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Villag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3초

Unsupervised Transfer Learning for Plant Anomaly Recognition

  • Xu, Mingle;Yoon, Sook;Lee, Jaesu;Park, Dong Sun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4호
    • /
    • pp.30-37
    • /
    • 2022
  • Disease threatens plant growth and recognizing the type of disease is essential to making a remedy. In recent years, deep learning has witnessed a significant improvement for this task, however, a large volume of labeled images is one of the requirements to get decent performance. But annotated images are difficult and expensive to obtain in the agricultural field. Therefore, designing an efficient and effective strategy is one of the challenges in this area with few labeled data. Transfer learning, assuming taking knowledge from a source domain to a target domain, is borrowed to address this issue and observed comparable results. However, current transfer learning strategies can be regarded as a supervised method as it hypothesizes that there are many labeled images in a source domain. In contrast, unsupervised transfer learning, using only images in a source domain, gives more convenience as collecting images is much easier than annotating. In this paper, we leverage unsupervised transfer learning to perform plant disease recognition, by which we achieve a better performance than supervised transfer learning in many cases. Besides, a vision transformer with a bigger model capacity than convolution is utilized to have a better-pretrained feature space. With the vision transformer-based unsupervised transfer learning, we achieve better results than current works in two datasets. Especially, we obtain 97.3% accuracy with only 30 training images for each class in the Plant Village dataset. We hope that our work can encourage the community to pay attention to vision transformer-based unsupervised transfer learning in the agricultural field when with few labeled images.

딥러닝기반 토마토 병해 진단 서비스 연구 (A Study on the Deep Learning-Based Tomato Disease Diagnosis Service)

  • 조유진;신창선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5호
    • /
    • pp.48-55
    • /
    • 2022
  • 토마토 작물은 병해에 노출이 쉽고 단시간에 퍼지므로 병해에 대한 늦은 조치로 인한 피해는 생산량과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토마토의 병해에 대해 누구나 현장에서 간편하고 정확하게 진단하여 조기 예방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전에 ImageNet 전이 학습된 딥러닝 기반 모델을 적용하여 토마토의 9가지 병해 및 정상인 경우의 클래스를 분류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성한다. Plant Village 데이터 셋으로부터 토마토 병해 및 정상을 분류한 잎의 이미지 셋을 합성곱을 사용하여 조금 더 가벼운 신경망을 구축한 딥러닝 기반 CNN구조를 갖는 MobileNet, ResNet의 입력을 사용한다. 2가지 제안 모델의 학습을 통해 정확도와 학습속도가 빠른 MobileNet를 사용하여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글라스를 활용한 제주도 농촌 관광 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 실감미디어 교육콘텐츠 개발을 통한 단체관광객 유치 및 전략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ural Tourism Products in Jeju Island Using Smart Glass - Attracting Group Tourists and Strateg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Realistic Media Education Contents)

  • 이승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5-51
    • /
    • 2023
  • 코로나19로 해외 관광이 어려워지고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 관광객 유치가 어려워짐에 따라, MZ세대들의 소비패턴을 통한 제주로 몰리는 현상 발생했다. 본 연구에서 제주도는 펜데믹 이후 국내 관광객을 다시 유치하고 대처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주도 농촌관광과 스마트글라스를 활용 연구하고 마을지도를 기반으로 관광할 수 있도록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나 스마트글라스를 통해 구축한다면 스마트글라스를 통한 도슨트가이드 서비스는 관광객들에게 실감콘텐츠의 정보력은 도움이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위치 기반 서비스를 도입하여 관광객이 움직이는 동선에 맞게 그 위치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면 상당히 유익할 것이다. 실제 한성백제박물관의 개발을 통하여 실행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만들고 실감미디어의 구현이 다른 개발에 비해 쉽다는 점을 연구개발을 통해 기존 하드웨어에 실감미디어는 AR, VR과 같은 선택적 개발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이 다양하다는 점과 개발 예산과 시간이 작아도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관광 시티투어버스와 같은 유료서비스 및 제주 올레길과 같은 무료 관광코스에도 적용가능하며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사실에 기대해본다.

