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education

검색결과 1,501건 처리시간 0.028초

교육 프로파일링을 융합한 스마트 교안제작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Teaching Plan Production System Combined Education Profiling)

  • 김기봉;조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3호
    • /
    • pp.185-19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프로파일링 기술을 교육 분야에 융합하여 스마트 교안 제작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 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부합되는 기술인 프로파일링 기술, 기술 동향, 제품 동향에 대하 살펴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구현에 필요한 요소인 스마트 교안 제작 및 편집기술, 스마트 교안 관리기술, 교안 편집 및 연동기술에 대해 제안을 하였다. 제안된 기술을 기반으로 시스템이 구축되면 수업 교안 저작, 콘텐츠 파일 관리, 수업 강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성되며, 수업 진행을 원활히 수행하고 개개인의 학습 능력에 따라 이해도가 향상될 수 있다.

스마트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초등 방과 후 학교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Smart Music Education Program -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After School Program' Using)

  • 이인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81-39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음악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초등 '방과 후 학교' 스마트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의 관련된 자료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음악 관련 내용과 교과서 15종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기반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태블릿PC와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교육의 적합한 활용요소를 반영한 스마트 음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를 통해 사용된 애플리케이션은 총 14종이고 제시된 교육 프로그램은 16 차시로 개발하였다. 본 스마트 음악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기존 공교육과정의 일방향의 음악교육이 아닌 다양하고,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음악교육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장성을 통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예술과 문화를 직접 경험하고 보여주는 것은 물론 잠재된 예술성과 창의성을 일깨워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합적 예술교육을 제공하고 예술교육의 평등을 지향하며 태블릿PC의 활용을 통해 미래 사회의 핵심적인 사고 과정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Based on Learning Ability

  • Song, JeongBeo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65-176
    • /
    • 2016
  • This study developed the learning ability-based smart education program.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materials was investigated using the quantitative-qualitative mixed method, and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The quantitativ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design, in which the smart education method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nventional education method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to analyze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potential, task concentration, and the variables required for the learning activity.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over the control group. Regarding data collection in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 an analysis of the class from the instructor and class consultation logs from the class analyst were collected; the comments on the experience of each class period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ata suggest that the perception of smart education improved for the instructor, class analyst, and learners as the course progressed.

교사의 개인배경 및 이해수준이 스마트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nd Understandings on Attitudes towards "Smart Education")

  • 박성열;김재훈;임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43-53
    • /
    • 2012
  • 본 연구는 정부주도하에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수행될 스마트교육 계획에 비추어 볼 때, 교육의 주요한 주체인 교사관련 변인들에 대한 선행연구의 미비 및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2012년 현재 시점에서 교사들의 성별, 연령, 기기 보유여부 등의 개인변인과 스마트교육 이해수준이 스마트교육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 및 경기권 중등교사가 참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64부의 설문결과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교사들의 전반적인 스마트교육 이해수준은 상당히 낮은 편이었으며, 태도 역시 비교적 긍정적이지 않았다. 스마트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로는 이해수준을 비롯하여 연령이 주요한 변인으로 확인된 한편, 교사의 성별 및 기기 보유여부는 유의미한 변인이 아니었다. 이 같은 결과에 기반하여 향후 스마트교육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교사들의 스마트교육 이해 및 태도수준의 향상, 교사의 연령을 고려한 탄력적 교육 등이 요구되었으며, 학생 및 학부모 등으로 확대된 스마트교육 관련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PDF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 의사소통교육을 위한 지능형 적응 학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lligent Adaptive Learning for Communication Education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 구진희;김경애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25-31
    • /
    • 2017
  • As the world enters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represented by advanced technology, it not only changes the industrial field but also the education field. In recent years, Smart Learning has enriched learning by using diverse forms and technologies that utilize vast amount of information about learners' individual knowledge through the emergence of realistic and intelligent contents that combine high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virtual reality and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intelligent adaptive learning, which can customize individual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telligent adaptive learning method through recent smart education environment, beyond traditional writing-based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the competency of instructor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various learner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communication course and constructed a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intelligent adaptive learning based on the instructor's intended smart cont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basis of highly personaliz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digital method in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is emphasize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스마트 교육 콘텐츠의 UX 유형별 특성이 학습자의 몰입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smart educational contents by the UX types on the concentration and attitude of a learner)

