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phone sensing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9초

스마트폰 가속도 센서 기반의 돌발 상황인식 어플리케이션 개발 (Smart phon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Aware of Unexpected Conditions using Accelerometer Sensors)

  • 차경애;여선동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8
    • /
    • 2012
  • 스마트폰은 많은 사용자들이 일상의 대부분 시간에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이며 각종 센서를 통해서 획득되는 정보는 사용자나 스마트폰의 현황을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센서 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 정보를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갑작스러운 돌발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주는 기능의 구현을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적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여 스마트폰의 추락, 도난과 같이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을 경보함으로써 효율적인 스마트폰 관리가 가능한 기능을 제공한다.

스마트폰 센싱을 위한 손실 데이터 추정 모델 (An Estimation Model of Missing Data for Smart Phone Sensing)

  • 민홍;허준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3-38
    • /
    • 2013
  • 스마트폰에 탑재된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나 사회활동 및 주변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폰 센싱 시스템에서 특정 지역의 데이터가 손실되는 문제는 피할 수 없다.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전에 정의해 놓은 조건이 만족할 때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을 서버로 전송하는 기회기반 센싱 기법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손실 문제가 더 심화된다. 본 논문에서는 수집된 데이터의 품질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폰 센싱의 특성을 고려한 손실 데이터 추정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추정 모델에서는 데이터의 시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신뢰도가 높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참여자의 우선순위를 높임으로써 향상된 추정 값을 도출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실험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이 기존의 기법들에 비해 높은 신뢰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콘 서비스를 사용한 보행자 안전 신호감지시스템의 설계 (Signal Sensing System Design for Pedestrian Safety using Beacon Service)

  • 이주형;한문석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576-582
    • /
    • 2016
  • 오늘날 IT산업의 눈부신 발전으로 개인 스마트폰을 1개 이상을 소유하고 보유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스마트폰으로 인한 보행자 사고가 잇따라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근거리 통신 기술인 블루투스 4.0 BLE 기반의 비콘을 이용하여 서버와의 통신이 필요한 감지방법과 신호등의 전류를 이용하는 감지방법 등 두 가지 개발 방법을 통해 신호등 시스템의 통신 상황에 따라 서버와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홀센서를 이용한 감지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조도센서를 활용하여 신호감지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블루투스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등의 신호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스마트폰을 인지하고 스마트폰에 신호등 현황을 보행자가 접근 시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보행자 사고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스마트폰 시대가 오기 전에는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보행 중 사고의 빈도가 굉장히 낮았다. 이제 우리에게 편의를 제공해주는 IT기기들로 인하여 생명의 위협을 받는 상황에 처하고 있다. 거리에서 스마트폰사용을 국가적 차원에서 차단할 수 없다면 이에 맞춰 보행자에게 간접적으로 상황을 알려주도록 하고, 사건 사고의 위험률을 줄이는 것이 본 논문의 제안 목적이다.

스마트폰 탑재용 사용자 컨텍스트 데이터 경량화 기법 (A Method for Reducing Users Context Data on Smart Phone)

  • 김지훈;박창규;이정원
    • 소프트웨어공학소사이어티 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47-54
    • /
    • 2011
  • 최근 스마트폰이 점차 대중화되고 탑재되는 센서의 발달로 폰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의 상황을 알아내는 상황인지 기술과 이를 활용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의미 있는 정보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처리 과정과 정보 분석 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가공과정은 일부는 스마트폰에서, 또 일부는 서버에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하여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플랫폼에서 생성 가능한 컨텍스트를 정의하고 수집하기 위한 컨텍스트 생성기를 설계한다. 이는 컨텍스트를 폰 안에서 생성함으로써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통신비용을 줄일 수 있다.

  • PDF

스마트 기기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복합 환경센서 플랫폼 설계 (Design of an Compound Environment Sensing Platform for Sharing Environment Information between Smart Devices)

  • 송병철;임승옥;서정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43-54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기기(게이트웨이, 폰, 패드 등)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복합 환경센서 플랫폼을 설계한다. 복합 환경센서 플랫폼은 온/습도 센서, 토양 온도/습도 센서, 태양광 센서 등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수집된 정보는 ZigBee 통신을 통해 스마트 게이트웨이로 전달되고, 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스마트 폰/패드 등과 트윗트를 통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 PDF