코로나19 유행 상황에서 농어촌지역 건강마을 건강위원의 역할 (The Role of Health Committee for Health Management of Rural Residents in the COVID-19 Epidemic)

  • 김윤영;김건엽;홍남수;강수진;김은휘;김종연;박민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6권4호
    • /
    • pp.218-229
    • /
    • 2021
  • 코로나19 유행에서 건강마을 위원들을 대상으로 주요 건강문제, 건강리더의 역할, 필요한 사업, 비대면 사업 추진을 위한 디지털 환경을 조사하여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농어촌 주민 대상 건강마을 사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20년 11월 30일부터 12월 21일까지 건강마을의 건강위원 총 585명을 전화면접조사 하였다. 주민들이 인식하는 건강문제는 코로나19 감염우려(48.5%), 우울(32.5%), 의료서비스 이용 어려움(9.4%), 운동 부족(7.7%)의 순이었다. 코로나 상황에서 건강위원회의 역할은 방역수칙을 지키도록 격려하였다가 91.3%로 가장 많았다. 필요한 건강마을 사업으로 건강물품 제공, 정신건강사업 요구도가 높았다. 가정 내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가 있다는 17.9%, 인터넷 정보의 접근과 이용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쉽게 도움 받을 사람이 마을 내 있다는 42.2%였다. 주민 공공시설에 동영상 시청은 36.9%, 인터넷 사용 가능은 22.2%였다. 코로나 방역과 치료로 농어촌 주민들에 대한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이 원활하지 않은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선 마을 내 건강리더를 통한 건강관리와 방역이 필요하며, 비대면 환경에서 주민 참여형 건강마을 사업을 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 인프라 구축이 요구된다.

농촌지역 정주여건 향상을 위한 재생에너지 이익공유 방식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철원군 스마트그린빌리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newable Energy Profit-Sharing Method for Improving Residential Conditions in Rural Area - Focused on the Smart Green Village in Cheorwon-gun, Gangwon-do Province -)

  • 유병천;이동희;김정욱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9-18
    • /
    • 2021
  • In this study, surveys and data collection on new profit-sharing measure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residents' participation in 65 MW large-scale solar power complex located at Munhye 5-ri, Galmal-eup, Cheorwon-gun, Gangwon-do province. From May to September 2018, the presentation and meetings for residents were held and a survey for 67 household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collect profit-sharing data which is sharing profits from solar power project improving residenti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s that it needs to improve some obstacl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rural areas, such as improvement of living infrastructure at village level, improvement of monotonous leisure activities from the residents' point of view, improvement of economic income sources depending on farm income and Basic Old-age Pensions, inconvenience factors in the unsui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due to ag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at Profit-Sharing solar power complex project has possibilities to improve living environment in rural areas by sharing profits from power generation and resi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with consensus for need of renewable energy.

농촌어메니티자원 정보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관광정보 모바일서비스 이용자 선호도분석 (Preference Analysis of the Mobile Service Users on the Rural Tourism)

  • 김상범;손호기;이동관;박미정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4호
    • /
    • pp.833-857
    • /
    • 2012
  • 본 연구는 스마트폰화 된 관광환경이라는 새로운 IT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농촌지역 방문객 및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농촌어메니티자원 정보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관광정보 모바일 서비스 이용자 600명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콘텐츠 항목, 형태 등을 조사, 결과 분석하여 농촌어메니티 자원정보의 콘텐츠, 스마트폰의 활용방법, 서비스 방안 등을 도출하고, 농촌마을 1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기술이 적용된 모바일 콘텐츠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어메니티자원에 대한 서비스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국민들에게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시간 농촌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농촌정보 이용자들의 만족도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농촌어메니티자원 정보서비스의 위치기반 모바일 정보서비스 확대를 통한 농촌지역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한옥의 거주성능 평가를 위한 모바일 기반 어플리케이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based Evaluation Application for the Residential Performance of Hanok)

