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Grid Network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32초

Comparative Analysis of Centralized Vs. Distributed Locality-based Repository over IoT-Enabled Big Data in Smart Grid Environment

  • Siddiqui, Isma Farah;Abbas, Asad;Lee, Scott Uk-J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1호
    • /
    • pp.75-78
    • /
    • 2017
  • This paper compares operational and network analysis of centralized and distributed repository for big data solutions in the IoT enabled Smart Grid environment. The comparative analysis clearly depicts that centralize repository consumes less memory consumption while distributed locality-based repository reduce network complexity issues than centralize repository in state-of-the-art Big Data Solution.

  • PDF

A Cognitive Radio based for Smart Grid AMI Network using Adaptive Algorithm

  • Thapa, Prakash;Acharya, Shree Krishna;Paik, Jong-Gil;Choi, Sang-Gil;Jun, Hae-Ji;Kim, Seong-Whan;Lee, Seong Ro;Lee, Yeon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8권3호
    • /
    • pp.69-77
    • /
    • 2016
  • Maximum utilization of unused license spectrum is one of key factor in cognitive radio network which can handle the large number of systems and devices connected on smart grid AMI network. The central intelligence control system has responsibility to accept new technologies and users for automation. To ensure a reliable communication in smart grid system through cognitive network, a minimum mean square error (MSE) signal using unused licensed spectrum (or frequency) is necessary to be detected with small decision error.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user control wireless smart grid system with minimum MSE using LMS algorithm.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IEEE 802.11s 기반 무선 메쉬 네트워크 (IEEE 802.11s based Wireless Mesh Networks for Smart Grid)

  • 정지선;김재범;고영배;이상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9B호
    • /
    • pp.1390-1398
    • /
    • 2010
  • 본 논문은 높은 확장성 및 효율성을 바탕으로 최근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통신 기간망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다룬다.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란 기존 전력망에 IT 통신기술을 도입하여 실시간으로 전력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전력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이다. 무선 메쉬 통신망을 스마트 그리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신뢰성 및 QoS(Quality of Service) 지원이 가능한 동시에 대용량의 전력 관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호 호환성 및 확장성을 고려하여 국제 표준 기반의 설계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하여 IEEE 802.11s 표준 기반의 스마트 그리드 메쉬 네트워크를 제안하고, ns-3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성능 검증을 통해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무선 메쉬 네트워킹 기술을 스마트 그리드에 적용했을 때 요구되는 주요 연구 주제에 관해 조사하고 개선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효과적인 Zigbee 인증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A Study Effective Zigbee Authentication Protocol in Smart Grid Network)

  • 임송빈;오영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2B호
    • /
    • pp.184-194
    • /
    • 2011
  • 고압 전력망과 IT 영역에서 응용되고 있는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Smart gird networks)는 정보의 도청이나, 비정상적 패킷의 유통, 메시지의 재사용 등 데이터의 위 변조와 같은 외부의 공격에 쉽게 노출되는 환경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보안은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야 하는 중요한 기능이다. 저전력, 초소형 저비용 장점을 갖는 Zigbee는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최적의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가 효율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수집된 정보는 많은 경우에 네트워크 상에서 적들로부터 보호가 요구된다. 네트워크 상에서 수집되는 정보에 보안 매커니즘이 적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Zigbee 프로토콜은 보안에 취약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의 대표적인 예로 Zigbee 보안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자세히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여 스마트 그리드에 적합한 보안 프로토콜을 새롭게 제안하고 그 효율성을 비교 분석한다.

Smart Grid를 위한 필드형 가상사설망(VPN) 게이트웨이의 구현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outdoor type Virtual Private Network Gateway for Smart Grid)

