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manufacturing

검색결과 734건 처리시간 0.037초

4차 산업혁명 대응과 스마트 기업으로의 변화를 위한 제조 및 서비스 기업의 기술적용 우선순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echnological Priorities of Manufacturing and Service Companies for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ransformation into a Smart Company)

  • 박찬권;서영복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83-101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에게 4차 산업혁명 대응과 스마트 기업으로의 변화를 위해서는 어떠한 기술들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내용을 AHP를 활용하여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들을 종합하고, 김대훈 외(2019)의 분류기준을 준용하지만 전문가들의 의견을 추가로 수렴하여 관련 기술들을 분류하였다. 인공지능(AI), Big Data, Cloud Computing을 디지털 기반기술로, 모바일, 사물인터넷(IoT), Block Chain을 초연결 기술로, 무인운송(자율주행), 로봇(Robot), 3D 프린팅, 드론을 융합기술로, 스마트 제조 및 물류, 스마트 헬스케어, 스마트 교통, 스마트 금융을 스마트 산업기술로 구분하였다. AHP 분석과 종합가중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기술적용 우선순위를 확인한 결과 제조기업은 모바일, 인공지능(AI), Big Data, 로봇(Robot)의 순위가 높으며, 서비스기업은 Big Data, 로봇(Robot), 인공지능(AI), 스마트 헬스케어의 순위가 높고 전체기업에서는 Big Data, 인공지능(AI), 로봇(Robot), 모바일의 순서이다. 본 연구를 통해 4차 산업혁명 대응과 스마트 기업으로의 변화를 위해서는 어떠한 기술들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여야 하는가를 명확하게 규명하였다.

EU의 스마트 전문화 및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한국 지역산업정책 방향 (A Critical Review of the EU Smart Specialization and US Manufacturing Renaissance Policies and New Directions for Regional Industrial Policy in Korea)

  • 정준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82-798
    • /
    • 2016
  • 본 논문은 EU의 스마트 전문화 전략과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국 지역산업정책의 방향을 제안한다. EU의 스마트 전문화 전략은 기업가적인 자기발견과 전략적 조정,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은 생태계에 기반한 산업공유자산의 구축, 그리고 한국의 지역산업정책은 클러스터에 기반한 지역혁신체제 구축으로 요약된다. EU와 미국 정책 사례는 지역산업정책이 지리적으로 착근되어야 한다는 점을 예증하고 있다. 또한 산업과 기술간 융 복합을 위해 산업정책과 혁신정책을 연계시킴으로써 정책수단 혼합의 적실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가의 역할도 산업 생태계에서 민주적인 규율을 착근시키는 조정자, 매개자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향후 지역산업정책은 산업과 기술 간의 연계를 촉진할 수 있는 플랫폼 방식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스마트 제조 실행 시스템 기본설계를 위한 시스템 엔지니어링 적용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Systems Engineering Approach to Design of Smart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 전병우;신기영;홍대근;서석환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1권2호
    • /
    • pp.95-105
    • /
    • 2015
  •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MES) is in charge of manufacturing execution in the shop floor based on the inputs given by high level information such as ERP, etc. The typical MES implemented is not tightly interconnected with shop floor control system including real (or near real) time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s such as PLC. The lack of real-time interfaces is one of the major obstacles to achieve accurate and optimization of the total performance index of the shop floor system. Smart factory system in the paradigm of Industry 4.0 tries to solve the problems via CPS (Cyber Physical System) technology and FILS (Factory In-the-Loop System). In this paper, we conducted Systems Engineering Approach to design an advanced MES (namely Smart MES) that can accommodate CPS and FILS concept. Specifically, we tailored Systems Engineering Process (SEP) based on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malized as ISO/IEC 15288 to develop Stakeholders' Requirements (StR), System Requirements (SyR). The deliverables of each process are modeled and represented by the SysML, UML customized to Systems Engineer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for future MES that can play a crucial role in the Smart Factory.

제조설비 자율제어를 위한 상태 정의 및 진단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tatus Definition and Diagnostic Algorithm for Autonomic Control of Manufacturing Facilities)

  • 고동범;박정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27-234
    • /
    • 2020
  • 본 논문은 제조설비 자율제어를 위한 상태 정의 및 진단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사이버-물리 시스템 및 디지털 트윈기술을 통한 스마트 공장 시스템은 기존 제조 공장의 생산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다. 스마트 공장 시스템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로 하여금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정상적이지 않은 공정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자율제어 시스템은 스마트 공장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요한 기술 중 하나가 된다. 그러나 통합된 수많은 설비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율제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은 상당한 사전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조설비 자율제어를 위한 추상화된 설비 상태를 정의하고 현재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통합된 설비 데이터가 아닌 설비 상태를 기반으로 자율제어를 실시하며 더 간단하게 자율제어 프로세스를 진행 할 수 있도록 한다.