스마트폰을 활용한 근로자 안전활동 감지장치 개발 및 특성 (Development and Its Characterization of a Worker's Safety Activity Detection Apparatus using Smart Phone)

  • 최상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0-25
    • /
    • 2015
  • It is predicted the mass retirement of the post-war generation and the lack of young people according to reduces the recruitment. Therefore, industry fields are concerned by the low level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from issued problem in a variety of industries; the charge of expanding business range/multi-functional, black box of technology, difficulty of systematic training, relative decrease in the skill of workers, loss of know-how in the field of information followed restricted site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long-termly and actively based on for the adoption of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techniques utilizing IT, which is digital assistant(tablet PC, PDA, etc.), RFID/USN/ICT, database systems, and etc.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evaluated a worker's safety sensing apparatus using smart phone. The apparatus may be useful to prevent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well as confined space work.

스마트폰의 GPS 정보를 이용한 일상 경로 이탈 판단 어플리케이션 구현 (Implementation of Android application to judge the daily route deviation via the GPS information on smart phones)

  • 차경애;현성용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7-34
    • /
    • 2013
  • 스마트폰의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구글맵, GPS 센싱 정보 등을 자유롭게 사용하게 됨으로써 이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위치기반 서비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GPS 정보를 서버로 전송받아서 누적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일상 경로의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이는 일상적으로 이동하는 경로에서 벗어나는 경우, 자동으로 이에 대한 경보를 해줌으로써 어린이, 노약자와 같은 경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를 이용해서 최근의 누적되는 이동 경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이동 경로 이탈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의 효용성을 검증한다.

스마트 의류 기반의 유-헬스케어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U-healthcare System based on Smart-Cloth)

  • 조병호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37-242
    • /
    • 2016
  • 효과적인 스마트의류에 기반한 유-헬스케어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스마트의류에 적합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설계가 필요하다. 그리고 스마트의류에서 센싱된 생체신호를 서버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센싱신호의 수집 및 처리를 위한 게이트웨이 스마트폰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게이트웨이 프로그램 모듈을 잘 설계하고 기술하여 나중에 구현시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의료진이 스마트폰에서 보내지는 생체신호를 수시로 모니터링 하지 않더라도 이들 신호의 변화값이 규칙/사실에 기반한 전문가시스템 구축으로 자동으로 진단되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면 아주 유용한 유-헬스케어 시스템이 되리라 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능들을 갖춘 스마트의류 기반의 유-헬스케어 시스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설계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본 설계 방법이 유-헬스케어 상용화 시스템 제작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FFT를 활용한 스마트 양육 시스템 (Smart Parenting System using FFT)

  • 김준회;이정수;주정우;배지수;이붕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865-874
    • /
    • 2018
  • 본 논문은 스마트 베개와 스마트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베개는 아기 울음소리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나온 디지털 값을 대역 통과 필터에 적용한다. 만약 300-600Hz 사이라면 백색 소음을 출력한다. 스마트 기저귀는 아기가 배변 시 기저귀 외부의 온도가 $29^{\circ}C$이상, 습도가 99% 이상일 경우에 스마트폰에 경고 알람을 울린다. 또한 스마트 기저귀는 아기가 누워있는 위치를 감지하여 뒤집혔을 시 스마트폰에 경고 알람을 울려 아기의 질식사를 예방한다.

지능형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하이브리드 센싱 기반의 퓨전 상황인지 모델 (A Fusion Context-Aware Model based on Hybrid Sensing for Recommendation Smart Service)

  • 김 스베틀라나;윤용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2권1호
    • /
    • pp.1-6
    • /
    • 2013
  •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들은 이제 사용자의 일상에서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다. 스마트 디바이스 내에 센서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 및 필요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능적인 서비스 추천이 가능해진다는 의미이다. 본 논문에서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토대로 지능적인 서비스 추천을 위한 퓨전(Fusion) 상황인지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다. 서비스 추천 모델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시간, 장소, 행동 및 디바이스 정보를 중심으로 퓨전 처리과정을 거쳐 사용자 시나리오를 생성된다. 시나리오란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하는데 가장 핵심이 되는 단서이며, 본 시나리오에 맞춰 서비스를 제공 및 추천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콘텐츠의 카테고리와 더불어 콘텐츠 미디어 형식까지도 사용자 맞춤형을 지향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퓨전 상황인지 모델은 하이브리드 센싱(Hybrid Sensing)을 이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