로자들이 불리해지지 않도록 적절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및 평가 방법을 우선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스마트워크 확산을 위한 정책적 함의: 스마트워크 근로자와 직장근무 근로자의 조직유효성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mart Work Diffusion: Focusing on the Perceptual Differenc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etween Smart Workers and Office Workers)

  • 주시각;손영곤;전상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11-22
    • /
    • 2012
  • 직장이 아닌 곳에서 근무하는 스마트워크는 조직과 조직 구성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미래지향적인 근무 방식으로 최근 화두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콜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직장근무자와 스마트워크 근무자간의 서비스풍토, 직무만족, 조직몰입, 서비스수행능력 등 조직 관련 주요 변수에 대한 인식 차이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워크 근무자들이 직장근무자들에 비해 서비스풍토에 대한 인식이나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 서비스수행능력 등 모든 측면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워크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과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스마트워크 정책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Developing A Policy Framework for Smartwork : Task, Technology, Peopl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 이혜정;이정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145-164
    • /
    • 2012
  •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을 기반으로 효율적인 업무 수행과 근로자들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재택근무, 원격근무, 유연근무와 같은 다양한 근무 제도들이 고안되어 운영되어 왔다. 최근에는 이러한 제도들을 포괄하는 스마트워크의 개념이 각광받으며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스마트워크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라서 그 정의가 연구마다 상이하여 정립되어 있지 않고, 이와 관계된 변수들에 대해 포괄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5년간 국내에서 수행된 스마트워크 관련 학술 연구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문헌 분석(Systematic Literature Review)방법을 이용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들에서 제시되고 있는 변수들을 취합하여 이론적인 정책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여 제시하였다. 프레임워크의 구성요소는 업무(Task), 기술(Technology), 개인(People), 조직 구조(Organization Structure), 그리고 관리 수단(Managerial Levers)의 다섯 가지 차원으로 클러스터링이 되었으며 간간이 나타난 사회적 차원의 변수들은 별도로 분리하여 제시하였다. 이 프레임워크는 향후 스마트워크의 심층 연구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관련하여 실증 분석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자원기반관점(RBV)에서 모바일 스마트워크 IT자원이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유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Mobile Smart-Work IT Resources of Resource Based View on the Work Efficiency : based on moderating effects of the perceived usefulness)

  • 이민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93-102
    • /
    • 2016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자원기반관점(RBV)에서 모바일 스마트워크 IT자원을 활용할 때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유용성을 적용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중다회귀분석으로 가설을 검증한 선행연구에서 더 나아가 지각된 유용성을 조절효과로 설정하여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통해 확장하여 연구하였음에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연구 결과 지각된 유용성의 조절효과에 따라 모바일 스마트워크 IT자원의 IT인프라는 업무효율성 중 개인업무 효율성과 연대협력업무 효율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업무어플리케이션은 연대협력업무 효율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과 근로자가 모바일 스마트워크 IT자원이 업무효율성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믿음 즉, 지각된 유용성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업무효율성과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된다.

스마트워크 이용자의 업무와 비업무간 경계 강도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rt Workers' Perception of the Boundary Strength Between Work and Nonwork)

  • 김용영;오상조;이희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71-87
    • /
    • 2013
  • 국가적인 그리고 기업적인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스마트워크는 '정보통신망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업무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형태'로 이해된다. 즉, 정보기술 환경의 발전으로 가능해진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인간친화적인 업무 방식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일 할 수 있는 환경이 과연 일과 삶의 조화를 가져올 것인가 하는 점에 의문을 제기한다. 스마트워크를 통해 일과 삶의 경계가 점차 모호하게 되고, 이는 업무 영역의 업무가 아닌 영역으로의 침투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업무와 비업무 영역간에 형성된 경계 강도가 어떻게 결정되는 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는 업무와 비업무간 경계 강도의 비대칭성과 영역간 침투의 양방향성을 고려하였다. 업무 경계의 강도와 비업무 경계의 강도 각각에 대한 상호 독립적인 모형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다. 업무 역할 동일시와 비업무 영역의 업무 영역에 대한 침투가능성이 업무 영역의 경계 강도를, 업무 영역의 비업무 영역에 대한 침투가능성이 비업무 영역의 경계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비업무 역할 동일시의 비업무 영역 경계 강도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 PDF

모바일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IT자원이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T Resources on the Work Efficiency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Mobile Smart-Work Environment)

  • 이민우;오민정;김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165-176
    • /
    • 2016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IT 융복합 기술을 기반으로 모바일 스마트워크 환경을 구축한 기업에서 기업 내부의 IT자원이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자원기반관점(Resource-Based View)을 적용하여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스마트워크 IT자원에 관한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파악된 요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문적 의미를 가지며, 제조업, 서비스업, 물류/유통산업, 금융업, 공공기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플랫폼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바일 스마트워크의 유의미성을 기업의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어떠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는지를 파악하는데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연구 결과, IT인프라와 IT스킬이 개인 업무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IT스킬이 연대협력업무 효율성에 긍정적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업무 효율성과 연대협력업무 효율성은 기업성과인 재무성과와 시장성과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산업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IT 융복합 기술을 통한 모바일 스마트워크 환경을 구축하여 기업 내부의 IT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핵심역량 강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워크 후 조직 문화 변화 연구: 서비스 대기업 'H사' 사례 (Exploring Changes in Organizational Culture after Firm-Wide Institutionalization of Smart Work: Case of a Service Company 'H')

  • 장민제;남은우;이정우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1호
    • /
    • pp.85-103
    • /
    • 2021
  • 최근 코로나 19의 세계적 대유행 이후로 비즈니스 업무환경이 스마트워크로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스마트워크는 기본적으로 언제 어디서나 일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스마트워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과 운영 문제가 중요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워크 도입이 미치는 조직문화에의 영향을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레저 서비스 대기업인 H사에서 경영상 강조하고 있는 조직 문화의 일곱 가지 차원 - 전략적 혁신성, 조직 유연성, 공정한 인사관리, 합리적 의사결정, 조직 활력, 신뢰 협력, 리더십 - 에 있어서 스마트워크 전후로 어떤 변화가 있는지 설문과 인터뷰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전략적 혁신성, 조직 유연성, 조직 활력, 신뢰 협력의 네 가지 차원에서는 직원들의 평가가 통계적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공정한 인사관리, 합리적 의사결정, 리더십의 측면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입초기 단기적 현상일수도 있어 앞으로의 변화도 관찰할 필요가 있지만, 기업 관점에서 궁극적으로 유연한 업무 환경의 변화를 추구하는데 있어서 직원들로 하여금 전략적 혁신성, 조직 유연성, 조직 활력, 신뢰 협력과 같이 경영상 중요한 조직 문화의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대응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조직 활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조직구성원간 신뢰 소통과 협력은 감소하는 것은 굉장히 부정적 변화로서 적극적 관리가 필요하다. 이어진 인터뷰에서는 스마트워크 도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리더십의 역할이 중요하게 나타나고 있어, 향후 일하는 방식의 변화에 따라 경영진 리더십의 역할이 더욱 강조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