  • 손준호;오문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97-209
    • /
    • 2014
  • The smart paradigm in the modern society is bringing about a rapid smart sensation and there are means of informational communications being developed with the smart technology in various fields. Accordingly, for an effective smart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the customized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learners, the users of the education.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smart education are categorized based on the user experien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3 types of UX are found to have a playful influence on the learning concentration and it is also deduced that such concentration of a learner positively affects his or her attitude towards learning. Moreover, by the age and gender group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s for each of the UX type, so that, in result, gave the valid data for designing and applying the suitable UX type for creating contents of smart education for different main target groups.

The Study on the Efficiency of Smart Learning in the COVID-19

  • Kim, Seong-Kyu;Lee, Mi-Jung;Jang, Eun-Sill;Lee, Young-Eun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9권1호
    • /
    • pp.51-60
    • /
    • 2022
  • This paper raised the need to examine how the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triggered by COVID-19 and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can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learning through learning analysis.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in Korea,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continuously striving to build a smart school by promoting strategies for promoting smart education on the way to a talent powerhouse. Nevertheless, there is no unified definition of smart learning, and it can be seen as customized (individualized)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However, most of the discussions on the construction of smart schools so far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are limited to physical spaces. Accordingly,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learners were not 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facility. This study intends to study smart learning in various departments. In addition, the subjects students in charge of the co-researcher of this study were analyze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951, and 434 responded to this study survey. In addition, students were well accepting the online environment, and in the future, regardless of COVID-19, research will be presented to improv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n smart learning.

스마트 지원 수업 설계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이 보이는 스마트 도구에 대한 인식과 활용의 차이 (Differences betwee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and Designs on Smart Tools in Developing Smart-based Lesson Materials)

  • 강은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1호
    • /
    • pp.66-7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ive and use smart learning environments. For this purpose, 23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took theory and practice in a science education course were asked to develop lesson materials using smart tools and make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se data were categorized in an instructional, exploratory, and interactive approach, depending on how they guided students to access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smart tools as the exploratory and interactive learning tools to be used for students to actively search for and interact with data and knowledge. But in developing lesson materials, they usually used the smart tools for resource sharing and communication in the instructional manner. In conclusion, the gap between their perception of smart tools and lesson material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이용 실태 및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Utilization Plan of Smart Devices for Educational Purpose)

  • 김영록;정미현;김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7-55
    • /
    • 2013
  • 최근 다양한 스마트기기가 등장하고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가 대두되면서 이에 맞는 교육환경과 교육방법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교육의 도구적 활용 측면에서 스마트기기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 개개인의 일반적인 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한 교육적 활용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강원지역 초등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교사의 87.7%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고 있으며, 교사들은 일상생활에서 교사라는 특성변인과 관계없이 일반사용자와 유사한 이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기기를 수업에 이용하게 된 동기에는 혁신성, 유용성, 용이성 등이 작용하였고, 수업에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는 교과목별, 학습형태별, 교수-학습 전개별로 기기의 기능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기 사용에 대한 효능감이 높다고 해서 수업에의 활용도가 함께 높지는 않았다. 이를 개선하여 교육현장에서 스마트기기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사용자 연수와 함께 교사들이 수업방법을 변화시키기 위한 의지와 태도의 변화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교사 대상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추가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효과적인 스마트 교육을 위한 인터랙티브 콘텐츠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Application of Interactive Contents for Effective Smart Education)

  • 손준호;오문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07-221
    • /
    • 2014
  • Education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along the usage of various device and development of contents. Learners of diverse age groups and genders are exposed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Thus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ive smart education contents production, this study classified interactive types that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into CAI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based , NC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based , and NTS (New Technology System) based . Then we investigated how each interactive types affect immersion, utility, self-efficacy, practicality, and stimulation. The effect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learner's gender and age. As the result, interactive types do affect smart education, where male had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for CAI based, game type, and wiki type while female had higher satisfaction for relationship establishment type and experience type. Also, for age group, the 10s preferred NTS based, 20~30s NCS based, and 40s and over CAI based interactive type. Thus, if satisfaction level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re considered when producing smart education contents, it may be possible to create educative contents that meet the dispositions of the lear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