  • 박준영;김휘강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25-136
    • /
    • 2011
  • 우리나라의 전력분야 제어시스템은 보안에 우수한 폐쇄형 네트워크로 운영되고 있어 보안피해의 심각성을 대체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스마트그리드 사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 스마트미터에서부터 발전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공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향후 스마트미터를 통해 발전소에서 가정집까지의 전체 전력망이 연결되면 보안은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그리드 환경 즉, 외부의 혹독한 환경과 전국적인망에서의 안정적 데이터 전송과 외부로부터의 침입방지를 위해 필요한 가상사설망(VPN) Gateway 구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완성된 시제품으로 기 운영 중인 상용제품과 다양한 방식으로 연동 테스트를 시행하였으며, IPSec 방식의 터널링과 ARIA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한 암호화를 통해 전력선통신(PLC) 저압원격검침 분야에 시범 설치되어 보안이 강화된 데이터통신을 하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용 통신망 아키텍처 시뮬레이션 방법 (A Method for Simulation of Smart Grid Communication Network Architecture)

  • 김영선;오휘명;최성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B권2호
    • /
    • pp.122-129
    • /
    • 2013
  • 본 논문은 최근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그리드 관련 연구개발에 있어 양방향 정보 전송을 위한 통신망 아키텍처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주에서의 실증 사업 및 다양한 기기별 시범사업을 통해 대두되는 스마트미터를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그리드 구성용 전력설비들의 정보전송 트래픽 시뮬레이션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서 스마트그리드 통신망 아키텍처 설계에 대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스마트 그리드 응용에 적합한 고속Hybrid MAC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High-Speed Hybrid MAC for Smart Grid Application)

  • 권대길;김용성;조진웅;홍대기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3-81
    • /
    • 2014
  • In this paper, high-speed Hybrid MAC (Medium Access Control layer) implementation suitable for smart grid applications is researched. MB-OFDM (Multi-B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is considered for high-speed communication method in smart grid application. In this paper, the MAC adopts the distributed network managing method. Also, the MB-OFDM merit of high-speed transfer rate of up to 480Mbps must be supported. Hence,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hardware-software integration (co-design) method in order to realize a high- speed transmission, and a realizing method of distribution network. Finally, MAC performance and reliability based on MB-OFDM PHY (PHYsical layer) are confirmed through simulation and emulation.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통신망 상의 응용 계층 보안 프로토콜의 부하 분석 (Simulation Analysis of Network Load of Application Level Security Protocol for Smart grid)

  • 이광식;한승철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7-24
    • /
    • 2015
  •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망에 정보기술을 접목하여, 전력 유틸리티와 사용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고, 전력 전송과 분배에 있어 신뢰성과 기반시설 보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조화 된 지능형 전력망이다. 하지만 스마트 그리드는 기존 전력망에 IT 기술을 도입하여 시스템을 개선함으로써 에너지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연구에서 파생되어 시작되었기 때문에 기존 사이버범죄의 가능성이 존재하며 보안에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 서비스 제공을 위해, 각 통신망 환경별 보안 서비스가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응용계층에서 동작하는 보안 프로토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안 서비스와 네트워크 부하가 전력 통신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진보된 스마트 그리드 보안 서비스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스마트그리드 기반 홈네트워크의 에너지 관리 표준화 동향 분석 (An Analysis on standardization trend of home network energy management based on Smart Grid network)

  • 조평동;최문환;이상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91-494
    • /
    • 2012
  • 스마트그리드는 전력 에너지망에 구축되는 추가적인 네트워크 개념으로 볼 수 있으며 전력과 IT가 결합된 형태이므로 ICT 기술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ITU-T를 중심으로 스마트 그리드에 대한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 향후 추진방향에 대해서도 논하기로 한다.

  • PDF

Compressed Sensing-Based Multi-Layer Data Communication in Smart Grid Systems

  • Islam, Md. Tahidul;Koo, Ins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9호
    • /
    • pp.2213-2231
    • /
    • 2013
  • Compressed sensing is a novel technology used in the field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sensor networks for channel estimation, signal detection, data gathering, network monitoring, and other applications. I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highly secure, real-time, well organized, and cost-effective data communication in smart-grid (SG) systems, which consist of multi-tier network standards that make it challenging to synchronize in power management communic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multi-layer communication model for SG systems and propose compressed-sensing based data transmission at every layer of the SG system to improve data transmission performance. Our approach is to utilize the compressed-sensing procedure at every layer in a controlled manner.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onitoring devices need less transmission power than conventional systems. Additionally, secure, reliable, and real-time data transmission is possible with the compressed-sensing technique.