Smart Factory Big Data를 활용한 공정 이상 탐지 프로세스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rocess abnormal detection process using big data in smart factory)

  • 남현우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1호
    • /
    • pp.99-114
    • /
    • 2021
  • 반도체 제조 산업에서는 Big Data에 기초한 Smart Factory 도입과 적용이 가시화되면서 생산 공정의 각 단계에서 수집 가능한 다양한 센서(sensor)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정 이상 탐지 및 최종 수율 예측 등에 다양한 분석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현재 반도체 공정은 원료인 잉곳(ingot)에서 패키징(packaging) 작업 이전의 웨이퍼(wafer) 생산까지 500 600개 이상의 세부 공정과 이와 연계된 수천 개의 계측 공정으로 구성된다. 개별 계측 공정 내의 실제 계측 비율은 대상 제품 대비 0.1%에서 최대 5%를 넘지 못하고 계측 시점별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공정 각 단계의 정상 상태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장비 센서(sensor) 데이터를 활용하여 관리 여부를 판단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비 센서 데이터 기반의 공정 이상 탐지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현재 적용 되고 있는 기술 통계량 기반 진단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FDA(Functional Data Analysis)방법을 활용하였다. 실제 현장 사례 데이터에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이상 탐지 정확도 비교를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스마트센서의 표면 형태에 따른 센싱능력 평가(I) (Estimation of Sensing Ability According to Smart Sensor Surface Types(I))

  • 황성연;홍동표;강희용;박준홍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18-322
    • /
    • 2001
  • This paper deals with sensing ability of smart sensor that has a sensing ability to distinguish materials according to surface types of smart sensor. We have developed a new signal processing method that can distinguish among different materials. The smart sensor was developed for recognition of materials. We made two types of smart sensors in our experiment. Then, we estimated the ability to recognize objects according to smart sensor type. We estimated the sensing ability of smart sensor with the $R_{SAI}$ method. Experiments and analysis were executed to estimate the ability to recognize objects according to surface types of smart sensor. Sensing ability of smart sensors was evaluated relatively through a new $R_{SAI}$ method. Applications of smart sensors are for finding abnormal conditions of objects (auto-manufacturing), feeling of objects (medical product), robotics, safety diagnosis of structure, etc.etc.

  • PDF

경영자를 위한 스마트팩토리 구축 로드맵 설계 및 활용 (Designing and Utilizing a Smart Factory Roadmap for CEOs: Leveraging from University-Industry Research Collaboration)

  • 박종필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285-299
    • /
    • 2018
  • Recently much attention in building smart factory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smart factory, few practical guidelines exist how to successfully build smart fac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stulate and develop a road map for building successful smart factory. To enhance mundane realism, we design the road map through University-Industry research collaboration. Specifically, drawing analysis of University-Industry research collaboration, we design a prototype and detailed road map or building successful smart factory. Moreover, we apply the road map into actual smart factory development. By doing so, we successfully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road map.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the valuable guidelines and directions to build a successful smart factory. Ultimately this study is able to help a variety of factories which establish and implement smart factory. Further,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placed to be an important foundation research on behalf of smart factory building.

Smart Factory Activation Plan through Analysis of Smart Factory Promotion Status and Introduction Plan Data

  • Seong-Hoo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2호
    • /
    • pp.229-234
    • /
    • 2024
  • A smart factory is defined as a cutting-edge, intelligent factory that integrates all production processes from product planning to sales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rough these factories, each company produces customized products with minimal cost and time. The smart factory promotion project in Korea has produced positive results even in difficult environments such as the COVID-19 situation. Through the transition to a smart manufacturing production system,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has been greatly strengthened, including increased productivity and reduced costs. This study was based on surveyed data conducted by organizations related to smart factory promotion in 2020. Significant contents and major characteristics that emerged from the surveyed data were inferred and described. Since the meaningful contents reflect the reality of the company, more efficient promotion of smart factories will be possible in the future.

스마트폰 렌즈 생산시스템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에 관한 진동해석 (The Analysis of Vibration on the Guide Rail Installed with Manufacturing System of the Smart Phone Lens)

  • 김영춘;조재웅;정운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539-2544
    • /
    • 2014
  • 전자제품의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생산기계의 구조 때문에 불량품을 많아진다. 본 연구에서의 스마트폰 렌즈는 생산하는 과정에서 기계에서 발생하는 진동 때문에 깨지는 확률이 많다. 스마트폰 렌즈의 연구 모델에서는 가이드레일에 장착된 Robot의 질량에 따라서 Robot에 여러 가지 하중을 작용하여 진동해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해석결과는 조립 자동화에 의한 스마트폰 렌즈의 생산기계 시스템에 대한 안전설계와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적센서의 형태에 따른 센싱능력 평가 (Estimation of the Sensing Ability According to Smart Sensor Types)

  • 황성연;홍동표;강희용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11-117
    • /
    • 2001
  • In this paper, we will propose the new method that estimates the sensing ability of smart sensor. A study is estimation method that evaluates the sensing ability about smart sensor respectively. According to acceleration(g) and displacement changing, we estimated the sensing ability of smart sensor using the SAI(Sensing Ability Index) method respectively. We made the smart sensors in our experiment. The types of smart sensor are three types(H1, H1, H3 smart sensor). The smart sensors were developed for recognition of materials. Experiments and analysis were executed to estimated the sensing abili-ty of smarty sensor. Dynamic characteristics of smart sensors(acceleration changing) were evaluated respectively through a new method(SAI) that uses the power spectrum dens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