  • 이미향;한승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2호
    • /
    • pp.109-124
    • /
    • 2023
  • 이 연구는 스마트 폰 등 모바일 기기의 최대 장점인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하여 한옥 거주성능을 원격 평가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건축 정보 및 도움말 기능을 추가하여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스마트 폰의 기능적인 특징과 최근 사용자의 필요에 맞추어서 실증 사례를 통한 현장 사진을 제시하여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의 적용성 검증을 위해 은평 한옥마을 내 셋이서문학관을 대상으로 현장평가를 수행하여 평가 도구로서의 정합성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스마트 폰을 통해 한옥뿐만 아니라 다른 용도의 건축물 평가에 적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사용자 친화적인 성능평가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모형을 제시한 사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추후 개선점을 도출하여 지속적인 범용 한옥 연구개발의 확대를 도모하고자 한다.

인터넷 정보가전을 활용한 주거공간 연구 (A Study on Living Space with the Internet Information Appliances)

  • 전흥수;김주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8호
    • /
    • pp.44-50
    • /
    • 2001
  • This study propose the new concept of residence by analyzing the change of residence through the characteristic of popularity and degree of development of technology on home network information appliance for intelligent home. Accordingly, Cyber village represented as home automation and extend to information of society. it encourage need of information and multimedia of home. It expect home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accepting informations, which make smart home to linked home-working home-learning home-treatment. home-shopping and home-banking. The system of intelligent home is the intelligence of human-biology in the side of environmental friendly and multi-function. it distinguish the system of security, controlling system of inside environment, supporting system of house-working, automatic controlling, house working. Future house require to meet demand of young generation, such as small residental space, the multi-functional space, the flexible space, making mood for dual income couple and of single as intelligent home. Accordingly, basic purpose which are pleasantness, the safe and the convenience the mobile multi-function as well as networking with controlling of temperature, security, health-test, home-entertainment, home-office and consider environment together.

  • PDF

Wireless network design for construction of atmospheric and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using buoy

  • Lim, ChaeYoung;Lee, Sang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269-274
    • /
    • 2020
  • It has used buoy for efficient domestic farm operations and fishermen fish. Buoy uses IoT-based communication to transmit water temperature, salinity, humidity, wind speed, etc. to fishers in real time. In this paper, we utilize LoRa, which enables communication in the marine environment, to construct a network and apply it to an actual buoy for monitoring. The implemented LoRa uses the 900MHz band to configure the network. The sensor consisted of a sensor that can monitor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nd a sensor that can monitor the marine environment. In addition, the information received in real time will be provided to the fishing village host. The fishermen were fully aware of this and took appropriate measures to conduct sea trials.

전주 한옥마을의 실감 3D View를 위한 Light ID 및 HMD-AR 기반 인터렉티브 전시 설계 (Light ID and HMD-AR Based Interactive Exhibition Design for Jeonju Hanok Village Immersive 3D View)

  • 민병준;비나야감 마리아판;차재상;김대영;조주필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14-420
    • /
    • 2018
  • 최근 디지털 컨버전스는 현실세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미디어 콘텐츠에 가상 콘텐츠를 투영시켜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 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HMD AR 기술을 이용한 Light ID 및 HMD-AR 기반 인터렉티브 전시를 제안하였다. 이 접근법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시물에 추가적인 인프라를 설치할 필요 없이 기존 사용되고 있는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를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Light ID는 웹 콘텐츠로의 접근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QR 태그와 달리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및 통신 매체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광 무선 통신 (OWC)의 장점을 활용하여 스마트 장치에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ID를 수신하고 AR형태로 실감 3D 콘텐츠를 시각화하여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제안한 설계 기법에 대해 전주 한옥 마을을 타겟으로 Light ID 기반 광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실감 3D View 제공 기술을 구현하고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을 통해 전시물에 관한 실시간 몰입형 3D 뷰를 제공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