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based Evaluation Application for the Residential Performance of Hanok

한옥의 거주성능 평가를 위한 모바일 기반 어플리케이션 설계와 구현

  • 이미향 (전남대학교 바이오하우징연구소) ;
  • 한승훈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Received : 2023.05.04
  • Accepted : 2023.06.16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 mobile application to evaluate the residential performance of Hanoks anytime and anyplace free of time and space constraints made possible by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o effective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Hanoks, the mobile application includes architectural information and help functions to ease the usability by the general public. In addition, it is designed to be intuitively understood through the presentation of field photos through empirical cases in line with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s. To test the functionality of the mobile application, a field evaluation was conducted at the Set-yi-seo Literature Center in Eunpyeong Hanok Vill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basis for using smart phone based applications for evaluating buildings such as Hanoks in the future. It can be used as a model for developing future user-friendly performance evaluation applications for public Hanok research and development.

이 연구는 스마트 폰 등 모바일 기기의 최대 장점인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하여 한옥 거주성능을 원격 평가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건축 정보 및 도움말 기능을 추가하여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스마트 폰의 기능적인 특징과 최근 사용자의 필요에 맞추어서 실증 사례를 통한 현장 사진을 제시하여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의 적용성 검증을 위해 은평 한옥마을 내 셋이서문학관을 대상으로 현장평가를 수행하여 평가 도구로서의 정합성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스마트 폰을 통해 한옥뿐만 아니라 다른 용도의 건축물 평가에 적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사용자 친화적인 성능평가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모형을 제시한 사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추후 개선점을 도출하여 지속적인 범용 한옥 연구개발의 확대를 도모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교육부(한국연구재단) 개인연구지원사업 박사후연구(NRF-2022R1A6A3A01086841)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중견연구(NRF-2021R1A2C2011893)의 지원을 받아 수행됨.

References

  1. 김선숙.양인호.김광우(2002), "공동주택의 거주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9(2): 154~159.
  2. 김진영.송기수.백승현.오세창(2017), "증강현실(AR)을 이용한 수원 화성 관광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7(2): 401~404.
  3. 박성표.정은빈.이찬식(2020), "건설 안전관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6(10): 223~234. https://doi.org/10.5659/JAIK.2020.36.10.223
  4. 박준태.홍인식(2010),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3(2): 261~264.
  5. 박형진.서명배(2022), "증강현실기반 모바일 시공관리 기술 개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2(2): 1078~1081.
  6. 방춘일.이상현(2008), "거주성능 자동평가 가능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8(1): 525~528.
  7. 송종근.김태용.장원태(2010), "스마트폰 기반 차량 원격제어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8(2): 233~234.
  8. 안치선.윤수원.진상윤(2012), "스마트 폰의 위성합법시스템(GPS)를 활용한 전문건설업체 현장 근태관리 체계 구축",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3(3): 56~66. https://doi.org/10.6106/KJCEM.2012.13.3.056
  9. 유우식.김성균.변해권・이근종(2011), "스마트 폰을 활용한 실시간 화물추적 및 지능형 수배송 관리시스템",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 187~192.
  10. 이광표.이현수.박문서.김의준(2011), "스마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건설 자재 관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2(4): 59~69. https://doi.org/10.6106/KJCEM.2011.12.4.59
  11. 이미향(2019), "한옥의 정주성능 평가모델 개발",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12. 이미향.도인수.양정무.이주엽.소승영.이효원.김왕직(2022), 「신한옥이야기: 3권 신한옥 거주이야기」, 서울: 도서출판 세륜
  13. 이보엽(2014), "기존건축물의 에너지절약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활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4. 이승호.임명재.이기영(2010),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케어 스케쥴링 애플리케이션",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10(4): 35~40.
  15. 이일주(2005), "스마트홈 거주성능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6. 정의용(2000), "건물 디자인 성능의 개념과 평가체계", 「건축지」, 44(7): 23~27.
  17. 조은길.김영훈.김원천.박준영(2019), "신한옥형 공공건축물 단지형 디자인가이드라인의 계획 방향: 공동주택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을 중심으로", 「LHI Journal」, 10(4): 1~12.
  18. 최승주.이미향.김재향.한승훈(2021), "신한옥의 쾌적성능 평가: 전남 화순 잠정 햇살마을 한옥단지를 대상으로", 「LHI Journal」, 12(2): 99~108.
  19. Bedon, C. and S. Mattei (2021), "Facial ExpressionBased Experimental Analysis of Human Reactions and Psychological Comfort on Glass Structures in Buildings", Buildings, 11(5): 204~220. https://doi.org/10.3390/buildings11050204
  20. Lee, M.-H. and S.-H. Han (2021), "Innovative Evaluation Techniques for Hanok Sustainability Based on Integrative Comfort Indices", Journal of Open Innovation: Technology, Market, and Complexity, 7(244): 1~22. https://doi.org/10.3390/joitmc701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